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의 인공지능(AI) 서비스 현황 및 서비스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Library's AI Service and the Service Provision Pla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2 no.1, 2021년, pp.155 - 178  

곽우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공공도서관은 인공지능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도서관 지능형서비스 추진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국내외 인공지능 관련 동향 및 정책, 사례 등의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도서관에서의 향후 인공지능 서비스 도입 및 발전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현재 도서관에서는 딥러닝, 자연어처리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해 자동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참고정보서비스를 운영하며, 빅데이터 기반 AI 도서 추천 및 자동 도서 점검 시스템을 개발하여 업무 활용도를 높이고,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 및 산업 분야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용자 개인 맞춤형 등을 기반으로 한 기술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딥러닝을 사용하여 정보를 스스로 학습하여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는 식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도서관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이용 기록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도서 추천, 독서·문화 프로그램 추천, 도서 택배 서비스 시 자율주행 드론·자동차 등 운송수단을 통한 실시간 배송 서비스 도입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도모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ublic libraries need a strategy for promoting intelligent library services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

주제어

참고문헌 (18)

  1. Chung, Young-Mee (1987).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Science Society, 14(1), 67-92. 

  2. Financial Security Institute (2018). Electronic Finance and Financial Security. Gyeonggi: Financial Security Institute. 

  3.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lanning & Evaluation (2018). ICT Brief(2018-29). 

  4. Jang, Hey-Jin (2016. 3. 17.).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already appeared in legal services. Available: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99241 

  5. Kim, Tae-Young, Gang, Ju-Yeon, Kim, Geon, & Oh, Hyo-Jung (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strategies for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4), 149-1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149 

  6. Kim, Tae-Young, Park, Tae-Yeon, Yang, Dong-min, & Oh, Hyo-Jung (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strategies of the smart devices in the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203-22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4.203 

  7. Kim, Yoo Rim (2018). Movie information service development using chatbot.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Spring Conference, 365-368. 

  8. Kook, Kyoung-Wan (2020). Tiny AI (Miniatu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Market Trends. Daeje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9. National Assembly Library (2020. 12. 8.). [Press Release] Held a seminar on the strategy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legal information services. Available: https://www.assembly.go.kr/assm/notification/news/news01/bodo/bodoView.do?bbs_idANCPUBINFO_07&bbs_num50357&no7798&CateGbn&Gbntitle$paramMap.Gbntitle 

  10. Newspim (2019. 2. 7.). Xiaomi, Huawei, Alibaba, China IT Stars, All-out war Over Future Food AIoT. Available: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207000565. 

  11. Park, Youngsook, Jerome Glenn, & Ted Gordon (2015). United Nations Future Report 2045: The Millennium Project. Paju: KyoboBook. 

  12. Seo, Kyo Ri et al. (2017). A study on development model of public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890-891. 

  13. SK Infosec (2020. 7. 13.).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vailable: http://blog.naver.com/skinfosec2000/222029239340. 

  14. Son, Seung Hee (1988).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Sangmyung University, 21, 441-459. 

  15. Sun, Jong-Soo (2020). Police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Dong-A Law Review, 89, 61-88. https://doi.org/10.31839/DALR.2020.11.89.61. 

  16. Tak, Hae-Kyung (1996).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brary instruction.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7(3), 41-60. 

  17. Frost & Sullivan (2016). 2016 Global Advanced Malware Sandbox Market Leadership Award. Frost & Sullivan. 

  1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2016). IFR, World Robotics 2016: European Union occupies top position in the global automation race. IF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