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대중매체의 이용 및 활용 실태 조사 -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Mass Media for Nutrition Knowledge : Focusing on Daejeon-Chungnam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4 = no.79, 2016년, pp.95 - 113  

황동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민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중매체 활용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 영양정보 습득의 활용도, 만족도, 요구도 조사를 통해 대중매체를 활용한 식품영양정보의 제공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전 충남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총 한 달 동안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 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중매체(TV, 인터넷)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식품영양정보 주제와 관련된 요리방법 및 메뉴소개를 함께 제시한다면 대중들의 정보 획득률과 활용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며, 대중들의 과장된 내용에 대한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공공기관이나 홈페이지 등을 사용하여 대중들이 식품영양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 시켜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동시에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할 시 대중매체의 특성을 살린 흥미롭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형식은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매체 관계자들은 정보 수용자가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를 제공받을 때 겪고 있는 불편 요소들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TV와 인터넷 사이에 응답자들이 요구하는 식품영양정보 주제와 매체별 형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매체 관계자들은 국민에게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본인들이 제시하고자 하는 식품영양정보 주제에 따라 어떤 매체와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대중의 바람직한 식생활 형성에 더욱 효과적일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better understand the utilization practice of mass media, and to suggest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to mass media by researchers on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demand of acquired nutrition information. The provision of cooking methods and menu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전 및 충남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TV와 인터넷을 통해 얻는 식품영양정보의 활용행태, 만족도, 중요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대중매체를 활용한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영양정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대중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영양정보는 직·간접적으로 대중을 대상으로 한 식품영양 관련 교육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제로 영양교육에 이용되는 다양한 교육매체의 하나로써 주목받고 있다. Shon SM(2009)은 영양교육(Nutrition edu- cation)을 “개인이나 집단에서 건강과 영양상태 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자발적으로 습득하도록, 고안되고 계획된 학습 경험”이라고 정의했으며, 건강증진을 위해 건전한 식행동을 습득하는 과정, 교육대상자가 스스로 자발적으로 식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대중은 어떤 경향을 가지는가? 대중들 역시 건강에 관한 정보를 전문인에게서보다는 다양한 대중매체들로부터 제공을 받고 있으며, 대중매체는 여러 가지 형태로 건강과 관련된 영양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국민 식생활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Jang YJ & Moon HK 2005). 대중들은 건강과 식생활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정확한 지식은 적은 편이며, 그로 인하여 대중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광고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식생활이나 건강정보에 대한 대중매체가 균형성, 객관성, 공정성, 그리고 정확성을 잃으면 역기능의 피해는 커질 수밖에 없다(Kim KT 1998).
학교에서 영양 교육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7%가 한 달에 한 번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Yeo SH 2012). Kim HJ(2008)의 연구결과, 통신문 또는 단순 영양지식을 전달하는 강의법을 영양교육 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병원에서는 질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영양 상담과 병행하여 영양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리플릿을 이용하여 1회 교육이 20~40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ea JH (2008). Impacts of Mass Media Information on Nutrition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Adolescent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81-85, Seoul. 

  2. Chae HW (2006). In Fluence of Vocational Informationvia Image Media and Realistic Printed Media on Expansion of Teenager's in Formation and Familiarity Regarding Vocation. MS Thesis, Kyonggi Universit 5-6, Kyonggi-do. 

  3. Han SJ, Seo EY, Kim WK (2004). A comparative study on acquiring and using patterns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non-medical personnel.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4(3):302-308. 

  4. Jeon EM (2008). The Effect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for Mass Media on Nutritional Knowledge of Adult.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9-88, Seoul. 

  5. Jin JH, Lee KJ, Lee YH (2002). An investgation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on food behavior of unbalaced diet childre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2(1):7-14. 

  6. Jung SM, Kim YH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SNS site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restaurant.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1):159-173. 

  7. Kang HS, Yun EY (2003). Nutritional consultation and clinical nutrition business of dietitia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2(-):59-75. 

