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성인 여성의 요구도 조사
A Survey for Needs and Preference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Mass Media for Korean Female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6, 2014년, pp.550 - 557  

곽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이서연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훈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광석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typical Korean females adults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ss media. Methods: A total of 343 females (77 in their 20s, 85 in their 30s, 88 in their 40s and 93 in their 50s) residing in the Seoul/Gy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식생활에서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는 연구적 배경을 토대로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의 제공방향을 제시해보고자 연구 대상자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주요 정보원과 정보의 여러 가지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일부 성인여성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으로 통해 조사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영양정보 제공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성인 여성의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각 매체별 형식, 주제에 대한 요구도와 정보제공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 최근 정보전달의 환경이 변화되고,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식생활에서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는 연구적 배경을 토대로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의 제공방향을 제시해보고자, 본 연구는 일부 성인 여성의 주요 정보원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요구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연령별로는 비교적 고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교육수준은 전문대·대학교 재학 및 졸업자가 6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빙이란? 오늘날 늘어난 기대수명에 따라 현대인들의 삶의 목표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잘 사는 것을 지향하는 웰빙(Well-being)의 추세로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각종 ‘건강’ 관련 콘텐츠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바른 식생활’에 관련한 정보와 지식 제공의 횟수와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영양정보는 어디서 얻게 되는경우가 많는가?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각종 ‘건강’ 관련 콘텐츠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바른 식생활’에 관련한 정보와 지식 제공의 횟수와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대중매체가 사회 안팎의 크고 작은 소식을 전달해주는 주요 통로가 되고 있어, 영양정보의 경우도 대중매체를 통해 얻게 되는 경우가 많다(Kim 2009). 보건의식 행태조사(Jo 등 2010)에서도 조사대상자의 2/3정도가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를 통해 평소 건강에 관련 지식을 가장 많이 습득한 것으로 발표했다.
현대사회가 웰빙의 추세로 집중됨에 따라 어떠한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는가? 오늘날 늘어난 기대수명에 따라 현대인들의 삶의 목표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잘 사는 것을 지향하는 웰빙(Well-being)의 추세로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각종 ‘건강’ 관련 콘텐츠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바른 식생활’에 관련한 정보와 지식 제공의 횟수와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대중매체가 사회 안팎의 크고 작은 소식을 전달해주는 주요 통로가 되고 있어, 영양정보의 경우도 대중매체를 통해 얻게 되는 경우가 많다(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JS, Kim KN (1993): Influence of entrance examinees' eating behavior on their health condition. Korean J Hum Ecol 2(1): 25-31 

  2. Cho KH, Choi BS, Seo JY, Park GS, Lee IS (2006): The usage of diet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users' 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5): 542-549 

  3. Choi CJ, Kim KS, Kim HG, No YG, Lee MJ, Kim SJ (2003): A study on use of health care information resources. J Korean Med Assoc 46(7): 651-660 

  4. Han SJ, Seo EY, Kim WK (2004): A comparative study on acquiring and using patterns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non-medical personn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 302-308 

  5. International Food Information Council Foundation (1998): Improving public understanding: guidelines for communicating emerging science on nurition, food safety, and health. J Natl Cancer Inst 90(3): 194-199 

  6. Jang YJ, Moon HK (2003):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in television programs. Proceedings of 2003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p.1086-1087 

  7. Jeon EM (2008): The effect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for mass media on nutritional knowledge of adult.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1-102 

  8. Jo JK, Son CG, Song TM, Shin CW, Yoon GW, Lee NH, Lee SY, Lee YH, Jung MS, Jo SY (2010): The fourth Seoul Citizens Health Indicators Survey -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pp.1-424 

  9. Kang HK, Kang MH, Yu KH, Ly SY (2004): Monitoring of on-line nutrition information-analysis of meta data. J nutr Health 37(8): 688-700 

  10. Kang NM, Hyun TS (1998): A strategy for improvement of health and nutrition management of Korean wome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4(1):28-37 

  11. Kim CI (1998): Reality of report about nutrition. J Nutr Health 31(4):834-835 

  12. Kim SJ (2005): Analysis of Viewing Behaviors and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 on Televis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 1-75 

  13. Kim SJ (2009): Study on stat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ealthcare/pharmaceutical newspaper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1-85 

  14. Lee HY, Lim TY, Lee JH, Park MK, Chae MJ, Bae HJ (2010): Assessment using practices and quality of food safet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3): 229-237 

  15. Lee JW, Kim JD, Ji AL (2010): A present condition of smartphone health applications. Proceedings of 2010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pp.210-211 

  16. Lee JW, Lee BK (1998): Analyzing the producer's attitudes toward specialist's advice and the panelist constitution of nutrition-related TV programs. Korean J Community Nutr 3(2): 317-328 

  17. Lee JY, Yoo HS (2002): A study on health program of broadcasting media.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9(3): 35-49 

  18. Lee YM, Back SR, Park HJ, Shim KS, Lee HJ, Chun HK (2006): Consumer needs for well-being food related information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7(3): 175-182 

  19. Lim DW, Yoon SN (1998): Understanding and use of media monitoring. communication books, Seoul, pp.1-180 

  20. Moon HK, Min JH, Kim JN (2010): Monitoring diet and health related content in terrestrial TV programs for young children. J Korean Health Educ Promot 27(3):85-96 

  21. Park SJ, Lee YH (1998): Effects of media o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J East Asian Soc Diet Life 8(2): 137-146 

  22. Purcell GP, Wilson P, Delanothe T (2002):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r Med J 324: 557-558 

  23. Wanisnk B. (2006):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food and nutrition misinformation. J Am Diet Assoc 106(4): 601-607 

  24. Yong MJ, Moon HK (2002):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for the public in the newspaper and magazine. Proceeding of 2002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rion, pp.962 

  25. Yoon EY, Ji SM, Seo JS, Kim KW, Bae HJ (2004): Monitoring of nutrition information on TV. Proceedings of 2004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p.131 

  26. Yoon JS (1998): Mass media for prolifer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role of professional and government. J Nutr Health 31(4): 836-839 

  27. Yoo HJ, Song KH (1990):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patterns of housewives in Seoul. Fam Environ Res 28(2): 47-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