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및 고령층을 위한 잡곡밥의 혼합비율 설정 및 영양성, 기능성 평가
Establishment of Mixing Ratio of Multigrain Rice for Adolescent and Aged People and Its Nutritional and Functional Estim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53 - 61  

장혜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건우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생약자원학전공)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우상철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기호성이 높은 잡곡밥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영양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청소년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잡곡 혼합비율에 따른 잡곡밥의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청소년층을 위한 혼합잡곡(MGA)은 40% 잡곡 첨가군을, 고령층을 위한 혼합잡곡(MGAP)은 소화흡수율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30% 잡곡 첨가군을 선정하였다. 또한 청소년 및 고령층의 전체 잡곡 중 특화잡곡 혼합 비율은 전체적 기호도가 가장 높은 10%와 20%로 각각 선정하였다. 특화잡곡 간의 비율은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혼합비율로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MGA는 녹두와 백태의 혼합비율을 2:1로, MGAP는 율무와 메밀의 혼합비율은 1:1로 결정하였다. 혼합작곡의 영양성 및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MGA에서 칼로리 및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 또한 다양하게 존재하였고, 무기질의 함량도 백미(PR) 및 MGAP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기능성과 관련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AP에서 가장 높았으며,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을 제외한 나머지 라디칼 소거능 또한 MGAP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per mixing ratio of multigrains-added cooked rice for adolescent and aged people and analyze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olish rice and grains, the palatable grain mixing 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영양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잡곡밥 섭취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기호성이 높은 잡곡밥의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영양성과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기호성이 높은 잡곡밥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영양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청소년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잡곡 혼합비율에 따른 잡곡밥의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청소년층을 위한 혼합잡곡(MGA) 은 40% 잡곡 첨가군을, 고령층을 위한 혼합잡곡(MGAP)은 소화흡수율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30% 잡곡 첨가군을 선정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이기에 에너지와 영양소 필요량이 높은가? 청소년기는 호르몬의 변화로 2차 성징뿐만 아니라 사춘기를 겪게 되므로 심리적 불안감이 크게 나타난다. 신체질량, 골격질량, 지방 등 체조직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생애 어느 때보다 에너지와 영양소 필요량이 높으며,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의 과잉섭취로 인해 결핍되기 쉬운 무기질과 비타민의 충족이 필요하다. 한편, 노인의 경우 노화의 진행으로 인해 타액분비와 위액분비의 감소, 소장 흡수력 감소, 감각 인지기능 저하 등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며, 노년기의 영양은 질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잡곡밥의 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의 특징은? 특히,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 B1, B2가 풍부하고 식이섬유 함량이 약 2배 정도 높으며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각종 무기질의 함량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조는 필수아미노산 중 루이신의 함량이 풍부하며 소화율이 뛰어나 이유식 재료로 이용된다(5). Son 등(6)은 율무, 메밀, 보리의 섭취가 비만에 기인하여 발병하는 만성질환의 여러 위험인자들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으며, Kim 등(7)은 율무, 보리, 미강 추출물이 활성산소의 감소를 초래하여 세포의 노화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산의 감소를 초래하여 만성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영양학적 효능을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잡곡이란? 잡곡은 멥쌀 및 찹쌀을 제외한 모든 작물을 일컫는 말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등이 이에 속한다(1). 과거에는 단순한 끼니 대용의 구황작물이었던 잡곡이 현재는 웰빙 먹거리로써 다양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작물로 각광 받고 있으며, 조리 및 가공에 있어서도 활용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ang HL, Im HJ, Lee Y, Kim KW, Yoon KY. 2012. A survey on the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multigrain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53-860. 

  2. Fontavielle AM, Rizkalla SW, Penfornis A, Acosta M, Bornet FR, Slama G. 1992. The use of low glycemia index foods improves metabolic control of diabetic patients over five weeks. Diabet Med 9: 445-450. 

