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 투자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 CO2 사례 분석
R&D and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CO2 Case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5 no.1, 2016년, pp.89 - 112  

강희찬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  황상연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환경쿠즈네츠곡선가설에 기반을 두고, 경제개발 수준과 기술혁신수준이 다른 전세계 88개 국가에 대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술혁신이 이산화탄소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이 온실가스배출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와 소득수준을 변화시켜 온실가스배출량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종합해본 결과, 비록 미세하지만 기술혁신은 결과적으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널데이터 모형은 각 '시점 내'에서 변수 간 효과를 분석하는 정태적 모형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채용한 Panel VAR(Panel Vector Auto Regression)모형에서는 기술혁신수준이 시차를 두고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기술혁신(R&D 투자)과 같은 외생적 충격(Shock)이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3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s a determining factor of the Environment Kuznets Curve hypothesis, we analyze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empirically validate the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o an inverted U-shaped Environments Kuznets Curve hypothesis, we utilize th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anel VAR 모형 분석에 앞서 Granger Causality 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자. <표 8>는 변수들 간의 Granger Causality 결과를 보여준다.
  • 그러나 일인당 R&D가 일인당 GDP를 증가시켜, 일인당 온실가스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분석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를 배제하기 보다는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를 ‘받아들이고’, 이를 ‘전제’한 상태에서 충격반응함수를 살펴보자 한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 식에서 기술혁신수준(RnDi,t)이 이산화탄소 배출량(Pi,t) 미치는 영향을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나눠서 파악하고자 한다. 직접 효과는 기술혁신 수준(RnDi,t)과 이산화탄소 배출량(Pi,t)간의 직접적 경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반면, 간접적 영향은 기술혁신수준이 일인당 GDP(Yi,t)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Pi,t)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파악해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orld Bank의 88개 국가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일인당 소득과 오염물질 간의 역U자형 관계를 유발하는 결정요인으로 정부 R&D 투자 수준을 기술혁신(기술수준)의 대리변수로 직접적으로 포함시켜 분석하되, 기술혁신이 소득수준을 통해 오염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포함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R&D 투자의 증가 충격이 3년의 시차를 두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탔다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기술하였다.
  • 여기서 기술진보의 대리변수로 사용된 RnDi,t의 추정치는 도구변수(Patenti,t)를 이용한 2SLS(two-state Least Squares)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여기서 2SLS을 사용한 것은 RnDi,t 변수가 오차항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며, 도구변수를 사용하여 일치성(consistent)있는 추정치를 얻고자 한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술진보가 일인당 GDP에 미치는 영향은 1%의 유의수준에서 양(+)의 추정치를 갖는다.

가설 설정

  • )을 포함시켰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이 서비스업에 비해 에너지사용량과 온실가스배출량이 높다는 가정 하에, 경제 구조가 변화함에 따른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의 변화를 파악한다. 또한 전체 에너지 생산량에서 재생에너지 비중(Renewi,t)은 국가의 에너지 Mix의 의지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설명변수에 포함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환경쿠즈네츠 곡선(EKC, Environmental Kuznets Curve) 가설은 환경오염물질과 일인당 소득간의 역 U 자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제 발전 초기 단계에서, 일인 당 소득이 낮고 중공업 중심의 산업화 과정을 통해 경제가 성장하면서, 오염물질은 빠르게 증가한다.
경제 발전 초기에 오염물질은 왜 증가하는가? 환경쿠즈네츠 곡선(EKC, Environmental Kuznets Curve) 가설은 환경오염물질과 일인당 소득간의 역 U 자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제 발전 초기 단계에서, 일인 당 소득이 낮고 중공업 중심의 산업화 과정을 통해 경제가 성장하면서, 오염물질은 빠르게 증가한다. 그러나 얼마 후, 소득수준이 특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후기 산업 경제나 서비스 경제), 오염물질 배출량이 감소되는데, 이러한 전환의 배경에는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더 좋은 환경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증가하고, 오염물질 감축을 위한 정책과 관련 기술 분야에 혁신이 일어나거나, 산업구조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향을 변화 하는 것이 주요 결정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의 소득과 오염물질 간의 역U자의 관계를 결정하는 2가지 요인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의 소득과 오염물질 간의 역U자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결정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첫째는 Panayotou (2003)의 주장과 같이, 경제발전 초기 단계에는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특히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인해 오염물질 배출이 증가하는 반면, 어떤 특정 시점 이후에는 경제구조가 에너지를 덜 사용하는 서비스산업이나 경공업 중심 사회로 바뀌면서, 오염물질 배출량이 줄어든다는 논리이다. 두 번째 설명 방식은 Grossman & Kroger (1995)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소득수준이 증가하면,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R&D 지출을 늘릴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지출로 인해 기존의 공해를 유발하는 기술이 더 깨끗한 기술로 대체되어 오염물질 배출량이 감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R&D 투자의 증가는 생산의 증가로 이어져, 이를 통한 오염물질 배출량의 증가할 수 있는 간접효과의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rigo, M. R. and I. Love, "Estimation of Panel Vector Autoregression in Stata: a Package of Programs," working paper, 2015. 

