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년) 자료에 근거한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영양상태 및 대사증후군 유병율 평가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3, 2019년, pp.232 - 244  

이진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수경 (대구광역시 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서정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가구원수별 가구원의 영양섭취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분포와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대사증후군 발생은 가구원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지표인 EQ-5D 지수는 1인 가구에서 0.879, 2인 가구 0.927, 3인 이상 가구에서는 0.934로 1인 가구에서 가장 낮은 삶의 질 지수를 나타냈고 2인 및 3인 이상 가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INQ 값이 1 미만인 영양소는 조섬유, 칼슘, 칼륨, 리보플라빈, 비타민 C로 권장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원수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인 가구에서 단백질, 조섬유, 칼슘, 인,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의 INQ는 2인 및 3인 이상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1인 가구의 영양섭취가 질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사의 전반적인 질을 나타내는 MAR은 1인 가구 0.78, 2인 가구 0.83, 3인 이상 가구 0.82로 나타나 1인 가구가 2인 가구, 3인 이상 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1인 가구 대상자의 37.2%가 대사증후군을 나타내었고 2인 가구 35.1%, 3인 이상 가구에서는 25.8%로서 가구원수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대표성을 지닌 국가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최근 1인 가구가 크게 증가되고 가구원수가 다양화되는 시점에서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영양섭취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은 가정의 형태와 환경 변화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활 교육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statu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y were assessed by using information from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핵가족에 따른 가족의 해체,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결혼 기피 현상, 인구 고령화 등의 사회적 문제로 인하여 1인 가구가 증가되면서 가구원수 형태가 다양화되었고 그에 따른 식생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원수별 가구원의 건강행태, 식생활 및 영양섭취 상태를 분석하여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특성에 기반한 식생활 및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19세 이상 성인으로 대상자의 가구원수에 따라 1인 가구, 2인 가구 및 3인 이상 가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들에게 적용한 기준은 허리둘레가 남성 ≥90 cm, 여성 ≥85 cm일 경우, 혈압은 수축기 혈압 ≥3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일 경우, 혈중중성지방은 ≥150 mg/dL일 경우, HDL-콜레스테롤은 남성 ≤40 mg/dL, 여성 ≤50 mg/dL 일 경우, 공복혈당은 ≥ 100 mg/dL이었다.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허리둘레 기준치는 국가 특성과 인구에 맞는 기준치를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기준인 남성 90 cm 이상, 여성 85 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진단하였다[18].
  •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대표성을 지닌 국가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최근 1인 가구가 크게 증가되고 가구원수가 다양화되는 시점에서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영양섭취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은 가정의 형태와 환경 변화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활 교육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식사의 질 평가도구인 NAR, MAR 및 INQ를 분석하였다. 이 지표들은 식이의 질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4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가구원수에 따른 대상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AR란 무엇인가? 연구대상자의 NAR 및 MAR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NAR 은 각 영양소에 대해 영양소적정섭취량의 비율을 구한 뒤 1이 넘은 경우 1로 간주하는 값이며[20], NAR값의 평균값인 MAR은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의 질을 나타내는 지수이다[21].
1인 가구가 주도하고 있는 식생활의 변화는? 각 가정의 가구원 수가 축소되는 현상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형 주택, 소형 가전과 가구, 간편 조리식품 등 여러 분야의 생활환경에서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의 식생활은 직접 재료를 구입하여 식사를 준비하기보다는 조리시간을 최소화하거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외식을 선호하는 등 식생활의 급격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6, 7]. 이러한 식생활은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식품산업과 외식산업이 발달되면서 구매가 간편하고 조리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이식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8, 9].
1인 가구의증가 더 빨라지는 이유는? 2인 가구의 수도 증가 추세에 있으나 1인 가구의증가가 더 빨라지고 있는 추세로 보고되고 있다[4].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결혼 연령의 증가, 이혼율 증가, 개인주의 경향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불규칙한 생활, 불균형적인 식사, 흡연, 음주 등 좋지 않은 생활습관으로 연결되어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Policy implications of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cused on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n Korea Jung 2012 

  2. J Nutr Health Aging Tsubota-Utsugi 19 4 375 2015 10.1007/s12603-015-0456-5 

  3. Statistics Korea. Age of householder/Estimating household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9 Apr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Z0506&vw_cd=MT_ZTITLE&list_id=A42_20&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4. Fam Environ Res Ha 55 2 141 2017 10.6115/fer.2017.011 

