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한 한국의 CO2 배출량에 대한 EKC 가설 검증: 지역별 CO2 배출량과 GRDP를 중심으로
EKC Hypothesis Testing for the CO2 Emissions of Korea Conside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Focusing on the CO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3 no.4, 2014년, pp.667 - 688  

김수이 (홍익대학교 상경대학 상경학부) ,  정경화 (목포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CO_2$ 배출량과 지역별 GRDP데이터를 사용하여 EKC(Environment Kuznets Curve)를 검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서 1990년부터 2010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15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지역별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인당 GRDP, 인구, 총요소생산성 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Lantz and Feng(2006)에서와 마찬가지로 패널 GLS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EKC 가설이 성립하지 않았지만 총요소생산성의 경우에는 $CO_2$ 배출량과 역 U자형 관계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특히 기술 진보를 대변하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할수록 $CO_2$ 배출량이 증가하지만 일정수준 이후에는 $CO_2$ 배출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tested the EKC (Environment Kuznets Curve) Hypothesis using the $CO_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We built the panel data set on the 15 local government region from 1990 to 2010 for this analysis. GRDP, population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as considered as the fac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과 CO2 배출에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경제성장 변수뿐만 아니라 인구, 총요소생산성에 대해서도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성장과 CO2 배출 간에는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지 않았지만 총요소생산성과 CO2 배출 간에는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연구와는 차별화되도록 우리나라 CO2 배출 데이터를 지자체별로 살펴보고 이러한 지자체별 CO2 배출량이 각 지역의 GRDP와 어떠한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CO2 배출량에 있어서 EKC(환경쿠즈네츠곡선)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GLS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과 CO2 배출에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경제성장 변수뿐만 아니라 인구, 총요소생산성에 대해서도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15개 지방자치단체로 구분하고 각 지역의 CO2 배출량과 GRDP사이에 EKC가설이 성립하는가를 다음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15개 지방자치단체별로 CO2 배출량, GRDP, 인구, 기술진보 등의 변수에 대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이 와중에 우리나라는 지난 30년 동안 괄목할만한 경제성장 또한 이룩하여 온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 CO2 배출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제성장을 하면서도 CO2 배출량이 줄어들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EKC (Environment Kuznets Curve)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즉 CO2 배출량에 있어서 EKC(환경쿠즈네츠곡선)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모형이 시사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아울러 도출하고자 한다.
  • 배출량이 각 지역의 GRDP와 어떠한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CO2 배출량에 있어서 EKC(환경쿠즈네츠곡선)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모형이 시사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아울러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 CO2 배출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제성장을 하면서도 CO2 배출량이 줄어들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EKC (Environment Kuznets Curve)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해외의 연구에서는 EKC가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이는 국내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가 1990년도부터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짧은 시계열의 단점을 15개의 지역으로 구분해서 살펴봄으로써 통계적인 약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는 추후 시계열이 더 보완되면 지속적 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우리나라는 어떤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베이스라인 대비 30% 감축이라는 국가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는 지난 30년 동안 급속하게 배출량이 증가하여 왔다.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현상을 보이고 있는가? 오히려 본 연구에서는 총요소생산성과 CO2 배출간에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였다. 즉 우리나라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CO2 배출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다시 CO2 배출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기준을 소비지 기준으로 잡아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산정한 국내 16개 지방자치단체별 CO2 배출량을 사용하였다. 기준은 소비지 기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동석.김민수.김영준.김승주,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 1970-2010, 연구보고 서 2012-08, 한국개발연구원, 2012. 

  2. 김수이.정용훈, "한국의 $CO_2$ 배출, 경제성장 및 에너지믹스와의 관계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Vo. 21, No. 2, 2012, pp. 271-299. 

  3. 김정인.김진욱.박창원, "주요 OECD 국가의 환경쿠즈네츠곡선 검증," 환경경제연구, Vol. 8, No. 1, 1999, pp. 77-108. 

  4. 김지욱, "확률계수모형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환경쿠즈네츠가설에 관한 재고찰,"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11, No. 3, 2002, pp. 377-396. 

  5. 박추환.신광하, "16개 광역시도별 제조업 부문에 대한 절대적 및 조건부 수렴가설 검증 및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국제지역연구, Vol. 17, No. 4, 2013. 

  6. 신석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한국의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정책연구시리즈 2008-10, 한국개발연구원, 2008. 

  7.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각 연도. 

  8. 이광훈, "국내 지역별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환경 쿠즈네츠 곡선 추정 및 비교," 환경정책연구, Vol. 9, No. 4, 2010, pp. 53-76. 

  9. 이광훈.이춘화, "수도권 지역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환경 쿠즈네츠 곡선 탐색 및 정책적 함의," 서울도시연구, Vol. 10, No. 3, 2009, pp. 83-95. 

  10. 이희연.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 이론과 실습, 문우사, 2013. 

  11. 장인성, 총요소생산성의 추이와 성장률 변화요인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경제연구 보고서, 2013. 

  12. 정군오.정영근,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에 관한 다국가 비교 분석," 산업경제연구, Vol. 17, No. 4, 2004, pp. 1077-1098. 

  13. 조상섭.강신원.김동엽, "비정태적 패널자료를 이용한 환경쿠즈네츠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OECD 17개국 사례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10, No. 4, 2001, pp. 619-632. 

  14. 최충익.김지현, "경제성장과 환경오염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CO_2$ 환경쿠즈네츠곡선 검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Vol. 41, No. 1, 2006, pp. 153-166. 

