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장다리(S. collina)는 건조한 대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솔장다리가 보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에탄올 추출물(SC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지방생성, 생성된 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솔장다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 지방분화관련 인자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sola collina (S. collina) is an annual plant widely distributed in drought and semi-drought areas,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kind of folk remed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Previously,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S. col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및 그 기전을 알아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대사성 질환으로, 과다하게 섭취되어 소비되지 못한 과잉의 에너지가 지방으로 전환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혹은 과도한 정도의 체내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비만을 규정하는데 사용되는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여 25 이상을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솔장다리의 형태는 어떠한가? 솔장다리(Salsola collina)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 수송나무속(Salsola)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중국, 만주, 몽골, 티베트,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30 cm 정도이며 밑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곧추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처음에는 연하지만 점차 딱딱해진다. 꽃은 7-8월에 엷은 녹색으로 피며 잎 짬(leaf axil)에 1개씩 달린다.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음식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일부의 경우 유전적 요인, 중추신경계의 내분비계 이상, 시상하부 손상, 약물 복용, 혹은 정신적인 문제로 발생하기도 한다. 체내 지방축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비정상적인 지방세포의 크기(hypertrophy) 및 수적 증가(hyperplasia)는 adipokine의 생산과 분비를 통한 adipogenesis 과정에 의해 일어나게 되며 비만뿐만 아니라 염증, 당뇨 등 만성대사 질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1, 5,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ttie, A. D. and Scherer, P. E. 2009. Adipocyte metabolism and obesity. J. Lipid Res. 50, 395-399. 

  2. Bae, C. R., Kwon, D. Y. and Cha, Y. S. 2013.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42, 1036-1042. 

  3. Cao, Z., Umek, R. M. and McKnight, S. L. 1991.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Genes Dev. 5, 1538-1552. 

  4. Chen, H. C. and Farese, R. V. Jr. 2005. Inhibition of triglyceride synthesis as a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lessons from DGAT1-deficient mic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5, 482-486. 

  5. Despres, J. P. and Lemieux, I. 2006.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444, 881-887. 

  6. Flier, J. S. and Maratos Flier, E. 1998. Obesity and the hypothalamus: novel peptides for new pathways. Cell 92, 437-440. 

  7. Gesta, S., Tseng, Y. H. and Kahn, C. R. 2007. Developmental origin of fat: Tracking obesity to its source. Cell 131, 242-256. 

  8. Gregoire, F. M., Smas, C. M. and Sul, H. S. 1998.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 783-809. 

  9. Gupta, R., Rathi, P., Gupta, N. and Bradoo, S. 2003. Lipase assays for conventional and molecular screening: an overview. Biotechnol. Appl. Biochem. 37, 63-71. 

  10. Heck, A. M., Yanovski, J. A. and Calis, K. A. 2000. Orlistat, a new lipase inhibitor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Pharmacotherapy 20, 270-279. 

  11. Hotamisligil, G. S. 2006.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orders. Nature 444, 860-867. 

  12. Kim, S. H., Kim, J. Y., Ryu, K. A. and Sohn, C. 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 J. Community Nutr. 12, 583-591. 

  13. Kim, E. J., Kim, G. Y., Kim, Y. M., Choi, K. H. and Jang, S. J. 2009. Anti-obesity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ion in obese rats high-fat diet. Kor. J. Ori. Physiol. Pathol. 23, 831-836. 

  14. Liu, F., Kim, J., Li, Y., Liu, X., Li, J. and Chen, X. 2001.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uptake-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 131, 2242-2247. 

  15. Morrison, R. F. and Farmer, S. R. 2000.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3121. 

  16. Ntambi, J. M. and Kim, Y. C.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3126. 

  17. Oh, Y. N., Jin, S., Park, H. J., Kwon, H. J. and Kim, B. W. 2014.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by cell cycle regulation of Salsola collina extract. Kor. J. Microbiol. Biotechnol. 42, 73-81. 

  18. Park, J. A., Park, C., Han, M. H., Kim, B. W., Chung, Y. H. and Choi, Y. H. 2011.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1, 720-728. 

  19. Rosen, E. D. and Macdougald, O. 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Available at: http://www.who.int/mediacentre/fs311/en/. Updated June 2016. 

  21. Wu, Z., Bucher, N. L. and Farmer, S. R. 1996. Induc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during the conversion of 3T3 fibroblasts into adipocytes is mediated by C/EBP beta, C/EBP delta, and glucocorticoids. Mol. Cell Biol. 16, 4128-4136. 

  22. Wu, Z., Xie, Y., Bucher, N. L. and Farmer, S. R. 1995. Conditional ectopic expression of C/EBP beta in NIH-3T3 cells induces PPAR gamma and stimulates adipogenesis. Genes Dev. 9, 2350-2363. 

  23. Yeh, W. C., Cao, Z., Classon, M. and McKnight, S. L. 1995. Cascade regulation of terminal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hree members of the C/EBP family of leucine zipper proteins. Genes Dev. 9, 168-181. 

  24. Zhang, J. W., Klemm, D. J., Vinson, C. and Lane, M. D. 2004. Role of CREB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gene during adipogenesis. J. Biol. Chem. 279, 4471-44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