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for Nuclear Power and Rad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원문보기

방사선방어학회지 = Radiation prote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39 no.4, 2014년, pp.187 - 198  

이승구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  최윤석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  한은옥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에서 표준화된 원자력 및 방사선 기초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학생, 과학교사, 전문가의 입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초(78.4%), 중(78.6%), 고등학교(93.1%) 모두 높은 빈도로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학교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냈다. 교과목 제목은 초등학교의 경우 "방사선과 생활", 중, 고등학교의 경우 "원자력과 방사선"이다. 학급별로 한 학기, 주당 1시간(초등학교 40분, 중학교 45분, 고등학교 50분 기준) 교육을 요구하였다. 교재는 얇고, 만화와 사진이 많이 포함된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 시작시기로는 초등학생은 6학년, 중학생은 2학년, 고등학생은 1년 때 배우는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형태는 정규교과가 아니라 창의적 체험학습으로 학교와 과학교사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학급별로 교육시간, 교재형식, 교육형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모두 같은 요구 경향을 나타냈다. 고안된 교육과정을 모의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적합도는 5점 만점에서 초등학생 $3.88{\pm}0.60$점, 중학생 $3.89{\pm}0.60$점, 고등학생 $3.66{\pm}0.63$점으로 모두 70점(100점 만점 기준)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원자력 및 방사선이해를 바탕으로 가치판단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을 최초로 고안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둔다. 그러나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학교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후속조치로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개발, 관련 법령 개정, 교안제공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 developed a curriculum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science teachers, and professionals in order to carry out standardized, fundamental nuclear power and radiation education in school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78.4%, 78.6%, and 93.1% respectively exhibited (with h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정확한 자료를 모으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다[32, 3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별(학생, 교사, 전문가) 토론, 설문조사 등의 분석 과정을 통한 집단의 요구에 맞는 눈높이 맞춤식 교육과정을 개발한 것에 큰 의의를 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을 통한 지지를 얻기 위한 장, 단기적 학교교육 방안으로 학생, 교사,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초, 중, 고등학교에서 배워야할 내용은 학급 특성별로 요구에 차이가 있으나 초 (78.
  • 따라서,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원자력 및 방사선이용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을 할 수 있도록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에서 표준화된 원자력 및 방사선 기초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학교에서 표준화된 원자력 및 방사선 기초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학생, 과학교사, 전문가의 입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초(78.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학교교육에 대해 어떤 형태를 선호하였는가? 교육 시작시기로는 초등학생은 6학년, 중학생은 2학년, 고등학생은 1년 때 배우는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형태는 정규교과가 아니라 창의적 체험학습으로 학교와 과학교사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학급별로 교육시간, 교재형식, 교육형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모두 같은 요구 경향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한장희, 고영희. 한국수력원자력의 지역공동체 경영을 통한 원전 지역수용성 제고 전략 - 시련의 극복과 새로운 도전-. 한국경영학회지. 2012;16(2):21-28. 

  2. Yi JH, Lee JG, Seok DH. Identification of dimensions in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nd relationship with safety behavior.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2011;24(3):627-650. 

  3. Bird DK, Haynes K, Honert RVD et. al. Nuclear power in australia: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opinion regarding climate change and the Fukushima disaster. Energy Policy. 2013;65:644-653. 

  4. Prati G, Zani B. The Effect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on risk perception, antinuclear behavioral intentions, attitude, trust, environmental beliefs, and values. Environment and Behavior. 2013;45:782-798. 

  5. Siegrist M, Visschers VHM. Acceptance of nuclear power: The Fukushima effect. Energy Policy. 2012;59:112-119. 

  6. Yamamura E. Experience of technological and natural disaster and their impact on the perceived risk of nuclear accident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2011: A cross-country analysis.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2012;41:360-363. 

  7. Slovic P.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993;13(6):675-682. 

  8. Kasperson JX, Kasperson RE. SEI Risk and vulnerability programme report 2001-01. International workshop on vulnerability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01:1-34. 

  9. Epstein S.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and the psycho- dynamic unconscious. American Psychologist. 1994;49(8):709-724. 

