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전분대사 효모 Saccharomycopsis fibuligera 균주의 생육특성
Characterization of Starch-Utilizing Yeast Saccharomycopsis fibuligera Isolated from Nuruk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4, 2014년, pp.407 - 412  

최다혜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은희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명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누룩으로부터 MBY1276, 1280, 1282, 1320, 1322, 1324 및 MBY 1327로 각각 명명된 전분을 분해하는 효모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는 18S rRNA 영역의 ITS 단편 및 26S rDNA 영역의 D1/D2 단편의 염기서열 해석 및 탄소원 대사특성 분석을 통하여 S. fibuligera로 동정하였다. 상주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MBY1320 균주는 대조구 균주인 S. fibuligera KCTC7806 및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다른 S. fibuligera 균주에 비해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었다. 전분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인 ${\alpha}$-amylase 및 glucoamylase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MBY1320 균주의 ${\alpha}$-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 균주보다 낮지만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활성 분석결과는 MBY1320 균주가 표준균주 및 다른 S. fibuligera 균주와 비교하여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성장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가용성 전분을 이용한 회분식 배양 결과 MBY1320 균주는 표준균주 보다 $42^{\circ}C$에서 우수한 성장속도 및 에탄올 생산속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S. fibuligera 균주보다 고온에서 glucoamylase 효소활성 및 비성장속도가 우수한 S. fibuligera 균주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umber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strains that can hydrolyse and utilize starch as a carbon source were isolated from nuruk, a traditional Korean starter for rice wine fermentation, and their specific growth rates on starch-containing medium were compared to choose the prominent strain. S. f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용성 전분을 이용한 회분식 배양 결과 MBY1320 균주는 표준균주 보다 42℃에서 우수한 성장속도 및 에탄올 생산속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S. fibuligera 균주보다 고온에서 glucoamylase 효소활성 및 비성장속도가 우수한 S. fibuligera 균주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를 비롯한 전통주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효모종균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으로부터 전분을 분해할 수 있는 효모인 S. fibuligera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의 성장속도, α-amylase 및 glucoamylase 효소활성을 비교하고 내열성과 전분분해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2℃ 환경일 때, 누룩에서 분리한 7점의 S. fibuligera 균주의 전분분해 활성은 어떠한가? MBY1276, 1280, 1320, 1322 및 MBY1323 균주는 37℃에서 대조구인 KCTC7806 균주와 비슷한 크기의 전분 분해환을 나타냈으며, 예산지역에서 수집된 누룩에서 분리된 MBY1327 균주의 전분 분해환의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그러나 KCTC7806 균주와 MBY1324 균주는 42℃에서 전분 분해환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MBY1280, 1320, 1322, 1323 및 MBY1327 균주는 전분 분해환을 나타내었다.
Saccharomycopsis fibuligera는 어떤 효모입니까?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경우 포도당 이외의 당을 대사하는 속도가 느린 편이며, 전분질을 분해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30]. Saccharomycopsis fibuligera는 glucoamylase 뿐만 아니라 α-amylase를 발현시켜 전분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전분을 에너지원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모이다[5]. S.
일반적으로 누룩을 제조하는 방법은? 막걸리의 발효과정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관여하며 Mucor 속, Rhizopus 속, Aspergillus 속 등의 곰팡이[11], Saccharomyces, Pichia, Candida, Hansenula, Troulopsis 속 등의 효모[29] 그리고 Micrococcus, Bacillus, Lactobacillus, Leuconostoc, 속 등의 세균들이[23] 보고된 바 있다. 누룩은 밀이나 보리, 쌀 등 곡류에 물을 첨가한 후 반죽하고 성형하여 자연적으로 발효시켜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7]. 따라서 당화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는 일본의 코지와는 달리 누룩 제조 과정 동안 주변 환경으로부터 유래된 다양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생육하므로 생산된 지역의 기후나 풍토, 제조 환경 등에 따라 특색 있는 누룩이 만들어 지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ouzied MM, Reddy CA. 1987. Fermentation of starch to ethanol by a complementary mixture of an amylolytic yeast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Biotechnol. Lett. 9: 59-62. 

  2. Baek SY, Yun HJ, Choi HS, Hong SB, Koo BS, Yeo SH. 2010.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for brewing from commecial Nuruk in chungcheong provinc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373-378. 

  3. Chi Z, Liu J, Zhand W. 2001. Trehalose accumulation from soluble starch Saccharomycopsis fibuligera sdu. Enzyme Microb. Tech. 28: 240-245. 

  4. De Mot R, Van K, Donkers A, Verachert H. 1985. Potentialities and limitation of direct alcholic fermentation of starch material with amylolytic yeasts.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22-226. 

