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2010년부터 시작된 '순회사서 지원 사업'은 작은도서관의 업무 지원과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5년차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소기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함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단계 순회사서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론 연구를 통해 순회사서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살피고, 순회사서제도 분석과 관련 참여자 면담을 통해 순회사서에 대한 낮은 인식, 사업의 비연속성, 순회사서의 고용불안정 등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순회사서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순회사서사업의 연속성 보장, 순회사서의 고용안정, 업무 체계 정비, 순회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실무교육, 참여도서관 점검체계,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노력 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10, the itinerant librarian project has aimed to support small libraries and to establish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However, the project has been criticized for several issues, although there are some positive evalu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inerant librarian의 의미와 등장 배경은? 반면, ‘Itinerant librarians’의 어원은 우리나라 순 회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등장배경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Itinerant librarian’은 도서관이 급증하던 19세기말 미국의 시대적 상황에서 등장한 사서직의 한 유형이다. 당시 미국은 빠르게 늘어나는 도서관 수에 비해, 사서의 일손은 크게 모자랐다. 이에 다수의 목록전문가, 분류전문가가 학교, 공공, 대학, 전문도서관 등 관종을 불문하여 미국 전역을 돌며 부족한 일손을 돕고, 업무 지체를 해소하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이들이 바로 ‘Itinerant librarian’이었다(Passet 1990, 1). 우리나라 순회사서의 등장이 도서관 간 협력의 필요성과 함께, 도서관 운영 인력의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순회사서의 영문 표기는 ‘Itinerant 국내에서 사용되는 순회사서의 영문 명칭은 ‘Circulating librarians’, ‘Itinerant librarians’ 등 연구자들마다 차이를 보인다.
순회사서란? 즉, ‘장소의 이동’을 특징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순회사서란 한 도서관(장소)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여러 도서관(장소)을 돌아다니며 직무를 수행하는 사서를 의미한다.
작은도서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것은? 그러나 작은도서관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용적 미비점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공간, 시설, 장서 등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도서관으로서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이 큰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순회사서제도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유승. 2014.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 48(3): 381-410.(Kim, You-Seung. 2014.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3): 381-410.) 

  2. 김재철. 2013. 마을공동체 구심체로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포커스광주, 2013-06호: 1-28.(Kim, Jay-Cheol. 2013.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Small Library as a Village Community." FOCUS Gwangju, 2013-06: 1-28.) 

  3. 김홍렬. 2010.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77-98.(Kim, Hong-Ryul. 2010. "Analysis and Solution of Small Libraries in Jeon-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77-98.) 

  4. 류웅재, 조현양, 이수진, 이현우, 윤나리. 2010. 경기도 도서관의 연계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경기개발연구원.(Ryoo, Woong-Jae et al. 2010.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Gyeonggi-Do's Public Library System through Networking.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5.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2013.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Museum Policy. 2013. 2012 Nationwide Survey Reports on Small Libraries's Management.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Museum Policy.) 

  6.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한국도서관협회. 2010. 2010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서울: 한국도서관협회.(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2010 A Report on Itinerant Librarians Support Program of Small Librar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한국도서관협회. 2012. 2011년도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서울: 한국도서관협회.(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2. 2011 A Report on Itinerant Librarians Support Program of Small Librar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8.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행복한도서관재단. 2013. 2012년도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경기도: 행복한도서관재단.(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Happy Library Foundation. 2013. 2012 A Report on Itinerant Librarians Support Program of Small Librar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Gyeonggi-Do: Happy Library Foundation.) 

  9.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행복한도서관재단. 2014. 2013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경기도: 행복한도서관재단.(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Happy Library Foundation. 2014. 2013 A Report on Itinerant Librarians Support Program of Small Librar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sk For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Gyeonggi-Do: Happy Library Foundation.) 

  10. 박금희. 1999. '초.중.고등학교 사서보조원 배치 및 활용' 사업을 통해 본 학교도서관. 도서관문화, 319: 30-35.(Park, Geum-Hee. 1999. "The School Library through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an Assistant's Placement and Utilization' Business." Library Culture, 319: 30-35.) 

  11.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75-192.(You, Yang-Keun and Song-Yi Park.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mall Libraries: Focus o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75-192.) 

  12. 이승원. 2011.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에 대한 연구: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2(4): 223-241.(Lee, Seung-Won. 2011. "A Study of Local Governmen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Analysis on the Ordina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223-241.) 

  13. 이정연. 201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7-39.(Lee, Jung-Yeoun. 2011.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Library Policy for the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7-39.) 

  14. 이정호. 2013. 작은도서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천지역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149-169.(Lee, Jeong-Ho. 2013.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with Small Libraries: Focus on Bucheo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149-169.) 

  15. 이정호. 2014.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609-632.(Lee, Jeong-Ho. 2014.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Network among Small Librarie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5(2): 609-632.) 

  16. 장혜란 역. 2011.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Chang, Hye-Rhan. 2011.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Revised Ed.&Tran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7. 정현태, 조미아, 이진우, 박영애. 2010a.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Joung, Hyun-Tae, Mi-Ah Cho, Jin-Woo Lee, and Young-Ae Park. 2010a. A Study on the Connection & Vitalization of Private Small-Libraries in Living Space.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RILI.) 

  18. 정현태, 조미아, 이진우, 박영애. 2010b. 생활밀착형 사립 작은도서관의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도서관, 65(1.2): 38-76.(Joung, Hyun-Tae, Mi-Ah Cho, Jin-Woo Lee, and Young-Ae Park. 2010b. "A Study on the Connection & Vitalization of Private Small-Libraries in Living Space." Doseogwan, 65 (1.2): 38-76.) 

  19.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77-197.(Cho, Yoon-Hee.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177-197.) 

  20. 최은실. 2013.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방안 연구: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72: 61-76.(Choi, Eun-Sil. 2013. "A Study on the Cooperation Plan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Focused on Pocheon Area." Digital Library, 72: 61-76.) 

  21. 최종덕.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정책과 과제. 국회보, 431: 97-100.(Choi, Jong-Deok. 2002. "School Library Policy and Activation Tasks." National Assembly Review, 431: 97-100.) 

  22. 한상우, 오현석. 2011. 경남지역 작은도서관 운영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정책포커스, 2011-10: 1-44.(Han, Sang-Woo and Hyun-Seok Oh. 2011. "Policy Tasks for Small Library's Operation and Vitalization in Gyeongnam." Policy Focus, 2011-10: 1-44.) 

  23. Allen, David. 2008. A Nation of Readers: The Lending Library in Georgian England. London: British Library. 

  24. Passet, Joanne E. 1990. "'Order is Heaven's First Law': Itinerant Librarians and Bibliographic Control, 1887-1915." The Library Quarterly, 60(1): 23-43. 

  25. Prytherch, R. ed. 2005. Harrod's Librarians' Glossary and Reference Book (10th ed). Aldershot: Ashgate Publishing Limited. 

  26. Raven, James. 2006. "Libraries for Sociability: The Advance of Subscription Library." In The Cambridge History of Libraries in Britain and Irel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도서관법(법률 제11310호 2012.2.17. 일부개정). 

  28. 작은도서관 진흥법(법률 제11316호 2012.2.17. 제정). 

  2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online]. [cited 2014.10.11]. . 

  30. 한국도서관문화진흥원 [online]. [cited 2014.9.2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