  8. Kang KS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actu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nd development of culinary education application -Focused on 4-year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Daejeon, Chungnam Area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2):176-189. 

  9. Kang KM (2010). The Effects of Adult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and Their Differences by Age.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4-5, Seoul. 

  10. Kim EH (2009). Effect of the Acquisition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for Their Diets in Female Adults : Focusing on Parts of the Gyeonggi Area.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55-61, Seoul. 

  11. Kim GY (2012). Various Usage of Korean Food Culture Contents through Mass Media.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4-61, Seoul. 

  12. Kim JH (2011). The Effects of the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in Mass Media on Some Adolescents' Dietary Lives and their Knowledge of Nutrition.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50-54, Seoul. 

  13. Kim JH (2011). The Effects of the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in Mass Media on Some Adolescents' Dietary Lives and their Knowledge of Nutrition.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50-54, Seoul. 

  14. Kim JH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al Support Programs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Focusing on the WIC programs implemented by metropolitan Community Health Center.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7-8, Yongin. 

  15. Kim JM, Han GH (2008). The effects of mass media, tendency for appearance comparison and BMI on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eating behavior.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4):73-83. 

  16. Kim KT (1998). The importance of mass media in national health.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1(4):829-833. 

  17. Kim KW, Moon EH (2011).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hypertension patients aged 50 years and over.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6(1):62-74. 

  18. Kim MJ (2014). The Effect of Body Awareness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from Mass Media to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74-78, Seoul. 

  19. Kim MJ, Jeon HM (2015). A stud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food festival websites and review information on satisfaction with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4): 294-308. 

  20. Kim SJ (2005). Analysis of Viewing Behaviors and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 on Televis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84, Seoul. 

  2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 lAffairs, Assessed May 26. 201 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31&tblIdDT_33109_A241&vw_cdMT_ZTITLE&list_id331_33109_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2. Kwak JE, Lee SY, Lee SH (2014). A survey on adults' utilization and needs of mass media food nutri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9(6):550-557. 

  23. Lee AR, Ahn HS (2010).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hours of computer use. The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26(2):1-15. 

  24. Lee GH (2008). Study on the emprical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food risk communication.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34):104-133 

  25. Lee HM (2010). Effects of Nutrition Information from Mass Media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53-58, Changwon. 

  26. Lee JW, Lee BG (1998): Analyzing the producer's attitudes toward specialist's advice and the panelist constitution of nutrition-related TV program.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3(2):317-328. 

  27. Lee NK, Kim GJ, Byun GI (2014). A study on married women's accepting process of SNS WOM and forming process of behavioral intention for restaurants: Focusing on Busa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6):159-174. 

  28. Moon HK, Cho YJ (2005). Analysis of dietary informations in newspapers and magazine for children (200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8(2):161-172. 

  29. Moon HK, Jang YJ (2005).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fered in television programs(year 2002-2003) -newscastings, health information programs, and drama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1):51-6. 

  30. Nam JJ, Choi CS, Kim TJ, Gye HG (1995). Health conscious form of Korean-1995 national Health and health conscious behavio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95(22):128-129. 

  31. Park SY (2004). Effects of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of type II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4):430-439. 

  32. Park YS (2007).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Gyomoon, 1-5, Paju. 

  33. Ryu HS, Yang IS, Kim HS (2003). The monitoring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presented throughout various television brodcast medi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6(5):508-514. 

  34. Shin EY (2011). The Influence of Mass Media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Life Habit to the Upper Grade Students inthe Elementary School. MS Thesis, Inje University 1-65, Gimhae. 

  35. Seo JS, Study of Systems for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Using Homepag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4-11), 13-108. 

  36. Shon SM (2009).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Lifescience, 1, Seoul. 

  37. Song MK, Yoon HY (2013).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 and information credibility based on e-WOM for restaurants and directions of replie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2):190-202. 

  38. Yeo SH (2012). The Actual Condition of Nutrition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 and Research of Duty Change and Job Stress : Focused on Kyung-Sang-Nam-Do Region. MS Thesis, Busan University 13-14,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