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er as Perceived by Stud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eacher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7, 2014년, pp.625 - 634  

이기영 (강원대학교) ,  박재용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 학습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교사 지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을 조사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규명된 기초적인 교사 지식의 요소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EFA)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EFA 결과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규명된 교사 효과성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및 학업 성취 수준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으로 5개 요인(실체론적 지식, 구문론적 지식, 교육과정 지식, 학생 이해지식, 교수 전략 지식, 학생 평가 지식)을 확인하였으며, 5개 요인들을 다시 두 개의 교사 지식 범주(SMK와 PCK)로 분류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실체론적 지식과 구문론적 지식, 학생이해 지식과 교수전략 지식 간에 각각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중 학생들은 실체론적 지식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평가 지식을 가장 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과학교사 효과성 요인에 대해 성별 및 성취수준에 따라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과학 수업실행을 위해서 SMK와 PCK가 정합적으로 통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 교사 전문성 계발과 예비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make a science teacher effective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knowledge required in enhancing their science learning. The basic components of teacher knowledge identified by previous researchers have been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설문 조사지 모두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교사 효과성의 요인들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과학 과목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나는 과학 선생님이 이랬으면 좋겠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은 교사 효과성의 의미를 과정 변인(교사의 수업행동)과 산출변인(학업성취)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나 선행 변인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으로 교사 지식(teacher knowledge)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교사 교육자의 관점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실행이나 인식을 분석한 것이었고(Gess-Newsome & Lederman, 1995; Kwak, 2009; Min, Park, & Paik, 2010; Park, 2006; Park, Min, & Paik, 2008; Van Driel, Verloop, & De Vos, 1998), 학생의 관점에서 과학 교사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의 효과성 요인을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 효과성이란 , 2010). 교사 효과성이란, 훌륭한 교사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Ko, 2008), 교사가 자신의 일에서 지식과 능력을 발휘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교사가 어떤 수업 방법과 자료를 선택하여 학생들의 성취를 어느 정도로 이루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러한 교사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교사 지식의 요소로는 무엇을 들 수 있는가? 교사 지식의 요소로는 교과내용학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 교과교육학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일반 교육학지식(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GPK), 교육상황 지식(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CK)을 들 수 있다(Carlsen, 1999; Grossman, 1990; Magnusson, Krajcik, & Borko, 1999).
교사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 작업인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교사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왜냐하면 교사의 지식과 능력은 암묵적(tacit)인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측정이 어렵고, 학생들의 성취 또한 매우 상황 의존적이어서 다양한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 교육 연구에서는 교사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 중의 하나가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d-El-Khalick, F., & BouJaoude, S. (1997). An exploratory study of the knowledge base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7), 673-699. 

  2. Anderson, R. D., & Mitchener, C. P. (1994). Research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44). New York, NY: Macmilan. 

  3. Bagozzi, R. P., & Yi, Y.(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 389-407. 

  5. Bransford, J., Brown, A., &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6. Carlsen, W. S. (1999).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7.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8. Fenstermacher, G. D. (1994). The knower and the known: The nature of knowledge in research on teaching. In L. Darling-Hammond (Ed.)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0, 3-56. 

  9. Ferguson, R. F. (2010). Student percep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Discussion brief. Cambridge, MA: National Center for Teacher Effectiveness and the Achievement Gap Initiative, Harvard University. 

  10. Geddis, A. N. (1993). Transforming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learning to reflect o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 673-683. 

  11.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5).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301-325. 

  12.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3. Jang, S. J. (2010). Assess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a case teac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sing a newly developed instrument. Higher Education, 61(6), 663-678. 

  14. Ju, D. B., & Kang, H. S. (2000). A factor analysis of teache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7(1), 207-224. 

  15. Kim, Y. M., Mun, J. S., Park, J. S., & Lim, G. S. (2010).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by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8), 1002-1016. 

  16. Knight, S. L., & Waxman, H. C. (1991). Students' cognition and classroom instruction. In H. C. Waxman & H. J. Walberg (Eds.), Effective teaching: Current research. San Pablo, CA: McCutchan Publishing Corp. 

  17. Ko, J. C. (2008). The search for conceptual meanings of teache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 19-32. 

  18. Kwak, Y.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9. Lee, K. Y.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343. 

  20. Lee, S. M. (2000).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21. Lin, R., Xie, J., Jeng, Y. C., & Huang,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qual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perceived by students from industrial vocational high schools. Asian Journal of Arts and Sciences, 1(2), 167-187. 

  22.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Min, H. J., Park, C. Y., & Paik, S. H. (2010).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4), 437-451. 

  24. Park, C. Y., Min, H. J., & Paik, S. H. (2008).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student-teacher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6), 641-648. 

  25.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26. Park, S. H. (2006).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cience teachers based on teaching method, self-efficacy, and attitude o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1), 122-131. 

  27. Schwab, J. (1978).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cipline, In I. Estbury & N. J. Wilkof (Eds.),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pp. 229-272).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28.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29. Shulman, L. S., & Quinlan K. M. (1996). The comparative psychology of school subjects. In D. C. Berliner & R. C. Calfee (Eds.), The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p. 399-422). New York, NY: Macmillan. 

  30. Smith, D. C., & Neale, D. C. (1989). The construc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primary science teaching. Teaching & Teacher Education, 5(1), 1-20. 

  31.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32. Yu, J. P. (2012).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the professor Yujongpil.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