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전라북도 지역 당뇨환자의 잡곡밥 섭취 실태 및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의 관능검사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etes in Jeollabuk-do an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8명의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잡곡밥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BMI를 측정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1.7%가 과체중 이상이었다. 잡곡밥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94.1%가 잡곡밥을 섭취하였고, 성별에 따른 섭취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주 섭취하였으며(p<0.05),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남녀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잡곡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더 많은 잡곡을 혼합하였으며(p<0.01), 지속적인 섭취 여부를 알아본 결과 '지속적으로 먹겠다'라고 응답한 여성이(47.1%) 남성(36.8%)보다 많았다(p<0.05). 잡곡밥 섭취 기간은 3년 이상 섭취 59%, 잡곡의 구입 장소는 집주변 소형마트 46.0%로 가장 많았으며, 흰밥에 가장 많이 혼합하는 잡곡은 검정콩(76.5%)으로 조사되었다.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잡곡의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만든 RMGD-40의 비교 관능검사 결과 겉모양과 색깔에 있어 잡곡의 함량이 많은 RMGD-50이 상대적으로 잡곡의 함량이 적은 RMGD-40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3.33{\pm}0.68$, $3.50{\pm}0.81$),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혼합비율이 보다 낮은 잡곡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GD-40과 찰성 곡물 함량이 많은 Control 1, 백미인 Control 2를 비교 평가한 결과 Control 1에 비해 RMGD-40은 겉모양, 냄새, 색깔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잡곡밥에 익숙한 입맛을 가진 당뇨환자들에게 백미는 질기, 씹힘성, 맛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3.26{\pm}0.82$, $3.48{\pm}0.85$, $3.19{\pm}0.70$), 이는 RMGD-40 및 Control 1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결론적으로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비율이 보다 낮고 찰성 곡물의 함량이 많은 잡곡밥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혈당 관리를 위하여 당뇨환자들에게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당뇨환자들을 위하여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 잡곡밥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8명의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잡곡밥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BMI를 측정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1.7%가 과체중 이상이었다. 잡곡밥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94.1%가 잡곡밥을 섭취하였고, 성별에 따른 섭취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주 섭취하였으며(p<0.05),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남녀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잡곡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더 많은 잡곡을 혼합하였으며(p<0.01), 지속적인 섭취 여부를 알아본 결과 '지속적으로 먹겠다'라고 응답한 여성이(47.1%) 남성(36.8%)보다 많았다(p<0.05). 잡곡밥 섭취 기간은 3년 이상 섭취 59%, 잡곡의 구입 장소는 집주변 소형마트 46.0%로 가장 많았으며, 흰밥에 가장 많이 혼합하는 잡곡은 검정콩(76.5%)으로 조사되었다.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잡곡의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만든 RMGD-40의 비교 관능검사 결과 겉모양과 색깔에 있어 잡곡의 함량이 많은 RMGD-50이 상대적으로 잡곡의 함량이 적은 RMGD-40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3.33{\pm}0.68$, $3.50{\pm}0.81$),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혼합비율이 보다 낮은 잡곡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GD-40과 찰성 곡물 함량이 많은 Control 1, 백미인 Control 2를 비교 평가한 결과 Control 1에 비해 RMGD-40은 겉모양, 냄새, 색깔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잡곡밥에 익숙한 입맛을 가진 당뇨환자들에게 백미는 질기, 씹힘성, 맛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3.26{\pm}0.82$, $3.48{\pm}0.85$, $3.19{\pm}0.70$), 이는 RMGD-40 및 Control 1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결론적으로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비율이 보다 낮고 찰성 곡물의 함량이 많은 잡곡밥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혈당 관리를 위하여 당뇨환자들에게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당뇨환자들을 위하여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 잡곡밥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68 people with diabetes living in Jeollabuk-do and performe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to improv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vestigation. BMI of all subjects were measured and found that 61.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68 people with diabetes living in Jeollabuk-do and performe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to improv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vestigation. BMI of all subjects were measured and found that 61.7% were overweight. 