  5.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Kim 23 2 219 2009 

  6. Korean J Food Nutr Heo 29 5 735 2016 10.9799/ksfan.2016.29.5.735 

  7. Korean J Community Nutr Song 14 6 722 2009 

  8. J Korean Living Sci Assoc Yang 18 4 959 2009 

  9. Korean J Diet Cult Kim 16 2 147 2001 

  10. Korean J Community Nutr Kim 5 Suppl 307 2000 

  11. J Marriage Fam Stoller 45 4 851 1983 10.2307/351797 

  12. J Digit Converg Kim 16 7 493 2018 

  13. Korean J Community Nutr Choi 21 3 256 2016 10.5720/kjcn.2016.21.3.256 

  14. J Nutr Health Lee 48 3 277 2015 10.4163/jnh.2015.48.3.277 

  15. Hong I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smoking, drinking, exercise, obesit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using EQ-5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2011. 

  16. Nutr Rev Hansen 31 1 1 1973 10.1111/j.1753-4887.1973.tb05134.x 

  17. Circulation Grundy 112 17 2735 2005 10.1161/CIRCULATIONAHA.105.169404 

  18.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200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51 2009 

  19.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Lee 26 1 1 2009 

  20.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Gibson 809 2005 2 

  21. J Am Diet Assoc Guthrie 78 3 240 1981 10.1016/S0002-8223(21)04795-7 

  22. Statistics Korea. Household Projections: 2015~2045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7. updated 2017 Apr 13. cited 2019 Apr 2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59964&ord=3 

  23. Statistics Korea. 2018 Elderly person statistic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updated 2018 Sep 27. cited 2019 Apr 2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70779&ord=1 

  24.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Lee 2015 

  25. Korean J Community Nutr Jo 21 4 321 2016 10.5720/kjcn.2016.21.4.321 

  26. Korean J Community Nutr Kim 18 4 372 2013 10.5720/kjcn.2013.18.4.372 

  27. Nam SY. Differences in dietary,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non-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n adults by sex and age group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2016. 

  28. Korean J Community Nutr Kang 24 1 1 2019 10.5720/kjcn.2019.24.1.1 

  29. J Nutr Health Lee 48 3 269 2015 10.4163/jnh.2015.48.3.269 

  30. Consumption Cult Study Lee 17 3 85 2014 10.17053/jcc.2014.17.3.005 

  31. Korean J Food Nutr Choi 29 6 911 2016 10.9799/ksfan.2016.29.6.911 

  32. J Korean Diet Assoc Lee 21 1 57 2015 10.14373/JKDA.2015.21.1.57 

  33.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Kral 25 2 258 2001 10.1038/sj.ijo.0801469 

  34. J Korean Diet Assoc Jun 19 2 103 2013 10.14373/JKDA.2013.19.2.103 

  35. J Korean Diet Assoc Bae 13 4 311 2007 

  36. Korean J Health Serv Manag Yi 8 4 199 2014 10.12811/kshsm.2014.8.4.199 

  37. Health Soc Welf Rev Kim 34 3 400 2014 10.15709/hswr.2014.34.3.400 

  38. Korean J Fam Pract Song 7 5 698 2017 10.21215/kjfp.2017.7.5.698 

  39. J Health Soc Behav Umberson 28 3 306 1987 10.2307/2136848 

  40. Soc Sci Med Umberson 34 8 907 1992 10.1016/0277-9536(92)90259-S 

  41. Public Health Nutr Azadbakht 18 4 615 2015 10.1017/S1368980014000767 

  42. Korean J Community Nutr Park 8 5 716 2003 

  43. Korean J Community Nutr Lim 13 5 620 2008 

  44. Korean J Nutr Shin 45 3 264 2012 10.4163/kjn.2012.45.3.264 

  45. Korean J Nutr Yim 37 3 210 2004 

  46. Analysis of solo economy [internet].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17. updated 2017. cited 2019 May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edu/sri_kor_new/1/4/index.board?bmode=read&bSeq=&aSeq=370209&pageNo=7&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47. J Korean Public Health Nurs An 32 1 3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