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 대상물질 및 우선순위 선정 연구
Selection of Candidate Materials and their Prioritization for Chronic Inhalation and Carcinogenicity Test 원문보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4 no.4, 2014년, pp.587 - 612  

임경택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임철홍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안병준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is requirement to select candidate materials for chronic inhalation/carcinogenicity testing, so we would like to set the priority of candidate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We recommend the priorities for candidate materials based on the chemicals stipulated in the Occupation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만성흡입 독성시험시설 신축 이후 수행하게 되는 화학물질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흡입독성 및 발암성 시험의 대상 후보물질 제시가 요구되어 수행하였다. 산업안전보 건법상 관리대상물질 및 화학물질관리법상 기존화학 물질, 신규화학물질 등 국내 유통화학물질 목록 전반을 대상으로 만성발암성 시험여부를 조사하였고, 동시험이 필요한 물질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으로 진행하는 산업 안전보건연구원의 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이 꼭 필요한 적시성 및 적합성을 고려한 시험대상 후보물질 목록을 그 우선순위와 함께 제안함으로써 동 시험의 원활한 수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에서 객관적으로 꼭 필요한 적시성 및 적합성을 고려한 시험대상 후보물질 목록을 그 우선순위와 함께 제안함으로써 동 시험의 원활한 수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YS, Won JU, Park RM. Cancer morbidity of foundry worker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0;25:1733-1741 

  2. Bae GR, Lim HS, Kim D. Occupational relationship of cancer patients diagnos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Epidemiol 1999;21:64-71 

  3. Carcinogenic Potency DB [serial online] 2011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toxnet.nlm.nih.gov/cpdb/ 

  4. Chemical Carcinogenesis Research Information System [serial online] 2013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toxnet.nlm.nih.gov/newtoxnet/ccris.htm 

  5.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serial online] 2014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ctdbase.org/detail.go?typechem&accD009930&viewdisease&slimTermCancer&assnTypeinferred 

  6. EPA ACToR [serial online] 2014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actor.epa.gov/actor/faces/ACToRHome.jsp 

  7. Fayed L. The History of Cancer [serial online] 2009 [cited 2014 February 2]. Available from: http://cancer.about.com/od/historyofcancer/a/cancerhistory.htm 

  8. Han KT. Assessment about the construction of chronic inhalation toxicity system. 2009 Research Report of OSHRI, p. 1-18 

  9. Jung KW, Won YJ, Kong HJ, Oh CM, Lee DH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1. Cancer Res Treat 2014;46(2): 109-123 

  10. Kang SK, Ahn YS, Chung HK. Occupational Cancer in Korea in the 1990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 13:351-9 

  11. Kang SK, Kim EA. Occupational Disease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0;25:4-12 

  12. Kim EA, Lee HE, Kang SK. Occupational burden of cancer in Korea. Saf Health Work 2010;1:61-8 

  13. Lee JS, Lee YH. Research on GLP evaluation of toxicokinetic study in the assessment of the carcinogenicity study. 2004 KNTP Report, vol 5, p. 166-204 

  14. Lee KS, Lee JH, Lee HJ. A study on the criteria and supply status of information for managing carcinogens in domestic and foreig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1;21:40-8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Enforcement Decre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4a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4b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3 

  18. National Toxicology Program(NTP). Database Search [serial online] 2014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tools.niehs.nih.gov/ntp_tox/index.cfm 

  19. Shin S, Moon HI, Lee KS, Hong MK, Byeon SH. A Chemical Risk Ranking and Scoring Method for the Selection of Harmful Substances to be Specially Controlled in Occupational Environments. Tchounwou PB, e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4;11(11):12001-12014 

  20.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1. 2012. pp. 3 

  21. Weinstei IB. Cancer prevention: recent progress and future opportunities. Cancer Res 1991;51(Suppl):5080s-5085s 

  22. Yang M. A current global view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cancers. J Environ Sci Health C Environ Carcinog Ecotoxicol Rev 2011;29:22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