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요인에 의한 철원지역 두루미류 월동개체수 변화 -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와 지속기간의 영향 -
Wintering Population Change of the Cranes according to the Climatic Factors in Cheorwon, Korea: Effect of the Snow Cover Range and Period by Using MODIS Satellite Dat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3, 2015년, pp.176 - 187  

유승화 (국립생태원) ,  이기섭 (한국물새네트워크) ,  정화영 (국립생태원) ,  김화정 (국립생물자원관) ,  허위행 (국립생물자원관) ,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두루미와는 달리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대체 월동지(일본의 이즈미)가 있다. 따라서 철원지역 눈 덮임의 정도에 따라 연도별로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일반적으로 분석되는 기상청의 기후자료와 함께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을 분석하였다.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개체수 자료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1월 개체수를 활용하였다. 철원지역의 기온은 2002년부터 2007~2008년도 월동기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2011~2012년도 월동기에 가장 낮은 온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온량지수도 유사한 증감의 경향을 보였다. 신적설량은 2002년 이후 낮게 유지되었으나 2010~2011, 2011~2012년 크게 증가한 형태를 보였다. 눈 덮임의 범위는 2002년부터 2005~2006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2009~ 2010, 2010~2011년 월동기에 급격히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른 기후요인에 비하여 1월의 눈 덮임 범위가 넓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두루미의 개체수는 일반적 기후요인뿐만 아니라 눈 덮임 관련 요인에 대해서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두루미의 개체군 변동은 기후요인에 변화하지 않고 다른 서식지 선택요인 (안정적 잠자리, 취식지 넓이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중 회기분석에서 눈 덮임 범위 및 기간의 로그값과 유의미한 회귀관계가 성립하였다. 따라서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월동기 눈 덮임의 범위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눈 덮임에 의해 먹이원인 낙곡을 찾기 힘들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개체수 변화는 다른 월동지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인 일본의 이즈미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즈미 월동지의 재두루미 개체수와 철원의 개체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져 서로 연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size of wintering crane population would change due to the climate factors. We assumed that wintering population size would differ by climate values in January, which is the coldest period in year. Especially, White-naped cranes were able to choose winter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월동개체수와 기후변화 경향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연구하려 하였다.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변수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의 눈 덮임 자료를 분석하여 밝히도록 하였다.
  •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가 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월동기의 눈 덮임 범위 및 기간과 두루미류 월동개체군의 규모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변수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의 눈 덮임 자료를 분석하여 밝히도록 하였다. 특히, 재두루미의 월동개체군의 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후요인을 도출하고, 재두루미의 또 다른 월동지인 일본의 이즈미와의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이 낮고 눈 덮임이 넓은 범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두루미류의 월동개체수가 감소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이 낮고 눈 덮임이 넓은 범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두루미류의 월동개체수가 감소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가 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 2006), 두루미류의 경우 장소에 대한 선호성이 강하여 대체 가능한 서식지로의 이동이 적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rton, K.A. and A. Zalewski. 2007. Winter severity limits Red Fox populations in Eurasia.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6: 281-289. 

  2. Bellard, C., C. Bertelsmeier, P. Leadley, W. Thuiller and F. Courchamp. 2012.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future of biodiversity. Ecology Letters 15: 365-377. 

  3. Bethke, R.W. and T.D. Nudds. 1995.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and use on duck abundance in Canadian Prairie-Parkland. Ecological Application 5(3): 588-600. 

  4. Chamberlain, D.E., R.J. Fuller, R.G.H. Bunce, J.C. Duckworth and M. Shrubb. 2000.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armland birds in relation to the timing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in England and Wal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 771-788. 

  5. Cheorwon County; CC. 2002. Conservation plan of the migratory birds and the establishment strate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Cheorwon County Office, 398pp. (in Korean) 

  6. Elkins, N. 1988. Weather and bird behaviour. T & A Poyser Ltd. Calton. Second Edition. 239p. 

  7. Foden, W., G. Mace, J.C. Vie, A. Angulo, S. Butchart, L. DeVantier, H. Dublin, A. Gutsche, S. Stuart and E. Turak. 2008. Species susceptibility to climate change impacts. In: Vie, J.C. Hilton, C. Taylor and S.N. Stuart (eds). The 2008 Review of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Gland, Switzerland, pp. 77-88. 

  8. Foden, W.B., S.H.M. Butchart, S.N. Stuart, J. Vie, H.R. Akcakaya, A. Angulo, L.M. DeVantier, A. Gutsche, E. Turak, L. Cao, S.D. Donner, V. Katariya, R. Bernard, R.A. Holland, A.F. Hughes, S.E. O’Hanlon, S.T. Garnett, C.H. Sekercioglu, G.M. Mace. 2013. Identifying the world’s most climate change vulnerable species: a systematic trait-based assessment of all birds, amphibians and corals. PLoS ONE 8: e65427. 

  9. Gaston, K.J., T.M. Blackburn, J.J.D. Greenwood, R.D. Gregory, R.M. Quinn and J.H. Lawton. 2000. Abundance-occupancy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1): 39-59. 

  10. Hall, D.K., G.A. Riggs, V.V. Salomonson, N.E. DiGirolamo and K.A. Bayr. 2002. MODIS snow-cover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181-194. 

