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the Policy Efficiency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Zone Program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4, 2014년, pp.581 - 591  

허승욱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 the policy efficiency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zone program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On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policy efficiency is 0.185 and 98.3% of zones are inefficient. 97.8% of zones are in increasing returns to scal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이하 DEA)을 이용하여 2004년~2013년(10개년) 동안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조성된 친환경농업지구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DEA는 다중 투입과 다중 산출이 존재하는 DMU(decision making unit)의 효율성 분석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의 정책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2004년~2013년 10개년 동안 사업에 선정된 조성지구의 인증면적과 인증농가수를 산출물로 적용하고, 사업 참여 당시의 참여 농가 수와 재배면적 및 사업예산을 정책목적 달성을 위한 투입요소로 적용하여 DEA 모형의 기술효율성 평가 모형을 이용하여 정책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은 「친환경농어업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제16조(친환경농수산물 등의 생산 ․ 유통 ․ 수출 지원)를 근거로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량 감축과 축산분뇨 자원화를 통한 농업환경의 유지, 보전과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1) 해당 사업은 2015년까지 무농약 이상의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비율을 12%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었고, 2013년 현재 지구조성단지 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비중은 59.

가설 설정

  • i 행위자의 정책목표 달성 수준(Yi)과 자원 투입량(Xi)을 분석대상이 되는 정책 행위자들의 정책목표 달성 수준(Y)의 선형결합(wTEY) 및 자원 투입량(X)의 선형결합(wTEX)과 비교하여, wTEY ≥ Yi와 wTEX < Xi를 만족시키는 가중치 벡터(wTE)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은 어떤 사업인가?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적 농업여건 및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 친환경농업의 발전을 위해 소규모 마을 단위의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과 1,000ha 이상의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조성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2017년까지 1,300개소의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을 목표로 시행되고 있는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은 소규모 마을단위의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유통 등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여 친환경농업 확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의 목표는? 친환경농업지구 조성사업은 「친환경농어업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제16조(친환경농수산물 등의 생산 ․ 유통 ․ 수출 지원)를 근거로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량 감축과 축산분뇨 자원화를 통한 농업환경의 유지, 보전과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1) 해당 사업은 2015년까지 무농약 이상의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비율을 12%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었고, 2013년 현재 지구조성단지 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비중은 59.0%이고, 지구조성단지를 포함한 전체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생산면적) 비중은 8.
정책평가란? 정책평가는 체계적인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정책의 과정이나 결과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판단하는 사회적 과정이다(Weiss, 1972; Rho, 2008; Choi and Yeo, 2010). 정책평가를 위해서는 평가대상의 선정과 평가기준의 설정이 필요하고, 이 때 평가방법은 정책평가의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Choi and Ye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S. A. and J. S. Yeo.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n Policy Evaluation Methods: Focused on Fair Labeling & Advertising Act. Survey Research. 11(3): 57-79. 

  2.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General), 120(3): 253-290. 

  3. Heo, J. 2000.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3(1): 17-36. 

  4. Hyun, B. K., Y. K. Sonn, S. J. Jung, K. C. Song, L. Y. Kim, S. K. Kim, and H. K. Kwak. 2006.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Rearing Project.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39(2): 53-58. 

  5. Jang, D. K. 2007. The Effects and Tasks of Environment Friendly Rice Cluster on Activation of Regional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4(4): 677-698. 

  6. Kang, C. K. and M. C. Jung. 2000. Evaluation of the Pilot Village Proj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for a Rice Farming.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2(2): 121-134. 

  7. Kim, C. G., T. Y. Kim, Y. G. Shin, and J. Heo. 2005. Economic Analysis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Kim, S. H., T. S. Choi, and D. W. Lee. 2007. Efficiency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Seoul Economy & Management. 

  9. Koopmans, T. C. 1951. An Analysis of Production as an Efficient Combination of Activities. in Activity Analysis of Production and Allocation (T. C. Koopmans, Ed.), Wiley, New York, 1951. 

  10. Kwon, O. S., J. Y. Choi, W. B. Kim, D. H. An, and J. B. Im. 2009. Valuing Environmental Benefits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Complex: The Case of Paldang Clean Agricultural Bel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0(1): 33-56. 

  11. Rho, W. J. 2008. Policy Evaluation, BubMunSa. 

  12. Weiss, C. H. 1972. Evaluation Research: Methods of Assessing Program Effectivenes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