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변화 및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and their Assessment Strateg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1 no.4 = no.94, 2014년, pp.229 - 248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도서관은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도서관의 신축 및 리노베이션을 통한 공간구성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인 자료 보존 및 제공 그리고 대학교 구성원의 학습에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자(supporter)의 기능을 넘어서, 공간구성의 변화를 통해 학습과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조력자(facilitator)의 기능으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학도서관 공간 기능의 변화와는 달리 이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리노베이션이나 신축 전후의 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 혹은 도서관 이용의 변화에 국한되고 있어서, 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반영한 도서관의 학습커먼즈(learning commons)로서의 기능을 평가하는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개발과 미래의 공간구성 및 평가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attempting to reorganize their space through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remodeling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university environment. These changes seem to reflect the need for the shift of the university library...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고영만, 심원식, 정혜경, 표순희, 황욱 (2014). 이용자의 이용행태 및 혜택에 대한 인식이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29-343.(Ko, YoungMan, Shim, Wonsik, Chung, HyeKyung, Pyo, SoonHee, & Hwang, Uk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users' use patterns and their recognition of service benefits on the value assessments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329-343.)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329 

  2. 김기영, 최상기, 김주섭, 안혜림 (2014). 대학도서관평가 표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303-334.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3.303(Kim, Giyeong, Choi, SangKi, Kim, JuSup, & Ahn, Hyerim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indicators for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3), 303-334.) 

  3. 남영준, 문정현, 이현정 (2009).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성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205-222.(Nam, YoungJoon, Moon, JungHyun, & Yi, HyunJung (2009).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spac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C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205-222.) 

  4. 심원식, 이은철 (2013).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정보관리 학회지, 30(2), 245-268.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2.245(Shim, Wonsik, & Lee, EunChul (2013).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using LibQUAL+: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245-268.) 

  5. 유재옥 (2012).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관한 소고.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15-436.(Yoo, JaeOk (2012). A review of the remodeling project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15-436.) 

  6. 이용재, 박경석, 김보인 (2012).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33-150.(Lee, YongJae, Park, KyungSeok, & Kim, BoIn (2012).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P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133-150.) 

  7. 전명숙 (2003). 21세기의 도서관 정보센터 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92-301.(Chun, Myungsook (2003). Library architecture in 21st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292-301.) 

  8. 정재영 (2012).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33-352.(Chung, JaeYoung (2012).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333-352.) 

  9. 주정준, 김치환, 정의용 (2007).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7), 107-116.(Ju, JungJun, Kim, ChiHwan, & Jeong, EuiYong (2007). A study on the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before and after remodeling.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3(7), 107-116.) 

  10. 최재황, 차성종 (2012). 전국 공공도서관의 운영평가 분석에 관한 연구: 2011년도 운영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1-28.(Choi, Jae Hwang, & Cha, SungJong (2012). Analysis of 2011 Korean public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1-28.)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2013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 연구보고 CR 2013-16. Retrieved from http://www.rinfo.kr.jsp/statistics/chartView-2.jsp?NUM6&OWASP 교육관련기관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Retrieved from http://www.rinfo.kr/stat/statlnfo.do?sub01&OWASP(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3). 2013 University library statistical analysis kit. Research Reports. CR 2013-16. Retrieved from http://www.rinfo.kr.jsp/statistics/chartView-2.jsp?NUM6&OWASP Retrieved from http://www.rinfo.kr/stat/statlnfo.do?sub01&OWASP) 

  12. 한국도서관협회 (1961-2013). 한국도서관 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1-2013). Korea Library Almanac.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3. Appleton, L., & Stevenson, V. (2011). Developing learning landscapes: academic libraries driving organisational change. Reference Services Review, 39(3), 343-361. 

  14. Bailin, K.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59. 

  15. Bennett, S. (2009). Libraries and learning: A history of paradigm change. Libraries and the Academy, 9(2), 181-197. 

  16. Bryant, J., Matthews, G., & Walton, G. (2009). Academic libraries and social and learning space: A case study of Loughborough University library, UK.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41(1), 7-18. 

  17. Bryant, J. (2009). What are students doing in our library? Ethnography as a method of exploring library user behaviour. Library and Information Research, 33(103), 3-9. 

  18. Cottrell, J. R. (2011). What are we doing here, anyway?: Trying academic library goals to institutional mission. C&RL News, 516-520. 

  19. Crumpton, M., & Crowe, Kathryn (2009). Using evidence for library space planning. Proceedings of the 2008 Library Assessment Conference: Building effective, sustainable, practical assessment. 51-64. 

  20. DeClercq, C. P., & Cranz, G. (2014). Moving beyond seating-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dentified in a POE of a compus librar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articles in press. (preprint) 

  21. Harrpo, D., & Turpin, B. (2013). A study exploring learners' informal learning space behaviors, attitudes, and preferences.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19, 58-77. 

  22. Hobbs, K., & Klare, D. (2010). User driven design: Using ethnographic techniques to plan student study space.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27, 347-363. 

  23. Hunter, J., & Cox, A. (2014). Learning over tea! Studying in informal learning spaces. New Library World, 115(1/2), 34-50. 

  24. Lippincott, J. K. (2013) Library space assessment: Focusing on learning. Research Library Issues. RLI284. 

  25. Matthews, K., Andrews, V., & Adams, P. (2011). Social learning spaces and student engagement.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0(2), 105-120. 

  26. Montgomery, S. E. (2014). Library space assessment: User learning behaviors in the librar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0, 70-75. 

  27. Montgomery, S. E. (2011). Quantitative vs. Qualitative: Do different research methods give us consistent information about our users and their library space needs? Library and Information Research, 35(11), 73-86. 

  28. Nitecki, D. A. (2011). Space assessment as a venue for defining the academic library. The Library Quarterly, 81(1), 27-59. 

  29. Oakleaf, M. (2011). Are they learning? Are we? Learning outcomes and the academic. library. Library Quarterly, 81(1), 61-82. 

  30. Oakleaf, M. (2010). The value of academic libraries: A comprehensive research review and report.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31. Webb, K. M., Schaller, M. A., & Hunley, S. A. (2008). Measuring library space use and preferences: Charting a path toward increased engagement. Libraries and the Academy, 8(4), 407-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