  11. Harsch, M.A., P.E. Hulme, M.S. McGlone and R.P. Duncan. 2009. Are treelines advancing? A global meta-analysis of treeline response to climate warming. Ecololgy Letters 12: 1040-1049. 

  12. Healy, H. 2011. A vision for cranes in a divided Korea. ICF Boogle 37(1): 1-3. 

  13. Hilty, J.A., W.Z. Lidicker and A.M. Merenlender. 2006. Corridor Ecology: The science and practice of linking landscape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sland Press, Washington, Covelo, London. 323p. 

  14. Jedrzejewski, W., B. Jedrzejewska, H. Okarma and A.L. Ruprecht. 1992. Wolf predation and snow cover as mortality factors in the ungulate community of the Bialowieza National Park, Poland. Oecologia 90: 27-36. 

  15. Kira, T. 1945. A new classification of climate in Eastern Asia as the basis for agricultural geography. Horticultural Institute. Kyoto University, Kyoto. 

  16. Kong, S.J., J.H. Shin and K.C. Yang. 2013. RC 8.5 The study of adaptable plant species according to warmth index using RCP 8.5 scenarios in Cheonan-Si.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3): 19-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o, T.H. 1980. Crane Ecology. Nature Conservation 32: 32-33. (in Korean) 

  18.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Available: http://www.kma.go.kr/index.jsp 

  19. Lee, K.S. 2000. Current status and population fluctuations of waterbirds on the west coast of Korea. Ph. D. Dissertation of the Kyung-Hee University. 21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S., K.G. Lee and J.C. Yoo. 2006. Population fluctuation of waterbirds staying on Hangang River in Seoul by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2(2): 7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M. and Y.E. Choi. 2013.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tic oscillation and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extreme climate events during spring over the Republic of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4): 453-4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moine, N., H.G. Bauer, M. Peintinger and K. Bohning-Gaese. 2007. Effe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species abundance in a Central European bird community. Conservation Biology 21: 495-503. 

  23. MODIS Tutorial 2012. Available in: https://lpdaac.usgs.gov/sites/default/files/public/modis/docs/MODIS_LP_QA_Tutorial-1b.pdf 

  24.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4. Comprehensive report of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from 1999 to 200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25.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2014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 NIBR No. 2014-01-021. (in Korean) 

  26. NIBR. 2015. 2014-2015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No. 11-1480592-000013-10. (in Korean) 

  27. Newton, I. 1998. Population limitation in birds. Academic Press, London, UK. 597p. 

  28. Nowald, G., N. Donner and M. Modrow. 2010.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wintering site selection of Eurasian Cranes. In: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Climate-Cranes-People. Muraviovka Park, Amur Region, Rusia. 

  29. Opdam, P. and D. Wascher. 2004. Climate change meets habitat fragmentation: linking landscape and biogeographical scale levels in research and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17: 285-297. 

  30. Pae, S.H. 1994. Wintering ecology of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and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Cholwon basin, Korea.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43p. 

  31. Pae, S.H. 2000. A study on habitat use of wintering cranes in DMZ, Korea: with carrying capac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using GIS. Dissertation of the Kyung Hee University. 7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armesan, C. and G. Yohe. 2003.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s. Nature 421: 37-42. 

  33. Prior, J. and M. Kendon. 2011. The UK winter of 2009/2010 compared with severe winters of the last 100 years. Weather 66(1): 4-10. 

  34. Pshennikow, A. 2010. Dynamics of tundra landscapes in areas of Siberian Crane reproduction. In: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Climate Cranes People. Muraviovka Park, Amur Region, Rusia. 

  35. Reif, J. and J. Flousek. 2012. The role of species’ ecological traits in climatically driven altitudinal range shifts of central European birds. Oikos 121: 1053-1060. 

  36. Roy, D.B., P. Rothery, D. Moss, E. Pollard and J.A. Thomas. 2001. Butterfly numbers and weather, predicting historical trends in abundance and the future effects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Animal Ecology 70: 201-217. 

  37. Sanderson, F.J., P.F. Donald, D.J. Pain, I.J. Burfield and F.P.J. van Bommel. 2006. Long-term population declines in Afro-Palearctic migrant birds. Biological Conservation 131: 93-105. 

  38. Wang, C., H. Liu and S.K. Lee. 2010. The record-breaking cold temperatures during the winter of 2009/2010 in the Northern Hemisphere. Atmospheric Science Letters 11: 161-168. 

  39. Yeom, J.M., K.S. Han and G.L. Lee. 2009. The characteristics of visible reflectance and infrared band over snow cover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2): 193-203. 

  40.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177-189. 

  41. Yoo, S.H., H.S. Kwon, J.J. Park and C.H. Park. 2011a.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4): 516-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Yoo, S.H., K.S. Lee and J.C. Yoo. 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off between vehicular interruption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focused on the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6): 526-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Yoo, S.H., K.S. Lee, J.H. Kim and J.H. Park. 2011b. Long-term monitoring result and factors of the wintering crane’s population change in Cheorwon, Korea: historic change and impact assessment of weather change by the MODIS.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8(1): 59-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