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금강유역 산업계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현황에 대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국오염원조사 결과 적합성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the Nationwide Water Pollution Source Survey Results on the Prioritized Toxic Water Pollutants from Industrial Sources in the Geum-River Basin by Exploratory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0 no.6, 2014년, pp.585 - 595  

김은아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김연숙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류덕희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정제호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mporal trends of the prioritized toxic water pollutants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Geum-River basin, Korea were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the nationwide Water Pollution Source Survey conducted in 2001 - 2012.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d rapid incre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탐색적 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하여 최근 12년간의 금강유역 산업계 특정수질오염물질 발생 및 배출에 대한 조사통계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론 으로부터 현행 오염원조사 결과의 적합성 및 조사방법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오염원 통계자료 신뢰도 향상을 통하여 관련 환경정책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2에서 최근 12년간 종말처리시설로 연계처리되어 방류되는 폐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는데, 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처리기술 및 용량 개선이 따라오지 않는 경우 유입량과 비례하여 방류되는 유해 물질이 증가할 수 있다. 오염원조사 결과 검증목적 이외에도 이러한 유해요인으로 인한 효과를 예측, 평가하는 목적 으로서 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유입, 방류 농도는 관리되어야 할 지표임이 분명하다.
  • 본 연구는 최근 12년간 전국오염원조사 결과를 토대로 금강유역에 위치한 배출시설로부터의 특정수질유해물질 발생현황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결과값의 신뢰도 측면에서 적합성 및 조사의 한계점과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금강유역 전체 특정폐수 발생량은 2001년부터 2012년 사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물질별 발생량과 배출량은 12년간 증가 또는 감소되는 일관적 추세 없이 연간 발생량이 크게 변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Fig. 4(c) 에서 보이듯이 특정수질유해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법정동은 (a)와 (b)가 유사한 분포를 보이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발생 하는 전체 법정동의 면적은 (a)가 1,891 km2, (b)가 14,279 km2 로, (b)가 8배가량 넓다. 이 면적은 특정수질유해물질 발생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수치로,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시설의 분포도를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정수질유해물질 방류농도 무엇에 따라 규제되는가? 현재 특정수질유해물질 방류농도는 수질 및 수생태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34조 별표 13에 의거 적용지역에 따라 규제되며, 공단폐수종말처리구역 배출업소 및 폐수종말처리장을 통하여 연계처리하는 배출시설은 특례지역 배출허용기준에 따라 규제된다. 특정수질유해물질의 배출농도가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9-18의 기준을 따라 초과부과금 및 과징금, 과태료가 부과된다.
대상 사업체의 배출 물질 및 농도 범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은? 위의 예시 이외에도 현재 산업계 특정수질유해물질 연간 배출현황 조사로 오염원조사는 대상 사업체의 배출 물질 및 농도 범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인허가자료와 같은 폐수배출시설 기초정보 및 지도・점검자료 검토기능이 없어 오염원조사시스템에 입력된 수치의 신뢰도를 가늠할 수 없다. 둘째, 인허가자료 및 지도・점검자료 검토기능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현재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인허가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해당 지자체 공무원의 전문성 및 감독주기 등의 외부 요소에 크게 좌우된다. 셋째, 2009년부터 오염원조사는 사업체 배출농도를 조사하고, 환경기초시설로 유입・연계처리 시키는 폐수배출시설의 경우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는 농도는 환경기초시설의 처리효율을 감안하여 추후 산정되는데, 지금까지 환경기초시설 오염도 조사는 BOD, COD, SS, TN, TP, 대장균군수 여섯 개 항목으로 한정되어있어 각 환경기초시설로 유입되는 양과 각 산업체가 연계처리 시키는 물질량을 비교・검증할 수 없다.
물질별 발생량(g/day)은? 물질별 발생량(g/day)은 제출된 특정폐수 발생량(m3/일)과 특정수질유해물질 처리전 농도(mg/L) 값들을 곱한 합으로 산정하였다. 물질별 배출원단위는 특정폐수 발생정보를 누락한 사업체를 포함한 발생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도입된 계수로, 위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산정된 ’12년 특정수질유해물질 발생량을 배출시설별로 구분하고 총폐수발생량으로 나누어 1 m3 원폐수 발생량 당 함유되어있는 특정수질유해물질량(g)의 최근 4년간의 평균(mg/L)을 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E. S., Kim, B. R., and Kim, Y. M. (2012). Improvement of Wastewater Management for Indirect Discharging Industry, Publication No. 17-25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49-155. [Korean Literature] 

  2. Choi, J. Y. (2011). Impact Assessment of Extending New Permit System and Its Appropriate Management Scheme (fin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244-245. [Korean Literature] 

  3. Choi, Y. S. (2008). Guidelines for Improving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the 3rd year fin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pp. 76-207. [Korean Literature] 

  4. European Commission. (2006). Guidance Docu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uropean PRTR, pp. 18-48. http://prtr.ec.europa.eu/docs/EN_E-PRTR_fin.pdf 

  5. Korea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KSSC). (2012). http://kostat.go.kr/kssc. 

  6. Lee, S. (2009). Errors in the Hazardous Water Pollutant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Nakdong-River, Research Report No. 2008-001, Audit and Inspection Research Institute, pp. 25-30. [Korean Literature] 

  7. Mieno, T., Brozovic, N., and Mieno, T. (2012). Unraveling Deterrence Effects of Regulatory Activities Under Clean Water Act,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Association, United States, August 12-14, pp. 1-38. 

  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a). Operational Pla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480000-001223-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5-8. [Korean Literature] 

  9.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b). Production and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s (2011 survey results),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480000-00207-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1-12. [Korean Literature]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Manual of 2013 Nationwide Pollution Source Survey-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I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11. Nemerow, N. L. (1978). Industrial Water Pollution: Origin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MA. pp. 310-721. 

  12.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PRTR). (2012). http://ncis.nier.go.kr/prtr/. 

  13. The Europea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E-PRTR). (2014). http://prtr.ec.europa.eu 

  14.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2011). http://www.epa.gov/compliance/data/systems/icis/index.html. 

  15. Water Information System. (2012). http://water.nie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