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대쌀눈의 특성과 검정쌀 그리고 찹쌀의 특성을 보유한 눈큰흑찰의 침종과 발아 그리고 기질로 글루탐산을 처리하였을 경우의 가바를 포함한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싹 발아 길이를 기준으로 눈큰흑찰의 가바 함량은 싹 길이가 5~10 mm인 stage-3에 93.9 mg/100 g으로 최고를 보였고, 대량 제조 조건에서는 최고 126.9 mg의 가바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침종에 의한 성분 분석에서는 72시간 침종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그리고 가바 함량이 가장 많이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3.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작용에 의한 가바 함량 증가는 현미와 쌀겨 모두에서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눈큰흑찰 현미와 쌀겨의 경우 가바 함량이 각각 354.6 mg/100 g과 726.4 mg으로 현미와 쌀겨에 비해 각각 14배와 3배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눈큰흑찰의 발아와 침종에 따른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뇌의 대사전달 물질의 조정 작용과 고혈압 그리고 스트레스 조정 기능이 있는 가바의 함량이 침종과 발아에 의해 일반 쌀에 비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나 글루탐산탈탄산 효소의 작용에 의한 눈큰흑찰의 현미와 쌀겨의 가바 생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그 어떤 쌀품종에서 분석된 가바 함량보다도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기능성 발아현미 가공을 위한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침종 조건은 가바 함량이 증진된 밥의 제조에 활용이 가능하고, 일본에서 시판되는 가바 건강식품의 용량과 맞먹는 함량을 지닌 눈큰흑찰을 이용한 가바쌀 생산과 가바의 효능에 의한 혈압강하, 체중조절, 알코올 관련 질환 등에 효능이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ssessed the GABA accumulation and other components after the 'Nunkeunhukchal (BGE)', 'Josanghukchal (BR)', and 'Ilmibyeo (IB)' grain was soaked in water for 24, 36, 48, 60, 72 and 96 hr. The results showed a continuous accumulation of GABA in soaking treated brown rice of BGE and IB. Among th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ABA 함량이 일반미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눈큰흑찰을 이용하여 가바가 증진된 건강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종자의 가바 함량을 증대시키는 처리방법인 침종과 발아 조건에서의 가바 함량 및 다른 영양성분의 변화를 검정하였으며, 또한 가바의 전구체로 알려진 글루탐산 아미노산을 기질로 사용하여 눈큰흑찰 종자에 있는 효소의 비활성과 가바 최대 생산 조건을 구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큰흑찰의 일반 쌀 대비 배아 크기와 다량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눈큰흑찰’ 쌀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3년 개발한 신품종으로 약배양을 통해 개발된 거대배의 특성과 찹쌀의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변이체인 ‘YR23517Acp79’을 모본으로 하여 ‘조생흑찰’과 인공교배하여 개발된 품종으로 일반쌀에 비해 배(배아)의 크기가 3배 이상 크고 아미노산, 지방, 무기성분, 안토시아닌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신품종이다. 특히나 고혈압과 신경안정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기능성 아미노산인 GABA (γ-aminobutyr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Kim et al.
눈큰흑찰의 침종과 발아 그리고 기질로 글루탐산을 처리하였을 경우의 가바를 포함한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거대쌀눈의 특성과 검정쌀 그리고 찹쌀의 특성을 보유한 눈큰흑찰의 침종과 발아 그리고 기질로 글루탐산을 처리하였을 경우의 가바를 포함한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싹 발아 길이를 기준으로 눈큰흑찰의 가바 함량은 싹 길이가 5~10 mm인 stage-3에 93.9 mg/100 g으로 최고를 보였고, 대량 제조 조건에서는 최고 126.9 mg의 가바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침종에 의한 성분 분석에서는 72시간 침종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그리고 가바 함량이 가장 많이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3.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작용에 의한 가바 함량 증가는 현미와 쌀겨 모두에서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눈큰흑찰 현미와 쌀겨의 경우 가바 함량이 각각 354.6 mg/100 g과 726.4 mg으로 현미와 쌀겨에 비해 각각 14배와 3배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눈큰흑찰의 발아와 침종에 따른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뇌의 대사전달 물질의 조정 작용과 고혈압 그리고 스트레스 조정 기능이 있는 가바의 함량이 침종과 발아에 의해 일반 쌀에 비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눈큰흑찰은 무엇인가? ‘눈큰흑찰’ 쌀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3년 개발한 신품종으로 약배양을 통해 개발된 거대배의 특성과 찹쌀의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변이체인 ‘YR23517Acp79’을 모본으로 하여 ‘조생흑찰’과 인공교배하여 개발된 품종으로 일반쌀에 비해 배(배아)의 크기가 3배 이상 크고 아미노산, 지방, 무기성분, 안토시아닌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신품종이다. 특히나 고혈압과 신경안정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기능성 아미노산인 GABA (γ-aminobutyr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urisano, N., T. Horino, and Y. Mor. 1995.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during water soaking. Biosci. Biotech. Biochem. 58 : 2291-2292. 

  2.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 Biochem. 72 : 248-254. 

  3. Choe, J. S., H. H. Ahn, and H. J. Nam.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Korean Soc Food Sci Nutr, 31 : 885-892. 