  2. Andreoni, J. and A. Levinson, "The Simple Analytic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80, 2001, pp. 269-286. 

  3. Ang, J. B., " $CO_2$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and output in France," Energy Policy, 35, 2007, pp. 4772-4778. 

  4. Bianchi, C., F. Calidori, and M. Menegatti, "Pitfalls in Estimating ${\beta}$ -convergence by Means of Panel Data: an Empirical Test,"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s, Vol. 56, 2009, pp. 347-357. 

  5. Boston Consulting Group, "The innovation Imperative in Manufacturing-How the United States can Restore its Edge," 2009. 

  6. Caselli, F., G. Esquivel, F. Lefort, "Reopening the convergence debate: a new look at cross-country growth empirics," Journal of Economic Growth, Vol. 1, 1996, pp. 363-389. 

  7. Chimeli, A. B. and J. B. Braden,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49, 2005, pp. 366-380. 

  8. Dowrick, S. and M. Rogers, "Classical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beyond the Solow-Swan growth model," Oxford Economic Papers, Vol. 54, 2002, pp. 369-385. 

  9. Gangadharan, L. and Ma. R. Valenzuela, "Interrelationships Between Income, Health and the Environment: Extend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Ecological Economics, Vol. 36, 2001, pp. 513-531. 

  10. Grossman, G. M. and A. B. Krueger,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BER Working paper, 1991, p. 3914. 

  11. Grossman, G. M. and A. B. Krueger,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1995, pp. 353-377. 

  12. Holtz-Eakin, D., W. Newey, and H. S. Rosen, "Estimating Vector Autoregressions with Panel Data," Econometrica, Vol. 56, No. 6, 1988, pp. 1371-1395. 

  13. Islam, N., "Growth Empirics: A Panel Data Approach,"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1995, pp. 1127-1170. 

  14. Iwata, H., K. Okada, and S. Samreth, "Empirical Study on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for $CO_2$ in France: The Role of Nuclear Energy," Energy Policy, 2010, Vol. 38, pp. 4057-4063. 

  15. Leitao, A., "Corruption and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mpirical Evidence for Sulfur," Ecological Economics, Vol. 69, 2010, pp. 2191-2201. 

  16. Love, I. and L. Zicchino, "Financial development and dynamic investment behavior: Evidence from panel VAR," The Quarterly Review of Economicss and Finance, Vol. 46, 2006, pp. 190-210. 

  17. Nasir, M., and F. U. Rehman, "Environmental Kuznets Curve for carbon emissions in Pakistan: An empirical investigation," Energy Policy, Vol. 39, 2011, pp. 1857-1864. 

  18. Orubu, O. C., and D. G. Omotor,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Growth: Searching for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for Air and Water Pollutants in Africa," Energy Policy, Vol. 39, 2011, pp. 4178-4188. 

  19. Panayotou, T., "Demystifying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Turning a Black Box into a Policy Tool,"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 Economics, Vol. 2, 1997, pp. 469-484. 

  20. Panayotou, T.,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 Chapter 2, Economics Survey of Eurpoe, No. 2, 2003, pp. 45-67. 

  21. Smulders, S., L. Bretschger, and H. Egli, "Economic Growth and the Diffusion of Clean Technologies: Explaining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Vol. 49, 2011, pp. 7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