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내 외래간호사의 포름알데히드 노출 평가
Exposure to Formaldehyde of Ambulatory Car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4 no.4, 2014년, pp.446 - 452  

구동철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채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이재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수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윤순영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한아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현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박영범 (강원도립대학 식품가공제과제빵과) ,  정성욱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xposure status of formaldehyde(FA) among the nurses in ambulatory care departments of university hospital. Methods: Two university hospitals were surveyed. The FA concentration in air were measured to target 62 nurses in 8 ambulatory care departments(89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외래진료과 간호사의 FA에 대한 노출실태와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적은 없었으며 외국의 경우도 참고할 만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병원 내 외래진료과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FA 노출실태를 조사하여 작업환경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A(포름알데히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FA는 자극성 냄새를 갖는 가연성 무색 기체로 화학적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병원에서는 안전한 살균, 고정, 보존 등을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데 특히 외래진료과, 내시경실, 수술실, 사체보관실 등에서 채취한 인체 조직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Shaham et al.
병원에서 FA(포름알데히드)는 주로 어디에 사용하는가? FA는 자극성 냄새를 갖는 가연성 무색 기체로 화학적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병원에서는 안전한 살균, 고정, 보존 등을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데 특히 외래진료과, 내시경실, 수술실, 사체보관실 등에서 채취한 인체 조직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Shaham et al., 2002; EPA, 2005; Vimercati et al.
의료인들은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 다양한 종류의 유해요인에 노출되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가? 병원은 환자의 건강을 위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해야 하지만, 의료인들은 의료행위를 수행 하는 과정에 다양한 종류의 유해요인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생물학적 요인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등, 화학적 요인에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FA: HCHO), 산화에틸렌, 크실렌, 황산 등, 물리적 요인에는 방사선, 레이저 등이 있다(William et al.,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2013 TLVs $^{(R)}$ and BEIs $^{(R)}$ : Threshold Limit Value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2013. 

  2. Alexandersson R, Hedenstiena G. Pulmonary function in wood workers exposed to formaldehyde: a prospective study. Arch Environ Health 1989;44(1):5-11 

  3. ASTDR(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Formadehyde, ToxFAQs; 1999. Available from: URL:http://www.atsdr.cdc.gov/toxfaqs/tf.asp?id219&tid39 

  4. Bouraoui S, Mouqou S, Brahem A, Tabka F, Ben Khelifa H et al. A combination of micronucleus assay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nalysis to evaluate the genotoxicity of formaldehyde. Arch Environ Contam Toxicol 2013;64(2):337-344 

  5. CDC-NIOSH Pocker Guide to Chemical Hazards-Formaldehyde. 2013. Available from: URL:http://www.cdc.gov/niosh/npg/npgd0293.html 

  6. Costa S, Coelho P, Costa C, Silva S, Mayan O et al. Genotoxic damage in pathology anatomy laboratory workers exposed to formaldehyde. Toxicology 2008;252(1-3): 40-48 

  7. Costa S, Garcia-Leston J, Coelho P, Costa C, Siva S et al. Cytogenetic and immunological effect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formaldehyde exposure. J Toxicol Environ Health A 2013;76(4-5):217-229 

  8.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compliance sector notebook project. Profile of the healthcare industry; 2005. p. 48 

  9. Freeman LEB, Blair A, Lubin JH, Stewart PA, Hayes RB et al. Mortality From Lymphohematopoietic Malignancies Among Workers in Formaldehyde Industries: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ohort. JNCI J Natl Cancer Inst 2009;101(10):751-761 

  10. Gannon PF, Bright P, Campbell M, O'Hickey SP, Burge PS. Occupational astnam due to glutaraldehyde and formaldehyde in endoscopy and x ray departments. Thorax 1995;50(2):156-159 

  11. Gerald MJ, Jeffrey L, John IKJ. Formaldehyde esposure and asthma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Environ Health Perspect 2010;118(3):313-317 

  12. Ghasemkhani M, Jahanpeyma F, Azam K. Formaldehyde exposure in some educational hospitals of tehran. Ind Health 2004;43(4):703-707 

  13. Hildesheim A, Dosemeci M, Chan CC, Chen CJ, Cheng YJ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wood, formaldehyde, and solvents and risk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1;10(11): 1145-1153 

  14.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2013. Available from: URL:http://monographs.iarc.fr/ENG/Classification/index.php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3 

  16. Occupational Safefy and Health Administration. Analytical Method Manual, ID-205: OSHA 1989. 

  17. Occupational Safef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Toxic and hazadous substances. In Formaldehyd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13:1910-1048. 29 CFR. Available from: URL:https://www.osha.gov/pls/oshaweb/owadisp.show_document?p_tableSTANDARDS&p_id10075 

  18. Orsiers T, Sari-Minodier I, Iarmarcovai G, Bott A. Genotoxic risk assessment of pathology and anatomy laboratory workers exposed to formaldehyde by use of personal air sampling and analysis of DNA damage in peripheral lymphocytes. Mutat Res 2006;605(1-2):30-41 

  19. Perdelli F, Spagnolo AM, Cristina ML, Sartini M, Dallera M et al. Occupational exposure to formaldehyde in three pathology departments. Ann Iq 2006;18(6):481-490 

  20. Romanazzi V, Munnia A, Piro S, Allione A, Ricceri A.Malondialdehyde-deoxyguanosine adduct formation in workers of pathology wards: the role of air formaldehyde exposure. Chem Res Toxicol 2010;23(8):1342-1348 

  21. Shaham J, Gurvich R, Kaufman Z. Sister chromatid exchange in pathology staff occupationally exposed to formaldehyde. Mutat Res 2002;514(1-2):115-123 

  22. Viegas S, Labeira C, Nunes C, Malta-Vacas J, Gomes M et al. Genotoxic effects in occupational exposure to formaldehyde: A study in anatomy and pathology laboratories and formaldehyde-resins production. J Occup Med Toxicol 2010;5(1):25 

  23. Vimercati L, Carrus A, Martino T, Galise I, Minunni V et al. Formaldehyde exposure and irritative effects on medical examiners, pathologic anatomy post-graduate students and technicians. Ira J Public Health 2010; 39(4):26-36 

  24. Vimercati L, Carrus A, Dell'Erba A, Assennato G. Occupational exposure to frormaldehyde in autopsy room and in pathologic anatomy laboratories. G Ital Med Lav Ergon 2007;29(3):266-268 

  25. William B, Donald E, David A, Edward A, Kasmer A et al. Occupational Hazards to Hospital Personnel. Ann Intern Med 1985;102(5):658-6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