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색도서관 구축 현황 및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Green Library Construction Status and Awarenes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4, 2014년, pp.79 - 108  

홍수지 (국립세종도서관 서비스이용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녹색도서관 구축 현황 및 인식조사 연구를 통해 녹색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녹색도서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녹색도서관에 대한 개요 및 녹색도서관 건립의 기준이 되는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 G-SEED 인증을 받은 도서관과 G-SEED 평가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G-SEED 인증을 받은 도서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녹색도서관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녹색도서관 및 녹색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 녹색도서관에 대한 관심도와 그 필요성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축인증제도 평가항목에 따른 소속도서관의 녹색도서관 구축 현황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평가항목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이 중 '재활용 가능자원 분리수거' 평가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수도 설치' 평가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녹색건축인증제도 평가항목은 적합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녹색도서관 구축의 필수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환경오염방지, 에너지, 생태환경, 실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녹색도서관 구축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녹색도서관 개념에 대한 인식 부족이었고, 녹색도서관 구축효과는 도서관에 대한 이미지 향상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instances of green library construction and recognition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of green librarie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green library's outline and green building, evaluated cases of G-SEED certified libraries, and surveyed the employee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색성장의 개념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환경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sustainability)’과 ‘녹색성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녹색성장’의 개념은 탄소배출을 감소시키는 녹색기술을 개발하여 지구 환경을 가능한 한 그대로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즉, 각 분야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여 친환경적인 사회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녹색도서관에 대한 운동은 어디를 중심으로 시작 되었는가?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녹색도서관’에 대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1991년대 초반의 녹색도서관에 대한 연구는 녹색도서관의 필요성과 건축 방향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후반으로 넘어오면서 녹색도서관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혹은 지속가능한 도서관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등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었다.
G-SEED 인증을 받은 도서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녹색도서관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녹색도서관에 대한 개요 및 녹색도서관 건립의 기준이 되는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 G-SEED 인증을 받은 도서관과 G-SEED 평가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G-SEED 인증을 받은 도서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녹색도서관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녹색도서관 및 녹색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 녹색도서관에 대한 관심도와 그 필요성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축인증제도 평가항목에 따른 소속도서관의 녹색도서관 구축 현황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평가항목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이 중 '재활용 가능자원 분리수거' 평가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수도 설치' 평가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녹색건축인증제도 평가항목은 적합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녹색도서관 구축의 필수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환경오염방지, 에너지, 생태환경, 실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녹색도서관 구축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녹색도서관 개념에 대한 인식 부족이었고, 녹색도서관 구축효과는 도서관에 대한 이미지 향상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토교통부, 환경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3. 2013 녹색건축 인증 연차보고서. 경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색건축센터.(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er of Environ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3. 2013 G-seed Annual Report. Gyeonggi: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reen Building Center.) 

  2.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online]. [cited 2014.5.2].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ort Material [online]. [cited 2014.5.2]. .) 

  3. 김세훈 외. 2009. 녹색성장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Kim, Se-Hun et al. 2009. The Cultural Policy Direction of Green Growth Era.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4. 김호, 이종태. 2013. 국립세종도서관 건립공사. 한국건축시공학회, 13(5): 25-31.(Kim, Ho and Jongtae Lee. 2013. "Construction of National Sejong Library."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3(5): 25-31.) 

  5. 노영희, 안인자. 2012. 국내외 친환경 녹색도서관 사례모음. 서울: 조은글터(Noh, Younghee and In-Ja Ahn. 2012. Cases Collection of Green Eco-friendly Libraries at Home and Abroad. Seoul: Joeun-Geulteo Publisher.) 

  6. 녹색건축 인증제(G-SEED)통합운영시스템 [online]. [cited 2014.5.2].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online]. [cited 2014.5.2]. .) 

  7. 박명규. 2008. 친환경 공공주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Park, Myung-Kyu. 2008. Analysis of Evaluation Items for Certif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Houses and Study on their Importance. M.A. thesis,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t. of Architecture.) 

  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4.5.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Data Center [online]. [cited 2014.5.7]. .) 

  9. 안인자, 곽철완, 노영희, 박미영. 2012. 녹색도서관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 국내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3(1): 135-158.(Ahn, In-Ja, Chul-Wan Kwak, Younghee Noh, and Miyoung Park. 2012. "How do they Make Libraries Green?: A Case Based Study on Building Green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3(1): 135-158.) 

  10. 안인자, 곽철완, 노영희. 2013. 녹색도서관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189-205.(Ahn, In-Ja, Chul-Wan Kwak, and Younghee Noh. 2013. "An Analysis of Literature Trends in Green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189-205.) 

  11. 정종대, 최윤아. 2006.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 및 인증 사례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8): 27-36.(Jung, Jong-Dae and Yoon-Ah Choi. 2006. "An Analysis of Assesment Indicators and Certificated Cases by Green Building Progra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8): 27-36.) 

  12. 크레비즈 인증원 [online]. [cited 2014.4.22]. .(CreBizQM [online]. [cited 2014.4.22]. .) 

  13. Antonelli, Monika. 2008. "The Green Library Movement: An Overview of Green Library Literature and Actions from 1979 to the Future of Green Libraries." Electronic Green Journal, 27: 1-11. 

  14. BEPAC [online]. [cited 2014.4.15]. . 

  15. Bozeman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4.4]. . 

  16. BREEAM [online]. [cited 2014.4.15]. . 

  17. Leed. [cited 2014.4.15]. . 

  18. Schaper, Louise Levy. 2003. "Public Input Yields Greener Library Design." Library Journal, 129(20): 62. 

  19. Schaper, Louise. 2011. 17 "Best Green Practices from LJ's New Landmark Libraries." Library Journal, 136 [online]. [cited 2014.4]. . 

  20. U.S. Green Building Council [online]. [cited 2014.4].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