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기법을 이용한 북한강 수역 Anabaena strain의 동정 및 Geosmin 생산 잠재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Geosmin Production Potential of Anabaena stain Isolated from North Han River using Genetic Method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4, 2014년, pp.342 - 349  

김건희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유경아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박명환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정환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백호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북한강 수계에서 번성하고 있는 Anabaena strain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 수준의 동정과 geosmin 합성 유전자의 탐침을 통해 이취미 물질의 잠재 생산능력을 분석하였다. 현장(경기도 양평군 조암면 삼봉리 수역)에서 분리 배양한 Anabaena는 직선형과 나선형 두 가지의 형태적 변이를 보였다. 이들은 세포의 크기와 사상체에서 형태적 차이를 나타냈으며, A. circinalis 및 A. crassa와 유사한 형태적 특징들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6S rDNA 계통수 및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선형과 나선형 모두 동일한 A. circinalis 종으로 확인되었다(98%~100%의 유전적 유사도). 또한 직선형과 나선형 strain 모두에서 geosmin을 합성하는 유전자 구간이 발견되어, 북한강 수계에 존재하는 Anabaena circinalis는 종의 형태적 변이에 관계없이 geosmin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 수준에서 A. circinalis의 geosmin 생산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보고로서 북한강 수계에서 geosmin 증가의 원인종 확인 및 관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loom-forming Anabaena strains with two phenotypes (straight-type and coil-type) isolated from North Han River (Sambong-ri Joam-myun) using 16S rDNA sequence. The odor material producing potential was also examined using the geosmin-synthesizing gene clu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북한강 수계에서 번성하고 있는 Anabaena strain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 수준의 동정과 geosmin 합성 유전자의 탐침을 통해 이취미 물질의 잠재 생산능력을 분석하였다. 현장(경기도 양평군 조암면 삼봉리 수역)에서 분리 배양한 Anabaena는 직선형과 나선형 두 가지의 형태적 변이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수역에서 geosmin 농도가 급증한 시기 동안에 우점하였던 Anabaena strais의 분자적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및 유연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geosmin 생산 잠재성을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 또한 직선형과 나선형 strain 모두에서 geosmin을 합성하는 유전자 구간이 발견되어, 북한강 수계에 존재하는 Anabaena circinalis는 종의 형태적 변이에 관계없이 geosmin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 수준에서 A. circinalis의 geosmin 생산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보고로서 북한강 수계에서 geosmin 증가의 원인종 확인 및 관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nabaena strain에서 배양된 세포의 DNA를 추출하는데 사용한 kit는? Genomic DNA extraction kit (Macherey-Nagal, USA) 를 사용하여 배양된 세포의 DNA를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는 lysis 용액 및 silica bead와 함께 vortexing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용출된 세포혼합액 700 μL를 microcolumn의 resin에 옮겨 담고 원심분리하여 DNA만 흡착∙분리하였다.
담수생태계에서 남조류에 의한 이취미 물질의 발생의 악영향은? 담수생태계에서 남조류에 의한 이취미 물질의 발생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었으며 음용수 공급 등 물이용에 상당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Saadoun et al., 2001; Tsujimura and Okubo, 2003; Wang et al.
Anabaena strain의 DNA 추출 및 PCR 증폭 실험에서, 흡착∙분리한 DNA 중 16S rRNA 유전자를 PCR 증폭한 이유는? 용출된 세포혼합액 700 μL를 microcolumn의 resin에 옮겨 담고 원심분리하여 DNA만 흡착∙분리하였다. 분리된 Anabaena의 정확한 종 단위 검증을 위하여 16S rRNA 유전자를 PCR 증폭하였다. 이를 위해 CYA106F (GGG GAA TTT TCC GCA ATG GG) (Nüb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uchet, A. 1999. Solved and unsolved cases of taste and odor episodes in the files of Inspector Cluzeau. Water Science Technology 40:15-21. 

  2. Cho, K.S., B.C. Kim, W.M. Heo and S.J. Cho. 1989.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in Lake Soy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0: 73-82. 

  3. Choi, A.R., J.H. Park and J.A. Lee. 2002. Population dynamics and the toxin Anabaena in the lower Nakdong River. Algae 17(2): 95-104. 

  4. Choi, G.G., C.Y. Ahn and H.M. Oh. 2012.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throspira strains inferred from 16S rRNA gene and cpcBA-IGS sequences. Algae 27(2): 75-82. 

  5.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6. Guillard, R.R.L. 1973. Methods for micro flagellates and nanoplankton. p. 69-85. In: Handbook of phylogical Methods, culture Method and Growth measurement (Stein, J.R.,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Han River Watershed and Environment Management District (HRWEMD). 2012. Distribution and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rmful algae in North Han River. Final Report. 

  8. Jagadeesan, P., B. Priya, D. Prabaharan and L. Uma. 2009. Genetic heterogeneity of the marine cyanobacterium Leptolyngbya valderiana (Pseudanabaenaceae) evidenced by RAPD molecular markers and 16S rDNA sequence data.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31(10): 1141-1150. 

  9. Jung, S.W., J.H. Lee and H.K. Heo. 2004.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I. The stati stical analysis of eutrophication facto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 78-86. 