94.1% of them ate mixed grains and females ate more mixed grains than males (p<0.05). Most males and females answered that they ate mixed grains for their health. Females added more mixed grains than males (p<0.01). More females (47.1%) than males said they would continue to eat mixed grains (p<0.05). 59% of them said they had eaten mixed grains for more than 3 years. 46.0% of them said they purchased mixed grains at a small mart near their houses. The mostly added grain to rice was black soybean (76.5%). RMGD-50 is composed of six mixed grains excluding nonglutinous rice and has the mixing rate of 50%. RMGD-40 has the mixing rate of 40%.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RMGD-50 got lower score ($3.33{\pm}0.68$, $3.50{\pm}0.81$) than RMGD-40 in the appearances and color. RMGD-40 with Control 1 that includes more glutinous grains and Control 2 that is polished rice were compared. RMGD-40 got lower score than Control 1 in its appearances, smell and color, although there wasn't a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people with diabetes who are accustomed to mixed grains, the polished rice got the lowest score in moisture amount, gumminess and overall taste ($3.26{\pm}0.82$, $3.48{\pm}0.85$, $3.19{\pm}0.70$).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from RMGD-40 and Control 1 (p<0.01). Consequently people with diabetes preferred mixed grains that include more glutinous grains that have lower mixed ratio. 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eople with diabetes about eating grains for better blood sugar management. Continual study and development of mixed grains that can help people with diabetes to control their blood sugar are necessa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68 people with diabetes living in Jeollabuk-do and performe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to improv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vestigation. BMI of all subjects were measured and found that 61.7% were overweight. 94.1% of them ate mixed grains and females ate more mixed grains than males (p<0.05). Most males and females answered that they ate mixed grains for their health. Females added more mixed grains than males (p<0.01). More females (47.1%) than males said they would continue to eat mixed grains (p<0.05). 59% of them said they had eaten mixed grains for more than 3 years. 46.0% of them said they purchased mixed grains at a small mart near their houses. The mostly added grain to rice was black soybean (76.5%). RMGD-50 is composed of six mixed grains excluding nonglutinous rice and has the mixing rate of 50%. RMGD-40 has the mixing rate of 40%.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RMGD-50 got lower score ($3.33{\pm}0.68$, $3.50{\pm}0.81$) than RMGD-40 in the appearances and color. RMGD-40 with Control 1 that includes more glutinous grains and Control 2 that is polished rice were compared. RMGD-40 got lower score than Control 1 in its appearances, smell and color, although there wasn't a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people with diabetes who are accustomed to mixed grains, the polished rice got the lowest score in moisture amount, gumminess and overall taste ($3.26{\pm}0.82$, $3.48{\pm}0.85$, $3.19{\pm}0.70$).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from RMGD-40 and Control 1 (p<0.01). Consequently people with diabetes preferred mixed grains that include more glutinous grains that have lower mixed ratio. 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eople with diabetes about eating grains for better blood sugar management. Continual study and development of mixed grains that can help people with diabetes to control their blood sugar are necessa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현재 일반 잡곡밥의 관능적 특성이나, 성분분석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이는 일반적인 잡곡밥에 관한 연구들로서 당뇨환자들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잡곡밥의 실태와 섭취하는 잡곡밥의 식미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깊이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현재 당뇨환자들이 섭취하고 있는 잡곡밥 실태를 조사하여 일반적인 조합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미가 개선된 당뇨환자용 잡곡밥 조합을 개발하여 당뇨 환자에게 기능을 갖추면서 식미가 개선된 당뇨식 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8명의 당뇨환 자들을 대상으로 잡곡밥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 으로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 잡 곡밥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5%) 중 응답이 불충분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대상자를 제외하고 68부(전주시 8부, 고창군 30부, 부안 군 30부)가 본 조사에 활용하였다. 