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잡곡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분석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nalysis of Consumption Status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Grains and Related Factors in a Korean Population: Based on Data from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748 - 758  

한규상 (우송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학과) ,  이영미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5기 2차년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잡곡밥 섭취 현황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백미밥 또는 잡곡밥을 하루 한끼 이상 섭취한 7,190명의 자료와 이들이 섭취한 백미밥 또는 잡곡밥 총 15,250끼니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일 잡곡밥 섭취횟수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28.9%가 하루 한 끼의 잡곡밥을 섭취하였고, 24.3%는 하루 두 끼, 14.4%는 하루 세 끼의 잡곡밥을 섭취하였다. 잡곡밥을 한 끼도 섭취하지 않은 사람은 32.4%였다. 2. 잡곡밥 섭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성별, 거주지역, 결혼 여부,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군에 따라서는 40대에 비해 19~29세, 30대에서는 잡곡밥을 하루 한 끼 이상 섭취할 확률이 각각 0.5배, 0.6배로 낮았다. 이와는 달리 40대에 비해 50대와 60대는 잡곡밥을 하루 한 끼 이상 섭취할 확률이 각각 1.9배, 5.0배로 높았다. 3. 백미밥과 잡곡밥의 섭취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53.6%)보다는 여자(64.5%)에서 잡곡밥 섭취 비율이 더 높았다. 연령에 따라서는 1~18세, 60대 이상의 연령군에서 잡곡밥 섭취 비율이 60% 이상으로 높았다.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농어촌(54.8%)보다 중소도시(57.5%), 대도시(62.0%)로 갈수록 잡곡밥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4. 밥류 종류별 섭취 빈도를 분석한 결과, 백미밥이 4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백미에 백미 이외의 곡류 및 두류를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지은 잡곡밥, 보리밥, 혼합곡 상품을 이용한 잡곡밥, 흑미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곡류 종류별 섭취 빈도를 분석한 결과, 백미의 섭취 빈도가 37.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보리, 흑미, 검은콩, 찹쌀현미 등의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nsumption status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grains as well as examine related factors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the second year (2011) in the fifth stage, we extracted data on 7,190 people aged 1 year an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식사패턴 변화 양상을 분석한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Moon et al 1994, Kye et al 1996, Song et al 2005, Choi & Moon 2007, Choi & Moon 2008, Song et al 2009, Kang et al 2011), 대부분 주식류, 부식류 등 전반적인 식사패턴을 분석한 내용들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잡곡밥을 중심으로 섭취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나 관련 요인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5기(2011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잡곡밥 섭취실태를 분석하고, 잡곡밥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제 5기 2차년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잡곡밥 섭취 현황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백미밥 또는 잡곡밥을 하루 한끼 이상 섭취한 7,190명의 자료와 이들이 섭취한 백미밥 또는 잡곡밥 총 15,250끼니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이 잡곡밥을 섭취하는데, 어떤 장애 요인이 있는가? 부드럽고 찰진 식감의 백미밥에 길들여져 있는 한국인들의 경우, 다양한 곡류를 혼합하여 섭취하는 데 있어서 맛, 색, 거친 식감이나, 딱딱한 경도와 같은 조직감은 곡류 혼합밥을 섭취하는 데 있어서 장애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Kim &Lee 2006, Yoon et al 2011, Korea Agro-Fisheries &Food Trade Corp 2007). 더군다나 저작 및 소화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영유아 및 노인들에게 있어서는 특히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곡류의 섭취를 통해, 어떤 질환의 발생위험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전곡류는 일반적으로 잡곡이라고 불린다. 전곡류는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섬유소, 항산화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Slavin J 2004), 전곡류의 섭취를 통해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발생위 험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cobs et al 1998, Liu et al 1990, McKewon et al 2002, Montonen et al 2003, Wang et al 2007).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하루 한 끼를 정백미 대신 전곡류로 섭취하면 혈당개선 효과 및 동맥경화 위험 요소에 대한 감소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으며(Chang et al 2000), 현미밥의 섭취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Kim et al 2012).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단 구성은 어떤 형태인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단 구성은 쌀이 주가 되는 밥을 주식으로 하고, 여기에 국이나 찌개, 김치, 기타 반찬이 첨가 되는 형태로, 밥류는 한국인의 주요 에너지원 중 기여순위가 가장 높다(Moon et al 1994, Song et al 2005, Jung et al 2011, Kang et al 2011). 그러나 사회경제적 변화로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되고, 간편식의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빵, 면, 만두류와 같은 밀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동물성 식품 및 지방의 과잉 섭취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Chung et al 2006; Choi &Moon 2008; Ki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dams JF, Engstrom A (2000) Helping consumers achieve recommended intakes of whole grains. J Am Coll Nutr 19: 339S-344S. 

  2. Ahn EM, Kang MS, Gong JE, Choe JS, Park YH, Lee JY, Kim HR (2011) The changes of energy nutrient intake,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staple food consumption-Based on the first to the forth(1998-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IV-2)-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2: 669-678. 

  3. Baik IK (2011) Studies on dietary patterns in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6: 45-48. 

  4. Chang Y, Lee JH, Um YR, Cho EY, Park HY, Hwang JK, Yeo IH (2000) Whole grain consumption reduces insulin demand, lipid peroxid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Circ J 30: 693-701. 

