$\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분석을 통해 본 유기농업 기술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Organic Farming Technology by Journal Article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4, 2014년, pp.549 - 559  

홍승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상범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광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민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남홍식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진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윤종철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동식 (특허법인 남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technology trends in organic farming using journal article analysis, total 2,378 published articles in organic farming between 1974 and 2014 were analyzed. The number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organic farming has been steadily increased since 2006. As for category, articl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기 안전농산물 생산 및 경영 기반, 유기농 환경평가 및 안전성 확보 기술에 대하여 국내외에 발표 공개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 기술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표된 논문의 현황과 국가별 기술경쟁력 등을 분석하고 최근 부상되고 있는 기술을 도출하여 향후 유기농업 분야에서 전략적인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기 안전농산물 생산 및 경영 기반, 유기농 환경평가 및 안전성 확보 기술에 대하여 국내외에 발표 공개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 기술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표된 논문의 현황과 국가별 기술경쟁력 등을 분석하고 최근 부상되고 있는 기술을 도출하여 향후 유기농업 분야에서 전략적인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업 기술 연구 논문이 큰 폭으로 증가한 2006년에 유기농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계기는? 1에 전체 연도별 논문 발표동향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논문의 연도별 전체 발표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영국의 광우병 사건과 로하스 열풍으로 유기농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한 2006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Hong et al.(2014)의 특허 동향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유기 안전농산물 생산 및 경영기반분야에서 가장 많은 논문 발표 수를 보인 분야는? 발표된 논문을 분야별로 보면, 유기 안전농산물 생산 및 경영기반(A) 분야에 대한 논문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유기농 환경평가 및 안전성 확보(B)에 대해서는 외국에서 논문이 상당수 발표되었다. 또한 유기 안전농산물 생산 및 경영기반(A) 분야에서는 양분 및 토양관리(AAB) 분야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수를 보였다. 대표적 논문발표 기관은 스웨덴 대학교(Swedish University)와 미국 농무부(USDA)가 있으며 이들 기관은 유기농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논문을 발표하고 있었다.
유기농업 기술 연구와 관련해 논문을 많이 발표한 주요 연구기관은 어떤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가? 그 중 스웨덴의 Swedish University가 44건으로 논문 발표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 농무부(USDA) 및 농촌진흥청이 36건으로 논문 발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기관들은 주로 토양 및 양분관리(AAB)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가지 연구분야가 아닌 비교적 여러 가지 기술 분야에 걸쳐 폭넓게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국가의 연구기관에 편향되지 않고 다양한 기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AO. 2011. Organic agriculture and cliamte change mitigation. A report of the round table on organic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November 2011. 

  2. Hong, S. G., J. H. Kim, Y. K. Kim, J. H. Shin, J. C. Yun, and D. S. Park. 2014. Trends in Organic Farming Technology by Patent Analysi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In Progress. 

  3. Kim, M. H., Y. S. Ahn, D. B. Park, O. S. Ahn, and D. I. Shin. 2007. Assess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on crops and its characteristics for practical us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History. 6(1):1-47. 

  4. Kim, C. G., H. G. Jeong, and D. H. Moon. 2013a.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duction status and market outlook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ion. KREI FOCUS on Agricultural Politic No.55.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5. Kim, C. G., H. G. Jeong, and D. H. Moon. 2013b. Technology Demands and Development Roadmap in Organic Agriculture. KREI FOCUS on Agricultural Politic No.65.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6. MAFRA, 2014. Act on support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fosterage and organic food control. No. 11705(2013.3.23.). revise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7. MIFAFF. 2011. R&D Roadmap for agro-industr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8. Muller, A. 2009. Benefits of organic agriculture as a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y for developing countries. Discussion Paper Series. EfD DP 09-09. Environment for Development. 

  9. Park, J. K., Y. S. Park, and J. H. Shin. 2012. R&D Planning for enhancing the technology quality focused on the organic agriculture field.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2): 109-124. 

  10. Pimentel, D., P. Hepperly, J. Hanson, D. Douds, and R. Siedel. 2005. Environmental, energetic, and economic comparison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systems. Bio-Science. 55(7): 573-582. 

  11. RDA. 2013. Mid-term and Long-term R&D Planning for 6th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 Scialabba, N. E. H. and M. Muller-Lindenlauf. 2010. Organic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 Renewable Agriculture and Food Systems. 25(2): 158-169. 

  13. Shepherd, M., B. Pearce, B. Cormack, L. Philipps, S. Cuttle, A. Bhogal, P. Costigan, and R. Unwin. 2003.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organic farming. A review for Defra-funded project OF0405. 

  14. Tuomisto, H. L., I. D. Hodge, P. Riordan, and D. W. Macdonald. 2012. Does organic farming reduce envirnonemtal impacts? - A meta-analysis of European researc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12: 309-320. 

  15. Willer, H. and J. Lernoud. 2014.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 Emerging Trends 2014. FiBL-IFOAM Report.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FiBL), Frick and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IFOAM), Bonn, Germany. 

  16. Yoo, J. C., K. S., Kong, S. S. Yeo, and M. C. Seo. 2009.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Function for Public Benefits on Practice of Organic Farming - Using Choice Experiment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8(3): 291-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