당뇨환자의 잡곡밥 섭취 실태 조사를 위해 개발된 설문내용은 성별, 신장, 체중 등 일반사항에 관한 5문항과 잡곡밥의 섭취여부, 섭취이유, 섭취잡곡의 종류 등 잡곡밥의 섭취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 중 잡곡밥의 관능검사에 참여할 대상자로 전주시와 고창군에 거주하는 당뇨환자 30명을 선정하였다. 잡곡밥의 관능검사는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던 6~7월에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잡곡밥에 대한 당뇨환자의 기호도를 알고자 실시한 관능검사는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잡곡밥의 관능검사는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던 6~7월에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잡곡밥에 대한 당뇨환자의 기호도를 알고자 실시한 관능검사는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각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잡곡 50%군, 잡곡 40%군) 잡곡밥 2종류의 시료를 제시하여 비교평가를 한 후 높은 점수를 받은 시험군을 대조군인 백미(Control 2)와 현재 당뇨환자들이 가정에서 먹고 있는 잡곡밥의 평균 잡곡 비율을 산출하여 혼합한 잡곡밥(Control 1)의 3종류 시료를 비교하는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잡곡밥에 대한 당뇨환자의 기호도를 알고자 실시한 관능검사는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각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잡곡 50%군, 잡곡 40%군) 잡곡밥 2종류의 시료를 제시하여 비교평가를 한 후 높은 점수를 받은 시험군을 대조군인 백미(Control 2)와 현재 당뇨환자들이 가정에서 먹고 있는 잡곡밥의 평균 잡곡 비율을 산출하여 혼합한 잡곡밥(Control 1)의 3종류 시료를 비교하는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곡 제품 8개를 수집하여 각 잡곡별로 분류하고 혼합비율이 높은 상위 7개 곡물을 선정하였다. 시중제품과 당뇨환자들이 현재 먹고 있는 잡곡밥의 상위 7개 곡물은 일치하였으며, 각각 이들의 평균 혼합비율을 산출하여 Control 1의 조합을 결정하였다 (Table 1). 평가는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겉모양, 냄새, 색깔, 밥의 질기, 씹힘성, 전체적인 맛에 대한 정도를 1점 ‘아주 나쁘다’부터 5점 ‘아주 좋다’까지 측정하였다
잡곡밥을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64명을 대상으로 중 복응답을 허용하여, 잡곡밥을 섭취할 때 흰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가장 높은 섭취율을 나타낸 잡곡 은 검정콩으로 76.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잡곡의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만든 RMGD-40의 비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두 시험군의 잡곡 혼합비는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잡곡의 섭취 실태에서 조사 자의 대부분인 75.0%가 응답한 30% 이하보다 높은 잡곡 비율인 40%와 50%의 혼합비율로 하였으며 잡곡은 찰성 곡물을 제외하고 무두 메성 곡물을 사용하였다. 36명을 대상으로 한 본 실험에서는 시험군 두 그룹 간에 먹기 전 평가 항목인 겉모양과 색깔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
잡곡의 함량의 차이에 따른 비교 관능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RMGD-40은 당뇨환자들이 현재 가정에서 섭취하고 있는 잡곡밥의 잡곡 혼합비율과 시중판매제품의 잡곡혼합비율의 평균을 산출하여 만든 Control 1과 멥쌀 100% 의 Control 2의 2차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자 31명이 참여하여 실시한 2차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백미는 일반계 품종으로 2008년 전라북도 지역에서 추수한 것이며 배아미는 메벼(일반계, 2008년 산)를 배아가 살아있게 도정한 쌀로 전라북도 부안에서 생산한 것을 사용하였다. 잡곡은 보리, 현미, 흑미, 콩(서리태) 등 총 6가지를 잡곡밥에 혼합하였으며, 모두 2008년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산한 것으로, 재료로 사용한 백미와 배아미, 잡곡은 농산물 제조업체(We Farm Village Network Farming Co.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백미는 일반계 품종으로 2008년 전라북도 지역에서 추수한 것이며 배아미는 메벼(일반계, 2008년 산)를 배아가 살아있게 도정한 쌀로 전라북도 부안에서 생산한 것을 사용하였다. 잡곡은 보리, 현미, 흑미, 콩(서리태) 등 총 6가지를 잡곡밥에 혼합하였으며, 모두 2008년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산한 것으로, 재료로 사용한 백미와 배아미, 잡곡은 농산물 제조업체(We Farm Village Network Farming Co., Busan, Korea)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밥은 쌀 무게의 가수량 1.
본 연구는 잡곡밥의 실태조사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고창군, 부안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당뇨 치료를 받는 당뇨환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4~5월에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여 설문문항을 재조정 하였고, 2009년 6~7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잡곡밥의 실태조사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고창군, 부안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당뇨 치료를 받는 당뇨환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4~5월에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여 설문문항을 재조정 하였고, 2009년 6~7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지는 총 80부를 배부하여 7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70부(회수율 87.