  5. Choi JH, Moon HK (2007) Dietary pattern by sex and age with menu analysis using 1998,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798-814. 

  6. Choi JH, Moon HK (2008)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s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346-358. 

  7. Chung SJ, Kang SH, Song SM, Rou SH, Yoon J (2006) Na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 841-849. 

  8. Cleveland LE, Moshfegh AJ, Albertson AM, Goldman JD (2000)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J Am Coll Nutr 19: 331S-338S. 

  9. Han KS, Hong SH (2002) A study of the operation of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and menu preference of middle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7: 559-570. 

  10. Jacobs DR, Meyer KA, Kushi LH, Folsom AR (1998) Whole-grain intake may reduce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death in postmenopausal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American J Clin Nutr 68: 248-257. 

  11. Jang HL, Kim KW, Jeong YJ, Youn KS, Woo SC, Yoon KY (2013) Establishment of mixing ratio of multigrain rice for adolescent and aged people and its nutritional and functional estim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3-61. 

  12. Jang HL, Lim HJ, Lee Y, Kim KW, Yoon KY (2012) A survey on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multigrain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53-860. 

  13. Jung ES, Shin DS, Doo JK, Chae SW, Kim YS, Park YM (2010)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tes in Jeollabuk-do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mixed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49-1055. 

  14. Jung HJ, Song WO, Paik HY, Joung HJ (2011) Dietary characteristics of macronutrient intake and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s. Korean J Nutr 44: 119-130. 

  15. Kang MJ, Joung HJ, Lim JH, Lee YS, Song YJ (2011)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 152-161. 

  16.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2003) Meal preference on the school food serv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llanamdo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44-154. 

  17. Kim MA, Kim KS, An DH (2011)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8: 37-55. 

  18. Kim SH, Chan MH, Kim YK (2006)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45-954. 

  19. Kim SH, Cho SW, Hwang SS, Ahn M, Lee D, Kang SW, Park YK (2012)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45: 452-461. 

  20. Kim YO (2008) Changes in health status with the changing patterns of rice consumption among Korea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 15-21. 

  21.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22.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 (2007) Consumption pattern of major staple crops, pp. 42-49. 

  23. Kye SH, Lee HS, Park MA, Moon HK (1996) The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from 1993 Korean National Nutriton Survey(II)-Amounts and frequency of dishes intake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581-592. 

  24. Lang R, Jebb SA (2003) Who consumes whole grains, and how much? Proc Nutr Soc 62: 123-127. 

  25. Lee KE, Hong WS, Kim MH (2005) Students food preferences on vegetarian menus served at middle and high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1: 320-330. 

  26. Lee KH, Park ES (2010) School food 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Focused on Iksan. Cheonbuk-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108-123. 

  27. Lee SM (2011) Association of whole grain consump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eating behavior factors in a Korean population: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 353-363. 

  28. Lee YM (2012) Analysis of changes in children's meal structure and traditional aspects of school lunch menus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92-98. 

  29. Liu S, Stampfer MJ, Hu FB, Giovannucci E, Rimm E, Manson JE, Hennekens CH (1990) Whole-grain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s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American J Clin Nutr 70: 412-419. 

  30. McKeown NM, Meigs JB, Liu S, Wilson PWF, Jacques PF (2002) Whole-grain intak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erican J Clin Nutr 76: 390-398. 

  31. Ministry of Education (2013) Regulations for school foodservice act. http://www.law.go.kr Accessed on Jun. 11. 2013.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pp. 37-46. 

  33. Montonen J, Knekt P, Jarvinen R, Aromaa A, Reunanen A (2003) Whole-grain and fiber intake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erican J Clin Nutr 77: 622-629. 

  34. Moon HK, Chung HR, Cho EY (1994) Analysis of menu patterns from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1990. Korean J Dietary Culture 9: 241-250. 

  35. O'Neil CE, Nicklas TA, Zanovec M, Cho S (2010) Whole-grain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and nutrient intake in adul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4. J Am Diet Assoc 110: 1461-1468. 

  36. Slavin J (2004) Whole grains and human health. Nutr Res Rev 17: 99-110. 

  37. Son SH, Lee HJ, Park K, Ha TY, Seo JS (2013) Nutritional evalu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multi-grains in Kor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ean J Community Nutr 18(1): 77-87. 

  38. Song YJ, Paik HY, Joung HJ (2009)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 722-733. 

  39. Song YS, Joung HJ, Paik HY (2005)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8: 219-225. 

  40.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 pp. 36-46. 

  4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The scoop on whole grains. Available from http://www.fda.gov/consumer/updates/wholegrains050609.html Accessed on Jul. 4. 2013. 

  42. Wang L, Gazian JM, Liu S, Manson JE, Burring JE, Sesso HD (2007) Whole-grain and refined-grain intakes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in women. J Am Coll Nutr 86: 472-479. 

  43. Woo T, Ji Y, Lee KH (2011)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workbook for improvement of child picky eaters-focused on 2nd and 3rd grades- J Korean Diet Assoc 17: 130-141. 

  44. Yoon SW, Jeong JS, Jin HJ (2011) A conjoint analysis of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mixed cereals using salesclerks in the cereals sector of discount stores.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8: 99-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