  10. Kim, B.H., J.Y. Choi, M.S. Han and S.J. Hwang. 2004. Influences of nutrient deficiency on the phytoplankton in Paltang reservoir,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 47-56. 

  11. Kim, M., H.-S. Oh, S.-C. Park and J.S. Chun. 2014. Towards a taxonomic coherence between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d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for species demarcation of prokaryo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4: 346-351. 

  12. Kwon, O.Y., S.W. Chung and J.W. Lee. 2006.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III. Physicochemical factors contributing to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 340-351. 

  13. Komarek, J. and E. Zapomelova. 2007. Planktic morphospecies of the cyanobacterial genus Anabaenasubg. Dolichospermum - 1. part: coiled types. Fottea 7: 1-31. 

  14. Komarek, J. and E. Zapomelova. 2008. Planktic morphospecies of the cyanobacterial genus Anabaenasubg. Dolichospermum - 2. part: straight types. Fottea 8: 1-14. 

  15. Lane, D., B. Pace, G.J. Olsen, D.A. Stahl, M.L. Sogin and N.R. Pace. 1985. Rapid determination of 16S ribosomal RNA sequences for phylogenetic analys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2: 6955-6959. 

  16. Li, Z., M.S. Han, S.O. Hwang, M.S. Byeon, S.J. Hwang and B.H. Kim. 2013.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Bloomforming Cyanobacterium Anabaena from North Han River System in summer 2012.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2): 301-309. 

  17. Lyra, C., S. Suomalainen, M. Gugger, C. Vezie, P. Sundman, L. Paulin and K. Sivonen. 200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lanktonic cyanobacteria of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nd Planktothrix genera.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1: 513-526. 

  18. Ludwig, F., A. Medger, H. Bornick, M. Opitz, K. Lang, M. Gottfert and I. Roske, 2007.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nalyses of putative sesquiterpene synthase genes in Phormidium sp. and prevalence of geoA-like genes in a drinking water reservoir.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3: 6988-6993. 

  19. Neilan, B.A., D. Jacobs and A.E. Goodman. 1995.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y of toxic cyanobacteria determined by DNA polymorphisms within the phycocyanin locus.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1: 3875-3883. 

  20. Nubel, U., F. Garcia-Pichel and G. Muyzer. 1997. PCR primers to amplify 16S rRNA genes from cyanobacteria.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3(8): 3327-3332. 

  21. Nylander, J.A.A. 2004. Bayesian phylogenetics and the evolution of gall wasps. Comprehensive Summaries of Uppsala Dissertations from the Facul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SN 1104-232X; 937 

  22. Saadoun, I., K.K. Schrader and W.T. Blevins. 2001. Identification of geosmin as a volatile metabolite of Anabaena sp. Journal of Basic Microbiology 41: 51-55. 

  23. Su, M., V. Gaget, M. Burch, W. An and M. Yang. 2013. Establishment of quantitative PCR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geosmin producing potential and Anabaena sp. in freshwater systems. Water Research 47(10): 3444-3454. 

  24. Tamura, K., G. Stecher, Peterson, A. Filipski and S. Kumar.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0: 2725-2729. 

  25. Tamura, K. and M. Nei. 1993. Estimation of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in the control region of mitochondrial DNA in humans and chimpanze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0: 512-526. 

  26. Thomazeau, S., A. Houdan-Fourmont, A. Coute, C. Duval, A. Couloux, F. Rousseau and C. Bernard. 2010. The contribution of sub-Saharan African strains to the phylogeny of cyanobacteria: focusing on the Nostacaceae (Nostocales, Cyanobacteria). Journal of Phycology 46(3): 564-579. 

  27. Tsao, H.W., A. Michinaka, H.-K. Yen, G. Steven, H. Peter, M. Paul and T.-F. Lin. 2014. Monitoring of Geosmin producing Anabaena circinalis using quantitative PCR. Water Research 49: 416-425. 

  28. Tsujimura, S. and T. Okubo. 2003. Development of Anabaena blooms in a small reservoir with dense sediment akinete popul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emperature and irradiance.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5: 1059-1067. 

  29. Wacklin, P., L. Hoffmann and J. Komarek. 2009. Nomenclatural validation of the genetically revised cyanobacterial genus Dolichospermum (Ralfs ex Bornet et Flahault) comb. nova. Fottea 9(1): 59-64. 

  30. Wang, S.H., A.R. Dzialowski, J.O. Meyer, F. de Noyelles, N.C. Lim, W.W. Spotts and D.G. Huggins. 2005. Relationships between cyanobacterial production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Midwestern Reservoir, USA. Hydrobiologia 541: 29-43. 

  31. Watson, S.B., M. Charlton, Y.R. Rao, T. Howell, J. Ridal, B. Brownlee, C. Marvin and S. Millard. 2007. Off flavours in large waterbodie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in synchro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5: 1-8. 

  32. Wilmotte, A. and S. Golubic. 1991. Morphological and genetic criteria in the taxonomy of cyanophyta/cyanobacteria. Algololical Studies 64: 1-24. 

  33. You, K.A., M.S. Byeon, S.J. Youn, S.J. Hwang and D.H. Rhew. 2013. Growth Characteristics of Blue-green Algae (Anabaena spiroides) Causing Tastes and Odors in the North-Han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135-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