  4. Choi, Y. M., S. M. Lee, J. Chun, H. B. Lee, and J. S. Lee.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 381-397. 

  5. Elliott, K., and F. Hobbiger. 1959. Gamma-aminobutyric acid: Circulatory and respiratory effects in different species; re-investigation of the anti-strychnine action in mice. J. Physiol. 146 : 70-84. 

  6. Goufo, P., and H. Trindade. 2014. Rice antioxidants: phenolic acids, flavonoids, anthocyanins, proanthocyanidins, tocopherols, tocotrienols, gamma-oryzanol, and phytic acid. Food Science & Nutrition, 2(2) : 75-104. 

  7. Jang, S. S. 1998. Method of germinating with brown rice. Korea Patent : 1998-0247686. 

  8. Juliano, B. O. 1985. Biochemical properties of rice. In Rice : Chemistry and Technology. pp. 175-205.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9. Kim, D. J., S. K. Oh, J. H. Lee, M. R. Yoon, I. S. Choi, D. H. Lee, and Y. G. Kim. 2012.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SCI. Technol. 44(4) : 300-305. 

  10. Kim, J. Y., W. D. Seo, D. S. Park, K. C. Jang, K. J. Choi, S. Y. Kim, S. H. Oh, J. E. Ra, G. H. Yi, S. K. Park, U. H. Hwang, Y. C. Song, B. R. Park, M J. Park, H. W. Kang, and S. I. Han. 2013. Comparative Studies o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Black Waxy Rice with Giant Embryos and Its Rice Bran. Food Sci. Biotechnol. 22(S) : 1-8. 

  11. Kim, S. L., M. A. Berhow, J. T. Kim, H. Y. Chio, S. J. Lee, and I. M. Chung. 2006. Evaluation of soyasaponin, isoflavone, protein, lipid, and sugar accumulation in developing soybean seed. J Agric Food Chem 54 : 10003-10010. 

  12. Kweon, M. H., H. J. Hwang, and H. C. Sung.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 4646-4655. 

  13. Kyoun, O. Y., S. H. Oh, H. J. Kim, Y. K. Yoon, H. M. Kim, and M. R. Kim. 2006. Analyses of nutrients and antinutrients of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 949-956. 

  14. Lee, Y. R., C. E. Kim, M. Y. Kang, and S. H. Nam. 2007.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xidant status-improving efficacy of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 (Oryza sativa L.) in high cholesterol-fed rats. Ann. Nutr. Metab. 51 : 519-526. 

  15. Liu, L. L., H. Q. Zhai, and J. M. Wan. 2004.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 Giant-Embryo Rice Grain in Relation to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y and Its Gene Expression During Water Soaking. Cereal Chem. 82(2) : 191-196. 

  16. Oh, S. H., S. H. Kim, Y. J. Moon, and W. G. Choi. 2002.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some amino acids by application of glutamic acid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6) : 49-53. 

  17. Oh, S. H., S. H. Kim, Y. J. Moon, and W. G. Choi. 2002b. Changes in the levels of water soluble protein and free amino acids in brown rice germinated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6) : 515-519. 

  18. Oh, S. H., J. R. Soh, and Y. S. Cha. 2003.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shows a nutraceutical effect in the recovery of chronic alcohol-related symptoms. J. Med. Food. 6 : 115-121. 

  19. Ohtsubo, K., K. Suzuki, Y. Yasui, and T. Kasumi. 2005. Bio-functional components in the processed pre-germinated brown rice by a twin screw extruder.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8 : 303-316. 

  20. Park, D. S., S. K. Park, B. C. Lee, S. Y. Song, N. S. Jun, N. L. Manigbas, J. H. Cho, M. H. Nam, J. S. Jeon, C. D. Han, K. J. Choi, D. H. Kim, Y. M. Woo, H. J. Koh, H. W. Kang, and G. H. Yi. 2009.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f a new giant embryo mutant gene (get) in rice (Oryza sativa L.). Genes Genom. 31 : 277-283. 

  21. Saikusa, T., T. Horino, and Y. Mori. 1994. Accumulation of ${\gamma}$ -amino butyric acid (GABA) in rice germ during water soaking. Biosci. Biotech. Bioch. 58 : 2291-2292. 

  22. Seo, W. D., J. Y. Kim, D. S. Park, S. I. Han, K. C. Jang, K. J. Choi, S. Y. Kim, S. H. Oh, J. E. Ra, G. H. Yi, S. K. Park, U. H. Hwang, Y. C. Song, B. R. Park, and H. W. Kang.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ochemical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new giant embryo mutant, 'YR23517Acp79', in rice (Oryza sativ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 : 700-709. 

  23. Stork, C. R., L. P. Silva, and C. A. Fagundes. 2005. Categorizing rice cultivars based on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J Food com Anal, 18 : 333-341. 

  24. Zhang, H., H. Y. Yao, and Y. R. Jiang. 2002. Development of the health food enriched wit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Food Ferment. Ind. 28 : 69-72. 

  25. Zhang, L, P. Hu, S. Tang, H. Zhao, and D. Wu. 2005. Comparative studies o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rice with a giant embryo and a normal embryo. J. Food Biochem. 29 : 653-6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