  3. Juliano BO, Bechtel DE.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 17-58. 

  4. Jeong SY, Park MJ, Lee S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Jeung-pyun. Korean J Food Culture 26: 86-93. 

  5.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6. Son BK, Kim JY, Lee SS. 2007. Effect of adlay, buckwheat and barley on lipid metabolism and aorta histopathology in rats fed an obesogenic diet. Ann Nutr Metab 52: 181-187. 

  7. Kim SO, Yun SJ, Jung B, Lee E, Hahm DH, Shim I, Lee HJ. 2004. Hypolipid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adlay see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in obesity rat fed high fat diet: relations of TNF- $\alpha$ and leptin mRNA expressions and serum lipid levels. Life Sci 75: 1391-1404. 

  8. Duh PD, Du PC, Yen GC. 1999. Action of methanolic extract of mung bean hulls as inhibitors of lipid peroxidation and non-lipid oxidative damage. Food Chem Toxicol 37: 1055-1061. 

  9. Imm JY, Kim SJ. 2010.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ng bean and soybea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5-761. 

  10. Arjmandi BH, Alekel L, Hollis BW, Amin D, Stacewicz- Sapuntzakis M, Guo P, Kukreja SC. 1996. Dietary soybean protein prevents bone loss in an ovariectomized rat model of osteoporosis. J Nutr 126: 161-167. 

  11. Sugano M, Goto S, Yamada Y, Yoshida K, Hashimoto Y, Matsuo T, Kimoto M. 1990. Cholesterol-lowering activity of various undigested fractions of soybean protein in rats. J Nutr 120: 977-985. 

  12. Jung ES, Shin DH, Doo JK, Chae SW, Kim YS, Park YM. 2010.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etes in Jeollabuk-do an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49-1055. 

  13.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14. Ahn GW, Kang TW, Jeong JH, Jo BK. 2004.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 23-28. 

  15. RDA.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6. Hugli TE, Moore S. 1972. Determination of the tryptophan content of proteins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f alkaline hydrolysates. J Biol Chem 247: 2828-2834. 

  17. Hong JY, Nam HS, Yoon KY, Shin SR.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Korean J Food Preserv 19: 243-248. 

  18.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1-178. 

  19.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Lee JS, Han GC, Han GP, Nobuyuki K.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96-702. 

  22. Gutteridge JM. 1984.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Biochem J 224: 761-767. 

  23. Hung WC, Chang HC. 2003. Methanolic extract of adlay seed suppresses COX-2 expression of human lung cancer cells via inhibition of gene transcription. J Agric Food Chem 51: 7333-7337. 

  24. Tseng YH, Yang JH, Chang HL, Lee YL, Mau JL.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monascal adlay. Food Chem 97: 375-381. 

  25. Ma MS, Bae IY, Lee HG, Yang CB. 2006.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Food Chem 96: 36-42. 

  26.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Vavreinova S. 2002. Buckwheat-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27. Jiang P, Burczynski F, Campbell C, Pierce G, Austria JA, Briggs CJ. 2007. Rutin and flavonoid contents in three buckwheat species Fagopyrum esculentum, F. tataricum, and F. homotropicum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Food Res Int 40: 356-364. 

  28. Lim S, Kang MS, Jwa MK, Song DJ, Oh YJ. 2003.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2-57. 

  29. Anthony JC, Anthony TG, Kimball SR, Jefferson LS. 2001.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translational control of protein synthesis in skeletal muscle by leucine. J Nutr 131:856S-860S. 

  30. Roberts E, Frankel S. 1950. $\gamma$ -Aminobutyric acid in brain: its formation from glutamic acid. J Biol Chem 187: 55-63. 

  31. Shivakumar K, Kumar BP. 1997. Magnesium deficiency enhances oxidative stress and collagen synthesis in vivo in the aorta of rats. Int J Biochem Cell Biol 29: 1273-1278. 

  32. Kim Y, Park S, Lee YS, Jung H, Koh K, Kim HS. 2005. Determination of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in rice cooked with various cere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89-1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