조사기간은 2009년 4~5월에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여 설문문항을 재조정 하였고, 2009년 6~7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지는 총 80부를 배부하여 7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70부(회수율 87.5%) 중 응답이 불충분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대상자를 제외하고 68부(전주시 8부, 고창군 30부, 부안 군 30부)가 본 조사에 활용하였다. 당뇨환자의 잡곡밥 섭취 실태 조사를 위해 개발된 설문내용은 성별, 신장, 체중 등 일반사항에 관한 5문항과 잡곡밥의 섭취여부, 섭취이유, 섭취잡곡의 종류 등 잡곡밥의 섭취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 중 잡곡밥의 관능검사에 참여할 대상자로 전주시와 고창군에 거주하는 당뇨환자 30명을 선정하였다. 잡곡밥의 관능검사는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던 6~7월에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Control 1의 혼합비 선정은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당뇨환자들(고창군 12명, 전주시 6명, 익산시 2명)에게 현재 가정에서 섭취하고 있는 혼합곡을 수집하여 잡곡별로 분류하여 혼합비율이 높은 상위 7개 곡물을 선정하여 평균 혼합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곡 제품 8개를 수집하여 각 잡곡별로 분류하고 혼합비율이 높은 상위 7개 곡물을 선정하였다.
Control 1의 혼합비 선정은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당뇨환자들(고창군 12명, 전주시 6명, 익산시 2명)에게 현재 가정에서 섭취하고 있는 혼합곡을 수집하여 잡곡별로 분류하여 혼합비율이 높은 상위 7개 곡물을 선정하여 평균 혼합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곡 제품 8개를 수집하여 각 잡곡별로 분류하고 혼합비율이 높은 상위 7개 곡물을 선정하였다. 시중제품과 당뇨환자들이 현재 먹고 있는 잡곡밥의 상위 7개 곡물은 일치하였으며, 각각 이들의 평균 혼합비율을 산출하여 Control 1의 조합을 결정하였다 (Table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조사대상자 는 총 68명으로,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35명(51.5%), 여성이 33명(48.5%)으로 비교적 비슷한 분포를 이루었다. 연령별 분포는 60세 이상의 조사자가 55명 80.
데이터처리
잡곡밥의 관능검사 결과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5점 ‘매우 좋다’, 1점 ‘매우 나쁘다’로 점수화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며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p=0.05 유의수준에서 유의성 검증하였으며 유의성이 나타날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하였다.
05 유의수준에서 유의성 검증하였으며 유의성이 나타날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하였다. 일반사항 및 잡곡밥 섭취실태에 관한 사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WIN 통계프로그램(Ver.
이론/모형
조사대상자의 체질량지수(BMI)를 측정한 결과는 대한비만학회(2007)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저체중이 3명(4.
성능/효과
잡곡밥의 섭취횟수는 남녀 모두 ‘1일 3끼’ 혹은 ‘1일 1~2 끼’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잡곡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수를 알아본 결과, 잡곡밥의 섭취율이 더 높게 나타 났었던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더 많은 잡곡을 밥에 혼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5)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잡곡밥을 더 자주 섭취하였다. 잡곡밥을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64명을 대상으로 잡곡밥의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는 남녀 각각 27명(39.7%), 30명(44.1%)으로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백미에 혼합하는 잡곡의 혼합비율은 남성은 10% 이하가 13명(19.
05). 잡곡밥의 섭취 실태조사에서는 가사에 더 많은 참여를 하고 있는 여성이 남성보다 잡곡밥의 섭취 등 당뇨 식이요법에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잡곡밥을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64명을 대상으로 중 복응답을 허용하여, 잡곡밥을 섭취할 때 흰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가장 높은 섭취율을 나타낸 잡곡 은 검정콩으로 76.5%로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찰보리 47.1%, 찹쌀 35.3%, 쌀보리 32.4%, 찹쌀현미 29.4%, 수수 26.5%, 찹쌀흑미 2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im과 Lee(9)가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의 잡곡밥 섭취실태를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쌀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종류로 콩 80.
각 대조군과 비교 관능평가 결과 RMGD-40은 섭취 전 평가 항목인 겉모양에서 3.35±0.75, 냄새 3.35±0.80, 색깔 3.39± 0.76으로 Control 1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섭취 후 평가인 맛, 냄새, 질기의 항목에서 역시 RMGD-40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따라서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혼합비율이 높은 잡곡밥보다는 잡곡 의 혼합비율이 낮은 잡곡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적으로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비율이 보다 낮고 찰성 곡물의 함량이 많은 잡곡밥을 선호하였다.
RMGD40과 찰성 곡물 함량이 많은 Control 1, 백미인 Control 2를 비교 평가한 결과 Control 1에 비해 RMGD-40은 겉모양, 냄새, 색깔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잡곡의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만든 RMGD-40의 비교 관능검사 결과 겉모양과 색 깔에 있어 잡곡의 함량이 많은 RMGD-50이 상대적으로 잡곡의 함량이 적은 RMGD-40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3.33±0.68, 3.50±0.81),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혼합비율이 보다 낮은 잡곡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곡밥 섭취 기간은 3년 이상 섭취 59%, 잡곡의 구입 장소는 집주변 소형마트 46.0%로 가장 많았으며, 흰밥에 가장 많이 혼합하는 잡곡 은 검정콩(76.5%)으로 조사되었다.
