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 스트레칭을 접목한 경사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경직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clination Treadmill Training with Dynamic Stretching on the Spasticity and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4, 2014년, pp.447 - 454  

신효섭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clination treadmill training with dynamic stretching on the spasticity and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two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EG, n=11) or a control group (CG, n=11). 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직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행 연구들은 기립 경사대와 전동장치 등을 통하여 선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수동적으로 발목관절을 반복 신장 시키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연구의 목적도 경직의 감소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경사 트레드밀을 통한 연구는 보행 시 하지 관절의 근 활성도와 관절각도의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경직감소와 보행 능력의 변화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미비하였기에 본 실험을 통해 트레드밀 경사도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근의 경직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트레드밀에 경사도를 적용하였을 때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근의 경직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 트레드밀훈련군에 비해 10° 경사 트레드밀에서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근의 경직을 감소시키고 보행능력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트레드밀을 사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경사트레드밀 보행훈련을 적용하여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발목관절 발바닥 굽힘근의 경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10m 보행속도 검사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실험군은 10m보행속도 검사에서 중재 전후 약 15초 감소하였으며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약 11초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폐색이나 파열로 인하여 뇌의 국소부위 기능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Broeks 등, 1999). 뇌졸중은 경직, 보행장애, 근력감소 등 심각한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우울증, 의사소통 능력 저하와 같은 인지적, 사회적 장애를 가져온다(Yang 등, 2011; Seo 등 2010; Lee 등, 2011). 뇌졸중으로 인한 경직, 감각둔화, 근력감소, 유연성의 감소 등과 같은 운동손상은 보행속도, 활보장, 분족수, 그리고 보행주기의 대칭성 등을 감소시켜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들에 영향을 준다(Roth 등, 1997).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폐색이나 파열로 인하여 뇌의 국소부위 기능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Broeks 등, 1999). 뇌졸중은 경직, 보행장애, 근력감소 등 심각한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우울증, 의사소통 능력 저하와 같은 인지적, 사회적 장애를 가져온다(Yang 등, 2011; Seo 등 2010; Lee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SH, lee JI, Kim KY. Usefulness of myotonometer for measurement of tissue compliance on medialis gastrocnemius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3):1129-37. 

  2. Barnes M. Upper motor neuron syndrome and spasticity: clinical management and neurophysi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Bressel E, McNair PJ. The effect of prolonged static and cyclic stretching on ankle joint stiffness, torque relaxation, and gait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2;82:880-7. 

  4. Broeks JG, Lankhorst GJ, Rumping K et al. The longterm outcome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results of a follow-up study. Disabil Rehabil. 1999;21(8):357-64. 

  5. Davies JM, Mayston MJ, Newham DJ. Electrical and mechanical output of the knee muscles during isometric and isokinetic activity in stroke and healthy adults. Disabil Rehabil 1996;18:83-90. 

  6. Hunt SM, McKenna S,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7. Kim BH, Choi WH. The Effects of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on spasticity, range of motion,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4):187-94. 

  8. Kim SG.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l-Indy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220-6. 

  9. Kim SY.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yotonometer in the assessment of biceps brachii and quadriceps.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 2007;14(2):29-35. 

  10. Knutsson E, Richards C. Different types of disturbed motor control in gait of hemiparetic patients. Brain 1979;102:405-30. 

  11. Lance JW. The control of muscle tone, reflexes, and movement: Robert Wartenberg lecture. Neurology. 1980;30:1303-13. 

  12. Lee DJ, Shim JK, An SH. A comparison of different depression instruments for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1;23(2):69-76. 

  13. Leonard CT. Motor behavior and neural changes following perinatal and adult-onset brain damage :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Phys Ther. 1994;74(8):753-67. 

  14. Leonard CT, Stephens JU, Stroppel SL. Assessing the spastic condition of individuals with upper motor neuron involvement: Validity of the myotonometer.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0):1416-20. 

  15. Odeen I, Knutsson 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tch and weight load in patients with spastic paraplegia. Scand J Rehabil Med 1981;13:117-21. 

  16.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7. Roth EJ, Merbitz C, Mroczek K, et al. Hemiplegic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1. Am J Phys Med Rehabil. 1997;76(2):128-33. 

  18. Seo DJ, Oh DW, Lee SH. Effectiveness of ankle visuoperceptual-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0;22(4):35-41. 

  19. Tsai KH, Yeh CY, Chang HY, et al. Effects of a single session of prolonged muscle stretch on spastic muscle of stroke patients. Proc Natl Sci Counc Repub China B 2001;25:76-81. 

  20. Wu CL, Huang MH, Lee CL, et al. Effect on spasticity after performance of dynamic-repeated-passive ankle joint motion exerci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Kaohsiung J Med Sci. 2006;22:610-7. 

  21. Yang DJ, Park SK, Lee JH et al. Influence of transition from the half-kneel to standing postur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1;23(5):49-56 

  22. Yelnik A, Albert T, Bonan I, et al. A clinical guide to assess the role of lower limb extensor overactivity in hemiplegic gait disorders. Stroke. 1999;30:580-5. 

  23. Yoon NS, YI KO, KIM JY. The kinematic and kinetic of treadmill gait with various indication and speed.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robic Exercise, 2001;5(1):49-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