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we seek to perform a priority selection for test substances for chronic inhalation toxicity studies, including acute and subchronic inhalation toxicity studies, which are to be performed after the construction of a chronic/carcinogenicity inhalation toxicity study fac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URAM scoring를 활용한 정량평가법의 목적은독성평가의 우선순위가 아니라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다. 또한 EURAM 방법은 정량적 산출방식으로 정량적 산출은 (화학물질의 독성에 대한반영이 부족한)태생적 한계를 고려하여 독성평가 우선순위를 산출하여야 한다.
  • OECD의 Cooperative Chemicals AssessmentProgramme(CoCAP)을 통해 선정되고 평가된 1,200종의 산업화학물질의 Screening Information Dataset(SIDS) 중 본 연구 대상인 발암성 Inhalation독성 후보물질 53종에 대한 독성시험자료와 발암성 시험자료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4년에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수행한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 대상물질및 우선순위 선정 연구”5)의 시험물질 선정 타당성을 검증하고, 추가로 유통량 자료, 국내사업자 실태조사 물질, 산안법 대상 물질들을 모집단으로 하고,취급근로자 수, 노출기준, 직업병 발생 의심물질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목록화된 화학물질에 대한정량·정성평가 및 중복성 검토 등을 이용한 타당성검증 및 우선순위 산출을 위한 연구(위탁)과제를 수행하였으며, 관련 업계(노사) 및 관련 기관(환경부등) 등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협의·공청회 등 공론화과정을 수행한 뒤 만성흡입독성시험 대상물질 우선순위를 확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53종의 만성흡입독성시험 후보물질에 대한 EURAM scoring을 이용한 정량평가를 통하여 인체위해성점수(HS)를 산출하고, 발암성 분류기준, 생식독성 및 발암성 여부 등에 따라서 정성/질적 평가를 수행하여 대상물질의 우선순위를 목록화하였다. 이 후 본 연구진이 선정한 대상물질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전문가 검토 의견 통해 노출점수(HEX) 인체건강영향점수(HEF)를 조정하여 우선순위를 최종 결정하였다.
  • 다만 해외기관을 통한 중복성 검토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창출하지 못했는데, 이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만성흡입독성시험의 대상물질에 대한 정보는 각기관의 기밀유지사항으로 유지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CAS 번호가 부여된 단일 물질에대한 우선순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서 실제 작업환경에서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혼합물질에 대한 흡입독성시험 및 평가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 및 아만성 흡입독성시험 대상물질 중 생식독성 및 발암성 점수가 높은 물질의 발암성 대상물질로의 이동 및 발암성 대상물질 중 급성 또는 아만성 흡입독성시험을 우선적으로 고려할물질들에 대한 분류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각 물질별로 우선 고려할 시험 유형 선정을 완료하였다(Table 6).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아만성 및 발암성별로 정량평가 및 정성평가(우선순위 보정)를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대하여 산업계,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들을통하여 본 연구진의 우선순위 산출 결과에 대한 검토 과정을 거쳤다. 급성, 아만성 및 발암성별 우선순위화된 각각의 물질들의 노출점수(HEX) 및 인체건강영향점수(HEF)에 대한 검토 의견을 수렴하여 인체위해성점수(HS)를 재조정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급성, 아만성 및 발암성별로 우선순위를 최종화하였다(Table 10).
  • 본 연구에서는 만성흡입독성시험 대상 후보 물질74종(본 연구 후보물질 및 2014년도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우선순위 선정 연구 후보물질 포함)에 대하여현재 만성흡입독성시험을 수행하고 있는 국외 5개기관(독일 Fraunhofer ITEM, 미국 The HamnerInstitutes for Health Sciences, 미국 Battelle, 영국Huntingdon Life Sciences, 일본 Japan BioassayResearch Center)에 현재까지의 만성흡입독성시험 수행 여부 및 향후 계획에 대한 중복성 검토를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 다섯 개 기관 모두 공통적으로본 중복성 검토의 경우 기관 내 비밀유지사항으로서본 연구진이 요청한 사안에 대한 검토가 불가하다는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만성흡입독성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매우 제한적이며,이에 따라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는만성·발암성 흡입독성시설 및 만성흡입독성시험에 대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중복성 검토에 대하여 반려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유통량 1,000톤 이상 물질 149종중 인체건강영향점수가 산출된 121개 물질에 대하여 인체위해성점수(HS)를 산출하였다. 이 후 산출된인체위해성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급성, 아만성 및 발암성 시험별로 목록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노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후보 물질 별로 유통량과 분배(Distribution) 정도를 조사하여 점수화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체위해성점수(HS)가 부여된 물질중에서 발암성 정보가 충분하다고 판단된 물질은 목록에서 배제시켰다. 즉, IARC 기준으로 발암성 분류가 Group 1 및 Group 2A, GHS 1A, 1B, ACGIHA1, A2 및 NTP K 및 R 등급에 해당하는 물질도배제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총 후보물질 410종에 대한 인체건강영향점수 산출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통량이 1,000톤 이상인 물질(149종)에 대하여 인체건강영향점수를 목록화하였다. 인체건강영향점수(HEF)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GHS 분류를 우선으로 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인체영향 지표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인체에 대한 노출 및 영향 점수를 곱하여 인체위해성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우선순위를 목록화하였다(HS = HEX × HEF [range:0~100]).
  •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만성흡입독성시험 및발암성시험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래의 인터넷 정보 사이트를 참고하여 물질의 독성자료를 수집하였다.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 제39조 “유해인자의 관리” 및 시행규칙 제81조“유해인자의 분류”를 위해 독성이 확인되지 않는 물질들에 대한 인체 위해성 및 위험성을 평가하고자하고 있다.
  • 일본 후생노동성 직장안전사이트에 등재되어 있는물질 중 본 연구대상 후보물질과의 중복 여부를 검토하였다.
  • 한편 본 연구에서 EURAM scoring을 활용한 정량평가의 한계점인 실제 근로자 작업방식에 따른 노출 수준 보정, 취약 근로자 건강 영향 고려, 건강 수준의 사회적 중요성 고려 및 기타(현장) 전문가 의견 및 요구도 반영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정성(질적)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평가 수행 시 본 연구진은 일차적으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의사결정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은1970년대 초반에 Saaty가 개발한 방법8)으로, 의사결정과정에서 상호관련성을 갖는 요소들을 계층화하고이를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하여 정량적인값을 도출해 의사결정을 돕는 방법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 EURAM scoring을 활용한 정량평가의 한계점인 실제 근로자 작업방식에 따른 노출 수준 보정, 취약 근로자 건강 영향 고려, 건강 수준의 사회적 중요성 고려 및 기타(현장) 전문가 의견 및 요구도 반영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정성(질적)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평가 수행 시 본 연구진은 일차적으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의사결정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URAM scoring의 인체건강영향점수는 어떤식으로 점수를 부여하는가? EURAM scoring의 인체건강영향점수(HumanHealth Effects; HEF)는 발암성, 유전독성, 생식독성,호흡기 과민성, 반복독성, 급성독성, 자극성, 피부 과민성에 대한 유해성 문구(R-phrase)를 이용하여 0~10점 사이의 점수를 부여한다. 한 물질에 대하여 여러독성이 있다면 이중 가장 점수가 높은 결과를 취하는 한편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독성정보를 우선적으로 GHS 분류를 이용하여 인체건강영향점수를산출하였다.
EURAM 방식이 가진 한계점은 무엇인가? EURAM 방식은 국제적으로 공신된 우선순위 결정방법이지만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물질취급 및 사용 방식과 용도에 따른 노출 수준 보정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민감 집단의 노출로 인한건강영향 수준을 고려하지 못한 다는 점이다. 또한,사회적 중요성 및 연구의 발전성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EURAM 방식의 정량적 점수 산출은 현장감에 대한 질적 보정이 필요하다.
어떤 연구에 따라 화학물질에 대해 객관적인 유해도 평가를 타당하게 선정했는지 고찰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는가?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만성·발암성 흡입독성시험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일차적으로 『흡입노출에 따른 만성·발암성시험 표준작업지침서 작성』연구를 수행하였으며,4) 아울러『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 대상물질 및 우선순위 선정』연구를 수행하였다.5) 이 두 연구에 따라 흡입노출에 의한 만성·발암성시험 대상물질 및 우선순위 검증 및 재선정연구를 통해 선정된 화학물질에 대해 객관적인 유해도 평가를 고려하여 타당하게선정되었는지 여부와 만성·발암성시험 수행의 우선순위가 합리적으로 결정되었는지를 검토·고찰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Global health estimates: Deaths by cause, age and country, 2000-2012. 2014.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NCIC). Statisitics of Cancer in Korea [serial online] 2012 [cited 2016 May 24].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3. Statistics Korea. Cancer mortality(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2015. 