잡곡밥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94.1%가 잡곡밥을 섭취하 였고, 성별에 따른 섭취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주 섭취하였으며(p<0.05),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남녀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BMI 를 측정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1.7%가 과체중 이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환자들의 잡곡밥에 혼합하는 잡곡 중 찹쌀의 섭취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밀로펙틴보다는 아밀로오스가 풍부한 식이가 당뇨환자에게 바람직 하므로 잡곡의 구분없이 무조건 혼합하여 섭취하는 당뇨환자들에게 특히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아밀로펙틴보다는 아밀로오스가 풍부한 식이가 당뇨환자에게 바람직 하므로 잡곡의 구분없이 무조건 혼합하여 섭취하는 당뇨환자들에게 특히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당뇨환자들을 위한 잡곡밥 RMGD-40은 찰성 곡물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관능평가에서 백미보다 좋은 점수를 받음으로 식미감이 백미에 비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씹힙성, 질기, 색 등 항목에서 당뇨환자들이 현재 가정에서 섭취하고 있는 잡곡밥(Control 1)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음으로 앞으로 이를 개선한 잡곡밥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6명을 대상으로 한 본 실험에서는 시험군 두 그룹 간에 먹기 전 평가 항목인 겉모양과 색깔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
후속연구
따라서 바람직한 혈당 관리를 위하여 당뇨환자들에게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당뇨환자들을 위하여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 잡곡밥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당뇨환자들을 위한 잡곡밥 RMGD-40은 찰성 곡물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관능평가에서 백미보다 좋은 점수를 받음으로 식미감이 백미에 비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씹힙성, 질기, 색 등 항목에서 당뇨환자들이 현재 가정에서 섭취하고 있는 잡곡밥(Control 1)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음으로 앞으로 이를 개선한 잡곡밥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을 앓고있는 사람에게 잡곡밥의 섭취가 권장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인이 섭취하는 탄수화물 식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밥의 경우 백미밥이 잡곡밥보다 혈당지수가 높고(5,7), 백미 는 필수영양소(비타민, 무기질)와 섬유질이 도정과정에서 손실되지만, 여러 가지 곡물과 두류를 혼합함으로써 상호 보충효과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서 유래 된 각종 필수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들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8) 당뇨환자들에게 백미밥보다는 잡곡밥의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혈당지수란 무엇인가?
특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환자들은 인슐린의 생성능력이 있기 때문에 식사요법 의 올바른 실천만으로도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다(4).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포도당 섭 시 혈당반 응과 어떤 식품을 섭취했을 때 혈당반응의 비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Jenkins 등(5)은 이를 처음 보고하고 식품을 혈당반응에 따라 분류하였다. 혈당반응은 섭취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탄수화물식품의 종류와 섭취 형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같은 양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더라도 소화와 흡수가 빠른 식품은 혈당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는 반면 소화와 흡수가 느린 식품은 혈당 반응이 느리게 나타나 인슐린과 다른 내분비물의 반응도 조절하여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킨다(6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3%였 으며 남녀 모두 40대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 당뇨병은 만성적인 대사성질환의 일환으로 인슐린 분비 및 작용의 감소로 생체 내 대사조절기능의 이상이 초래되어 혈중 또는 요로 당을 과다하게 배설하는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와 식생활 관리가 요구된다(3). 특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환자들은 인슐린의 생성능력이 있기 때문에 식사요법 의 올바른 실천만으로도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다(4).
참고문헌 (12)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3. Diabetes Atlas.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5.
Cambell RK, Steil CF. 1998. Diabetes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William & Wilks, Washington, DC, USA.
Hershman JH. 1982. A patient oriented approach. In Endocrine Pathophysiology. 2nd ed. Lea & Feiger, Philadelphia, USA. p 207.
Jenkins DJA, Wolever TMS, Taylor RH, Baker H, Fielden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2007. Important food crops consumption pattern. p 42-49.
Oh GS, Na HS, Lee YS, Kim K, Kim SK. 2002. Texture of cooked milled added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Goddard MS, Young G, Marcus R. 1984. The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insulin and glucose responses to ingested rice. Am J Clin Nutr 39: 388-3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