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MEA를 이용한 LPG 기화기의 재제조 표준공정 설계
Standard Process Design of Remanufacturing of LPG Vaporizer by using FMEA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3 no.6, 2014년, pp.54 - 62  

목학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송현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김덕중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홍진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이승민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안정태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LPG기화기의 재제조 공정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초기 고장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LPG 기화기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고장 분류를 통해 고장 현상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LPG 기화기의 재제조 단위 공정 및 부품에 대한 FMEA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단위 공정 및 부품에 대한 잠재적 고장 원인 및 고장 유형에 대한 심각도, 검출도, 발생도를 결정하고, R.P.N을 확인 후, 기준을 초과하는 공정 또는 부품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공정별 많은 누적빈도를 보이는 재제조 공정을 결정하고, 포괄적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LPG기화기의 표준공정을 설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 a improved process for remanufacturing of LPG vaporizer through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Based on the failure cause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faults that occur after the initial failure of LPG vaporizer remanufacturing, suggests improvements for high R.P.N.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링 결속 불량에 잠재적 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조치 내용은 가혹 조건 또는 특수한 조건하에서 기밀성을 시험 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하거나, 오링에 대한 고품 사용을 지양하고 신품을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조립 공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정렬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형상이 변화된 신제품의 오링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LPG 기화기의 재제조품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고장 유형에 대한 분류를 통해 표준 공정을 제안하기 위한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단위 공정별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해, 고장 원인을 파악하고, 일반적 재제조 공정과의 차이점을 분석해 단위 공정별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자동차 산업분야 대한 재제조품의 신뢰도 향상 및 소비자 인식을 개선을 위하여 Fig. 1과 같이 기존의 재제조 공정을 분석하고, FTA (Fault Tree Analysis)를 이용해 재제조품의 결함을 확인 후, FMEA를 기반으로 고장 원인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분류를 통해 단위 공정별 표준공정 마련을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제조는 무엇인가? 재제조는 사용 후 고품(Used product)을 분해·세척·검사·보수·조정·재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3). 고품을 재제조품으로 만들기 위해 소모되는 장비, 에너지, 노동력, 원자재 등의 자원 사용량은 신품 대비 각 자원별 5% 포인트 이상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재제조품의 성능은 신품 대비 90% 이상 발휘된다.
FMEA 의 평가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고장에 대한 현상 파악 및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FMEA 의 평가 구성 요소로는 발생하는 고장이 주행 또는 법규에 얼마나 치명적인가를 나타내는 심각도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발생도, 발생하는 고장이 확인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검출도 및 각 요소들의 곱으로 표현된 Risk Priority Number(R.P.N) 등으로 구성되며, 아래에 각 항목을 설명하였다.
LPG 기화기의 재제조공정과 일반적인 재제조 공정이 본 공정 작업순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본 공정의 작업 순서도 일반 공정과의 절차적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 공정의 경우 보수 후 완제품 조립을 실시하나, LPG 기화기의 경우 보수 후 하위 부품을 조립하고, 검사공정을 거친 후 완제품 조립을 진행한다. 공정 순서에서 발생하는 상이함은 LPG 기화기의 동작 특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감압, 기화, 조압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특성상 완제품 조립 이전에 하위 조립군이 완전 밀봉 되어져야 하며, 완전 밀봉 되어진 상태에서 1차실 및 2차실 등 제품 내부에 조립된 부품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검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ok, H. S., et al., 2011:Remanufacturing Industry for Automobile Parts of European, Transactions of KSAE, 19(1), pp.38-44 

  2. Mok, H. S., et al, 2010:Remanufacturing Industry for Automobile Parts of US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7(3), pp.58-65 

  3. Act No. 12154, 2014:ACT ON THE PROMOTION OF THE CONVERSION INTO ENVIRONMENTFRIENDLY INDUSTRIAL STRUCTUR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rticle 2 

  4. KS A 3112, 2007:Failure Reporting, Analysis and Corrective Action System 

  5. MIL-STD-721C, 1981:Definitions of Terms for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6. Roesch, W. J., 2012:Using a new bathtub curve to correlate quality and reliability,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52(12), pp.2864-2869 

  7. Omdahl, T. P., 1988: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RAM) dictionary, ASQC Quality press 

  8. MIL-STD-1629A, 1980:Procedures for Performing a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9. KS A IEC 60812, 2003: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10. Bahrami, M., Bazzaz, D. H., Sajjadi, S. M., 2012 : Innovation and improvements in projec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41, pp.418-425 

  11. Chang, D., Sun, K., 2009:Applying DEA to enhance assessment capability of FMEA,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26(6), pp.629-643 

  12. Kim, J. H., et al., 2008:Design for Reliability of Air-Launching Rocket, Mirinae II Using FMEA, JKSASS, 36(12), pp.1193-1200 

  13. Kolich, M., 2014:Using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to design a comfortable automotive driver seat, Applied ergonomics 45(4), pp.1087-1096 

  14. Franceschini, F., Maurizio, G., 2001:A new approach for evaluation of risk priorities of failure modes in FMEA,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39(13), pp.2991-3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