  4. Rim KT, Kim SJ. Creating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Chronic Inhlation and Carcinogenicity Test. Creating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Chronic Inhlation and Carcinogenicity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4; 24(4): 578-586. 

  5. Rim KT, Lim CH, Ahn BJ. Selection of Candidate Materials and their Prioritization for Chronic Inhalation and Carcinogenicity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4; 24(4): 587-612. 

  6. Minstry of environment(ME). Investigation of chemicals in circulation. 2010. 

  7.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Domestic business survey. 2014. 

  8. Saaty 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1980. 

  9. Hansen BG, van Haelst AG, van Leeuwen K et al. Priority setting for existing chemicals: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999; 18: 772-779. 

  1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Guideline for chemical hazard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2014 An established rule No. 66.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Specific provisions for chemical risk assessment. 2014 An established rule No. 48. 

  12. Swanson MB, Davis GA, Kincaid LE, Schultz TW, Bartmess JE, John SL, George EL. A screening method for ranking and scoring chemicals by potential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s. Environ Toxicol & Chem. 1997; 16(2): 372-383. 

  13. U.S. EPA.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A method for ranking and scoring chemicals by potential human and environmental impacts. 1994. 

  14. US EPA. Comparative evaluation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methodologies. 1994. 

  15. Environment Canada(EC). The ARET substance selection process and guidelines. 1994. 

  16. EU(European Union). General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requirements for dangerous substances and preparations. Official J European Communities L. 2001; 225-263. 

  17. An YJ, Jeong SW, Kim TS, Lee WM, Nam SH et al. Assessment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soil contamina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s. Korean Soc Soil Groundwater Environ. 2008; 13(6): 62-71. 

  18. Yang JY, Jang JY, Kim SH, Kim YK, Lee HM et al. Development of Korean Food-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Food-CRS-Korea) and its application to prioritizing food toxic chemical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ants. J Environ Toxicol. 2010; 25(1): 41-55. 

  19.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Risk management and food safety-FAO Food and nutrition.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