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들에게 목 돌림 수행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Biofeedback on Movement Patterns of Neck Lateral Bending and Muscle Activation of Sternocleidomastoid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4, 2014년, pp.425 - 432  

양노열 (위드알앤에이) ,  오재섭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neck rotation angle, neck lateral bending angle and neck lateral bending onset tim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METHODS: Ten male an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전 연구들은 대부분 시상면에서 나타나는 목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만 초점을 맞춰왔으며, 목 돌림 시 나타날 수 있는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에게 목 돌림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 유무에 따른 목의 움직임 패턴과 근활성도 변화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 또한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목 돌림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에 따른 목의 운동형상학과 목빗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에게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 돌림 각도(neck rotation angle), 가쪽 목 굽힘 각도(lateral bending angle) 와 가쪽 목 굽힘 움직임 개시 시간(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시각적 생체되먹임을 적용하였을 때 목빗근의 근활성도, 목 돌림 각도, 가쪽 목 굽힘 각도는 감소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 남녀 14명을 대상으로 목 돌림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뼈의 돌림 각도, 목뼈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 돌림 시 목뼈의 가쪽 굽힘 각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에게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 돌림 각도(neck rotation angle), 가쪽 목 굽힘 각도(lateral bending angle) 와 가쪽 목 굽힘 움직임 개시 시간(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시각적 생체되먹임을 적용하였을 때 목빗근의 근활성도, 목 돌림 각도, 가쪽 목 굽힘 각도는 감소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전도 신호를 정량화하기 위해 행한 것은? 근전도 신호의 표본 추출률은 1000㎐로 설정하였고 증폭된 파형을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20∼450㎐를 적용하였다. 수집된 신호를 정량화하기 위해 실표평균값(root mean square, RMS)처리를 하였다. 목 돌림 동안 수집된 근활성도 신호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백분율로 정규화 하였다.
전방머리자세란 무엇인가?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는 사무직 근로자 및 장시간 책상에 앉아있는 학생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목 질환이다(Bae, 2007; Good 등, 2001). 전방머리자세는 하부 목뼈와 상부 등뼈부위의 굽힘이 증가되어있고, 상부 목뼈의 폄이 증가된 자세로(Choi, 2011), 자세의 지속은 목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Fernández-de-las-Peñas 등, 2005).
시각적 생체되먹임을 이용한 학습이란? 시각적 생체되먹임(visual biofeedback) 중재는 정확한 움직임 패턴을 교육하기 위한 치료적 중재로 많이 활용된다(van den Heuvel 등, 2009; Weon 등, 2010). 시각적 생체되먹임을 이용한 학습은 자신이 수행한 결과 또는 결과의 원인이 되는 정보를 시각 자극을 되받아 과제수행의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동작을 학습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Choi, 2010). 자세의 시각적 생체되먹임은 최근 환자들에게서 자세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치료로 적용된다(Hamman 등,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SS. Treatment of forward head posture and shoulder instability. J Korean Soc Phys Med. 2007;2(2):219-28. 

  2. Beer A, Treleaven J, Jull G. Can a functional postural exercise improve performance in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 A preliminary study. Man Ther. 2012;17(3):219-24. 

  3. Cho Wh, Lee YW, Choi HK. An investigation on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turtle neck syndrome through EMG analysis. J Korean Soc Precision Eng. 2008;1:195-6. 

  4. Choi YJ. The effects of body weight bearing treadmill with visual feedback on the gait of stroke patients. Dankook University. Master Thesis. 2010. 

  5. Choi YJ, Hwang R. Effect of cervical and thoracic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forward head posture. J Korea Con Ass. 2011;11(10):293-300. 

  6. Cram JR, Kasman G.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spen publishers. 1997. 

  7. Fernandez-de-las-Pen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et al.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blinded, controlled study. Cephalalgia. 2006;26(3):314-9. 

  8. Good M, Stiller C, Zauszniewski JA, et al.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Scales: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J Nurs Meas. 2001;9(3):219-38. 

  9.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I, et al.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38-44. 

  10. Hudswell S, Mengersen MV, Lucas N.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using pressure biofeedback: A useful measure of cervical dysfunction in the clinical setting? Int J Osteopath Med. 2005;8(3):98-105. 

  11. Ishii T, Mukai Y, Hosono N, et al. Kinematics of the subaxial cervical spine in rotation in vivo three-dimensional analysis. Spine (Phila Pa 1976). 2004;29(24):2826-31. 

  12.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3. Lee JH. The effects of scalenus medius muscle relaxed posture on head-neck rotation of general adults. J Korean Soc Phys Med. 2010;5(1):1-6. 

  14. Page P, Frank C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Human Kinetics. 2009 

  15.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 St Louis. MO: Mosby. 2002. 

  16. Sahrmann SA. Movement system impairment syndromes of the extremities, cervical and thoracic spines. St. Louis. MO: Mosby. 2010. 

  17. Shin DC. The effects of a deep cervical flexion exercise on neck-shoulder pain, muscle strengthening, and cervical alignment in sedentary workers. Sahmyook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18. Uthaikhup S, Jull G. Performance in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is altered in elderly subjects. Man Ther. 2009;14(5):475-9. 

  19. van den Heuvel MR, Balasubramaniam R, Daffertshofer A, et al. Delayed visual feedback reveals distinct time scales in balance control. Neurosci Lett. 2009;452(1):37-41. 

  20. Walsh JC, Quinlan JF, Stapleton R, et al.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of the lumbar spine during "free squat" weight lift training. Am J Sports Med. 2007;53(6):927-32. 

  21. Weon JH, Oh JS, Cynn HS, et al.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isometric shoulder flexion. J Bodyw Mov Ther. 2010;14(4):367-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