  10. Cho SK, Oh SK. A theoretical approach to derive perception indicators influencing the acceptability on nuclear energy facilities and policies.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002;11(4):332-341. 

  11. Cho KY, Moon JH.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nuclear power by the local residents adjacent to nuclear installations.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2011;9(3):181-189. 

  12. 오미영, 최진명, 김학수.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낙인이 방사선기술이용 생산물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춘계학술회 논문집. 2007:139-143. 

  13. 박상태, 최혁준, 김준태 등. 물리 교사들의 방사선 개념에 대한 인식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5;25(5):603-609. 

  14. 권성호, 서윤경, 강인경.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2002;8(2):29-59. 

  15. Roberts DA. Scientific literacy. In abell sk. lederman ng(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2007:729-780. 

  16. Zeidler DL, Sadler TD, Simmons ML et. al.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2005;89:357-377. 

  17. Sadler TD.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41:513-536. 

  18. 장지영, 문지영, 유호숙 등.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2;32(7):1124-1138. 

  19. 김광선. 초등학생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인식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교육연구논문. 2013:35. 

  20. 권낙원. 교육과정 총론. 한국교원대학교. 2000. 

  21. Hirst PH. Knowledge and the curriculum : A collection of philosophical paper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4:1-193. 

  22. 이규석. 교과용 도서의 새로운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토론회 자료집,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1998. 71 

  23. Roberts DA. Scientific literacy, science literacy. S.K.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2007:729-780. 

  2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과 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2011;63. 

  25. 홍후조.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우수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1-256. 

  26. 임영은. 2009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편성 내실화 방안 연구. 교육연구논문. 2010;32:1-68. 

  27. Slovic P. Perception of risk from radiation. In Slovic P. the perception of risk. London: earth scan publication ltd. 2000:264-274. 

  28. 권영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체제 분석 연구: 1954년-1997년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04:1-229. 

  29. Olson L. Tennessee reconsiders value-added assessment system. Education week. 2004;23(5):9. 

  30. Bracey GW. Value-added models, Front and center. Phi delta kappan. 2006;87(6):478-481. 

  31. Glatthorn AA, Boschee F, Whitehead BM. Curriculum leadership: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AGE publications. 2009:1-552. 

  3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2. 

  33. 홍후조, 박순경. 교육과정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기준의 변화와 질관리 방안의 개선을 중심으로. 2002년도 교육과정 후속 지원연구과제 답신 보고. 2002. 

  34. 김준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삽화 비교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정완호. 고등학교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I, II 교과서 구성 방향 및 체제, 과학교과의 새 교과서 구성 방향 및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 세미나 자료. 1993:54-72. 

  36. 김애경. 효과적인 창의.인성교육 정착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방안. 교육연구논문. 2011;33:1-89. 

  37.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38. Piaget J. Intelligence and affectivity: Their relationship during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s monograph. 1981.1-77. 

  3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지속가능과학의 본질연구 및 과학 분류체계 작성과 중장기 발전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구보고서. 2011;75:1. 

  40. 과학기술기본법 제27조.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과학기술부 고시 제2008-159. 

  41. 부경희. 공익광고 메시지의 귀인 효과에 관한 실증연 구: 메시지 프레이밍 중개요인들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2001;12(4):7-35. 

  42. Kliebard, HM. Metaphorical roots of curriculum design. In pinar, w(ed.). Curriculum theorizing: The reconceptualists. 1975;84-85. 

  43. 안귀덕, 배호순, 현주. 한국 중, 고등학교 학생의 관심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5. 

  44. 최호성. 교육 민주화의 맥락에서 본 교육과정 개발. 교육 이론과 실천 창간호. 1991;186-187. 

  45. 초.중등교육법. 법률 제12338호. 2014. 

  46. 김희백.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 2007년, 2009년 개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2011;77:113-132. 

  47. Marsh CJ, Willis G.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3r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2003:1-416. 

  48. Hobbs R. The seven great debates in the media literacy mov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1998;48:82-9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