  5. Gonzalez CF, Farina JI, Figueroa LICd. 2008. Optimized amylolytic enzymes production in Saccharomycopsis fibuligera DSM-70554 an approach to efficient cassava starch utilization. Enzyme Microb. Tech. 42: 272-277. 

  6. Ha DM, K DC, Hong SM, Lee CW. 1989.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starch utilizing yeasts isolated from Nuruk. J. Korean Agric. Chem. Soc. 32: 408-415. 

  7. Hostinova E, Janecek S, Gasperik J. 2010. Gene sequence, bioinformatics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alpha-amylase from Saccharomycopsis fibuligera KZ. Protein J. 29: 355-364. 

  8. Hyun SH, Mun HY, Lee HB, Kim HK, Lee JS. 2013.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383-390. 

  9. Joseph R, Bachhawat AK. 2014. Yeasts: Production and commercial uses. Enc. Food Microbiol. 2: 823-830. 

  10. Kang MG, Kim YH, Bolormaa Z, Kim MK, Seo GS, Lee JS. 2013. Characterization of an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the edible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Biomed Res. Int. 2013: 6. 

  11.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1997.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67-774. 

  12.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1998. Enzym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Korean J. Appl. Microbiolo. Biotechnol. 26: 456-464. 

  13. Kim IH, Park WS, Koo YJ.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prepared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and their quality changes after aging. Korean J. Dietry Culture 11: 497-506. 

  14. Koo SC, Jeon MG, Lee YH, Kim HY, Kang BK, Go JM, et al. 2014. Screening of soybean germplasm with high starch content. Korean J. Breed Sci. 46: 52-57. 

  15. Lee DH, Lee DH, Lee JS. 2007.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dementia $\beta$ -secretase inhibitory peptid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Enzyme Microb. Tech. 42: 83-88. 

  16. Lee DH, Lee JS, Yi SH, Lee JS. 2008. Production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Yarrowia lipolytica S-3. Mycobiology 36: 102-105. 

  17. Lee MK, Lee SM, Bae SM. 1991.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processing methods of traditional nuruk. J. East Asisan Soc. Diet Life 1: 277-298. 

  18. Lee MN and Park HD. 201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ophilic yeasts producing urease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Preserv. 19: 308-314. 

  19. Liu GL, Wang DS, Wang LF, Zhao SF, Chi ZM. 2011. Mig1 is involved in mycelial formation and ex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extracellular enzymes in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11. Fungal. Genet. Biol. 48: 904-913. 

  20. Lv XC, Huang XL, Zhang W, Rao PF, Ni L. 2013. Yeast diversity of traditional alcohol fermentation starters for Hong Qu glutinous rice wine brewing, revealed by culture-dependent and culture-independent methods. Food Control. 34: 183-190. 

  21.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2. Min JH, Kim YH, Kim JH, Choi SY, Lee JS, Kim HK. 2012. Comparison of microbial diversity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showing high beta-glucan content and high antihypertensive activity, respectively. Mycobiology 40: 138-141. 

  23. Park JH, Chung CH. 2014. Characteristics of Takju (a cloudy korean rice wine) prepared with Nuruk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fermentation starter),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53-164. 

  24. Park JW, Kim BJ, Lee JW, Kim YB. 200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ltopentaose-producing amylase from bacillus megaterium KSM B-404.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352-358. 

  25. Park SY, Choi SY, Min KH. 1999. Isolation of glucoamylase producing yeasts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Korean J. Micol. 6: 386-393. 

  26. Pincus DH, Orenga S, Chatellier S. 2007. Yeast identifi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methods. Med. Mycol. 45: 97-121. 

  27. Pirselova K, Smogrovicova D, Balaz S. 1993. Fermentation of starch to ethanol by a co-culture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9: 338-341. 

  28. So MH. 1999.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2: 219-225. 

  29. Song SH, Lee C, Lee S, Park JM, Lee HJ, Bai DH, et al. 2013.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J. Microbiol. Biotechnol. 23: 40-46. 

  30. Tubb RS. 1986. Amylolytic yeasts for commercial applications. TIBITECH 4: 98-104. 

  31. Yi SH, Kwon SJ, Ahn C, and Yoo JY. 1997.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onditions of yeasts from traditional Meju. Korean J. Appl. Microbiolo. Biotechnol. 25: 435-441. 

  32. Yun HJ, Lee YJ, Yeo SH, Choi HS, Park HY, Park HD, Baek SY. 2012. The isolation and culture characterization of a lipolytic enzyme producing strain from meju.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 98-1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