  15. 조태형.김정훈.Paul Schreyer, "1980-2010년 중 우리나라 실질소득의 증가요인 분석," 금융경제연구 제480호, 한국은행, 2012. 

  16. 정선영, "우리나라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분석," 금융경제연구, 한국은행, 2011. 

  17. 최은호.Almas Heshmati.조용성, "개방화와 경제성장에 따른 한국, 중국, 일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 분석," 환경정책연구, Vol. 10, No. 4, 2011. 

  18. 표학길.김우철.전은경, 한국의 산업별 수익률 및 사용자 비용 추계, 한국조세연구원, 2009. 

  19. 표학길.정선영.조정삼, "한국의 총고정자본형성, 순자본스톡 및 자본계수 추계: 11개 자산-72부문(1970-2005),"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07. 

  20. 한국생산성본부, 총요소생산성 국제비교, 한국생산성본부, 2012. 

  21. 한진희.신석하,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 성장회계 및 성장회귀 분석," 한국개발연구, 제30권, 제1호, 한국개발연구원, 2008. 

  22. Agras, J. and D. Chapman, 1999. "A dynamic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Ecological Economics 28, pp. 267-277. 

  23. Auffhammer, M., R. Carson, T. Garin-Munoz, and C. Rich, 2000. "Exploring Structural Differences in $CO_2$ Emissions of China's Provinces," Working Pap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Diego. 

  24. Basu, S. and J. Fernald, "Returns to Scale in US Production: Estimat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5, 1997. 

  25. Basu, S. and J. Fernald, "Aggregate Productivity and Aggregate Technology," European Economic Review 46, 2002. 

  26. Bruvoll, A. and H. Medin, 2003. "Factors behind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24, pp. 27-48. 

  27. Cole, M. A., A. J. Rayner, and J. M. Bates, 1997.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an empirical analysis,"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conomics, Vol. 2, No. 4, pp. 401-416. 

  28. Coondoo, D. and S. Dinda, 2002. "Causality between in come and emission: a country group-specific econometric analysis," Ecological Economics, Vol. 40, No. 3, pp. 351-367. 

  29. de Bruyn, S. M., J. C. J. M. vanden Bergh, and J. B. Opschoor, 1998. "Economic growth and emissions: reconsidering the empirical basis of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Ecological Economics 25, pp. 161-175. 

  30. Dijkgraaf, E. and H. Vollebergh, 2001. "A note on testing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Department of Economics and Research Center for Economic Policy.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31. Galeotti, M. and A. Lanza, 1999. "Richer and cleaner? A study on carbon dioxide emissions in developing countries," Energy Policy 27, pp. 565-573. 

  32. Hall, R., "The Relation between Price and Marginal Cost in U.S. Indust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6, No. 5, October 1988. 

  33. Heenrink, N., A. Mulatu, and E. Bulte, 2001. "Income in equality and the environment: aggregation bias in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Ecological Economics 38, pp. 359-367. 

  34. Holtz-Eakin, D. and T. Selden, 1995. "Stoking the fires? $CO_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Public Economics 57, pp. 85-101. 

  35. Lindmark, M., 2002. "An EKC-pattern in historical perspective: carbondioxide emissions, technology, fuel prices and growth in Sweden 1870-1997," Ecological Economics 42(1-2), pp. 333-347. 

  36. Lantz, V. and Q. Feng 2006, "Assessing income, population and technology impacts on $CO_2$ emissions in Canada: Where's the EKC?," Ecological Economics 57, pp. 229-238. 

  37. Neumayer, E., 2002. "Can natural factors explain any cross-country differences in carbon dioxide emissions?," Energy Policy 30, pp. 7-12. 

  38. Magnani, E., 2001. "Environmental Kuznets curve: development path or policy result?,"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16, pp. 157-165. 

  39. OECD, "OECD Compendium of Productivity Indicators 2012," OECD Publishing, 2012. 

  40. Panayotou, T., 1997. "Demystify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turning a black box into a policy too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conomics, Part42, pp. 265-484. 

  41. Roca, J., E. Padilla, M. Farre, and V. Galletto, 2001. "Economic growth and atmospheric pollution in Spain: discuss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Ecological Economics 39, pp. 85-99. 

  42. Roberts, J. and Grimes, P., 1997. "Carbon intensity and economic development 1962 91: a brief exploration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World Development 25(2), pp. 191-198. 

  43. Seldon, T. and Song, D., 1994. "Environmental quality and development: Is there a Kuznets curve for air pollution emiss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27, pp. 147-162. 

  44. Sengupta, R., 1996. " $CO_2$ emission income relationship: policy approach for climate control," Pacific and Asian Journal of Energy 7, pp. 207-229. 

  45. Shafik, N. and S. Bandyopadhyay, 1992.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Quality: Time Series and Cross-Country Evidence," World Bank WPS904, Washington DC. 

  46. Shi, A., 2003. "The impact of population pressure on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s, 1975-1996: evidence from pooled cross-country data," Ecological Economics 44, pp. 29-42. 

  47. Shmalensee, R., T. Stoker, and R. Judson, 1998. "World carbon dioxide emissions: 1950-2050,"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80, No. 1, pp. 15-27. 

  48. Talukdar, D. and C. Meisner, 2001. "Does the private sector help or hurt the environment? Evidence from carbon dioxide pollu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Vol. 29, No. 5, pp. 827-840. 

  49. Tucker, M., 1995.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global GDP," Ecological Economics, Vol. 15, No. 3, pp. 215-2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