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Developing the Rubric for Measurement in Levels by Are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ask Commitment Shown in the Science Gifted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7, 2014년, pp.657 - 666  

장정은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정의적 특성으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과제집착력 특성의 영역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여 영재 판별에 대한 함의 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과학 영재들이 과제집착력을 갖고 활동한 경험을 분석하여 탐색한 과제집착력 특성을 기반으로 과제집착력 특성의 영역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제작된 루브릭을 적용하여 과학 영재들이 원인이나 원리를 깊이 있게 탐구했던 경험을 기술한 내용에 나타난 과제집착력 특성의 영역별 수준을 측정해보았다. 개개인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루브릭 형태의 측정 도구를 통해 학생들의 과제집착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해 볼 수 있다. 또한 루브릭을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그 수행 준거를 기반으로 학생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은 수준 판단의 근거가 되며, 그 학생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the gifted, it is essential to perform overall evaluation o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considering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gifted. Nowadays, not only cognitive factors but also affective factors are being emphasized. Among the affective factors of the gifted, the t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영재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6; Lee, 1980; Roe, 1953; Shin, 2002)에서 Renzulli(1978)가 언급한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을 과학 영재의 특성으로 보고 있다. 과학 영재는 인지적인 부분에서 과학적 사고력과 잠재력이 있어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며(Heller, 2002),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기술을 가지고 창의적인 사고를 한다(Jeong, 2008). 과학 분야에 대한 과제집착력, 흥미, 동기, 자신감 등의 비지적 요인들이 뛰어나며 그 중 높은 과제집착력으로 개인의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추구하며, 장애나 실패에도 불구하고 탐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Roe, 1953). 이러한 과학 영재들을 판별하는 과정에 있어서 과학 영재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과학 영재의 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영재들 중에서도 과학 영재의 경우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Brandwein, 1955; Jeong, 2008; Kim et al., 1996; Lee, 1980; Roe, 1953; Shin, 2002)에서 Renzulli(1978)가 언급한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을 과학 영재의 특성으로 보고 있다. 과학 영재는 인지적인 부분에서 과학적 사고력과 잠재력이 있어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며(Heller, 2002),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기술을 가지고 창의적인 사고를 한다(Jeong, 2008).
과제집착력을 측정하고자 시도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과제집착력을 측정하고자 시도한 연구의 경우 연구자들은 과제집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과제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상황에서 두 가지 대안 중 선택하게 하거나(Kim, 2005), 기존의 검사들을 수정하여 5점 리커트 척도 형태로 재구성하여 자기평가를 통해 과제집착력을 측정해보고자 하였다(Park & Lee, 2011). 이와 같은 형태는 제한적인 상황에서의 평가로 영재아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고, 목표가 다른 기존의 평가 문항을 그대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정확한 측정에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검사 형태가 학생들의 자기 보고식으로 객관성에도 한계가 있다. 정략적 정성적 측정을 위해 Kim(2013)은 주의집중을 과제집착력의 한 요소로 보고 안구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추적하는 시선 추적 방법을 시도하였고, 행동 특성 연구에서 과제집착력 특성을 평가하는 것들이 일부 연구되고 있다(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rron, F. (1969).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process. Oxford, England, Holt: Rinehart & Winston 

  2. Brandwein, P. F. (1955). The gifted student as future scientist. New York, NY: Springer 

  3. Cho, N.-S., Baek, S.-G., So, K.-H., & Kim, K.-J. (1998).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based assessment standards for high school 10 common compulsory courses. RRE 98-3-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4. Choi, D.-H., Kang, W., Son, Y.-A, & Jhun Y. (2001).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1(2), 59-85. 

  5. Chung K., Chun, M., & Choe, S.-U. (2008). Investigation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eachers' beliefs of gifted education, identification, class preparation, and suppor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7(2), 161-177. 

  6.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 Row. 

  7. De La Paz, S. (2009). Rubics: Heuristics for developing writing strategies. Assessme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34(3), 134. 

  8.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s of the definition. Gifted Child Quarterly, 29, 103-112. 

  9. Goodrich, H. (1997).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10. Herman, J. L., As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a: ASCD Publishers. 

  11. Jang, J., Chung, Y., Choi, Y., & Kim, S.-W. (2013).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16. 

  12. Jeong, M.-h. (2008). Development of a rubric for evaluation of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s'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13. Kim, J., Lee, E., Choi, G., & Song, S. (1996). Development of science gifted identification (I). CR96-27.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Kim, J,-G. (2005).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ask commitment for gift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5. Kim, S. Y. (201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ask commitment by using eye-tracking for identifying science gifted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Kwag, M.-Y. (2011). Approach to the school adjustment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the ground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17. Lee, J. (1980).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eoul: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18. Lee, J.-C. (201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KSA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19. McMillan, J. H. (200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3rd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 Mertler, C. A. (2001). Designing scoring rubrics for your classroom.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25), Retrieved March 3, 2004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25. 

  21. Moskal, B. M. (2000). Scoring rubrics: What, when and how?.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3), Retrieved August 1, 2014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3. 

  22. Moskal, B. M., & Leydens, J. A. (2000). Scoring rubric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10), Retrieved August 1, 2004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10. 

  23. Oh, K.-A., & Kim, S.-W. (1995). The attitude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3), 291-302. 

  24. Park, D., Kwon, S., Kim, S., Kim, O., Kim, J., Kim, H., Nam. H. Paik, S., Yang, K. Lee, K., Lee, W., Lee, H., Cho, J. Kim, M., Kim, Y., Kim, J., Kim, J., Nam, M., Park, W., Seong, T., Eo, Y., Lee, N., Lee, J., Chang, E., & Choi, D. (2012). Educational assessment. Seoul: Gyoyuk-gwahak-sa. 

  25. Park, M. J., & Lee. Y.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task commitment of science-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4), 961-977. 

  26. Park, S., Choi, K., & Lee, H. (2009).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in education institutes for gifted children in the elements of giftednes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2), 119-13. 

  27. Renzulli, J. S. (1978). How many types of giftedness can your program tolerat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 39-51. 

  28. Renzulli, J. S., & Reis, S. M. (1994). Research related to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Gifted Child Quarterly, 38(1), 2-14. 

  29.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30. Roe, A. (1952). A psychologist examines 64 eminent scientists. Scientific American, 187(5), 21-25. 

  31. Roe, A. (1953). The making of a scientist. New York, NY: Dodd, Mead. 

  32. Schunk, D. H. (1989).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 173-208. 

  33. Shin, J. E. (2002). A comparative study on creativity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norma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4. Shin, M., & Kim, J. (2002).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for science gifted. Yonsei Gyoyuk Gwahak, 50, 77-92. 

  35. Tannenbaum, A. J. (1979). Pre-Sputnik to post-Watergate concern about the gifted. In A. H. Passow (Ed.), The gifted and the talented (pp. 5-27). Chicago, IL: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36. Terman, L. M. (1925 & 1926).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Vol. I):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7. Terman, L. M., &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The gifted group at mid-lif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8. Timmerman, B. E. C., Strickland, D. C., Johnson, R. L., & Payne, J. R. (2011). Development of a 'universal' rubric for assessing undergraduate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using scientific writing.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6(5), 509-5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