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에 잔류된 농약의 작물로의 흡수 이행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boscalid 및 chlorfenapyr를 토양에 잔류시킨 후 엇갈이 배추로 흡수 이행 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엇갈이 배추 및 토양 중 두 농약의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회수율은 87.5~105.2% 범위 이내이었다. 토양 중 boscalid의 초기잔류량은 저농도 처리구에서 2.77 mg/kg, 고농도 처리구에서 5.66 mg/kg이었으며 28일 경과 후 잔류량은 각각 0.53 및 1.60 mg/kg으로 초기잔류량의 71.7~81.9%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chlorfenapyr의 초기잔류량은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각각 2.38 및 6.43 mg/kg으로 나타났으며, 28일 경과 후 각각 1.36 및 2.91 mg/kg으로 초기잔류량의 42.9~54.8%가 감소하였다. 엇갈이 배추시료는 파종 후 21일부터 28일까지 약 2일 간격으로 수확하여 잔류농약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농약의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엇갈이 배추로 흡수된 boscalid의 흡수량은 저농도 처리구에서 2.47 mg/kg으로 2.4%의 흡수율을 보였으며, 고농도 처리구에서 흡수량은 4.71 mg/kg으로 2.2%가 흡수되었다. 반면에 chlorfenapyr의 흡수량은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각각 1.36 및 2.63 mg/kg으로 나타나 1.5 및 1.3%를 흡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후작물로 흡수 이행되어 수확물에서의 잔류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ptake and transportation patterns of the residual boscalid and chlorfenapyr were investigated from the soils to Korean cabbages. The recovery rates of the pesticides spiked in the soils and Korean cabbages were 87.5 to 105.2%. Korean cabbages were cultivated in soils treated with two differ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설재배지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연작으로 재배되는 엇갈이 배추로 어느 정도 흡수 이행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시험농약으로는 잿빛곰팡이병과 흰 가루병 방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 boscalid 및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 방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 chlorfenapyr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의 부적합은 언제 발생하는가? , 2012). 농산물의 부적합은 해당 농산물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 검출되거나 살포된 농약이 해당 작물의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발생되며, 이러한 의도치 않은 부적합 농산물이 발생되는 요인 중 하나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후작물로 흡수 이행되어 후작물의 잔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Park et al., 2004; Paterson and Mackay, 1994).
엽경채류와 경작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에 대한 상관 관계를 조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엇갈이 배추의 재배특성 상 처음 재배할 때 살포된 농약이 토양 중에 잔류한 뒤 그 다음 재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엇갈이 배추를 포함한 엽경채류의 경우 토양 중 잔류 농약의 양 및 작물로의 흡수 양상을 조사하는 것은 농작물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작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의 잔류량에 따른 농작물의 재배 제한 및 농약 살포횟수 감소 등에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또한 궁극적으로 경작지의 작물 재배를 위한 잔류농약의 토양재배기준을 설정하는데도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엇갈이 배추의 특성은 무엇인가? 흡수 이행되는 정도는 작물의 특성과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과수 작물에 비하여 엽경채류의 경우 뿌리로 흡수 이행되면 바로 가식부에 해당하기 때문에 토양 중 잔류하는 농약의 특성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엽경채류 중 하나인 엇갈이 배추의 경우 작물과 작물 사이에 밭이 비는 짧은 기간을 이용하여 사이짓기로 재배 되며 일반적으로 시설 재배 시 3~4월에 파종하여 4월 중순에서 6월 초순에 수확하며 재배기간이 짧아 두 차례 나누어 파종 및 수확하는 연작으로 재배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엇갈이 배추의 재배특성 상 처음 재배할 때 살포된 농약이 토양 중에 잔류한 뒤 그 다음 재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J. W., Y. H. Jeon, J. I. Hwang, H. Y. Kim, J. H. Kim, D. H. Jeong and J. E. Kim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and risk assessment for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Kor. J. Environ. Agric. 31(2):164-169. 

  2. Collins C., M. Fryer and A. Grosso (2006) Plant Uptake of Non-Ionic Organic Chemicals. Environ. Sci. Technol. 40(1):45-52. 

  3. Fantke P. and R. Juraske (2013) Variability of Pesticide Dissipation Half-Lives in Plants. Environ. Sci. Technol. 47(8):3548-3562. 

  4. Garcia L., C. Bedos, S. Genermont, P. Benoit, E. Barriuso and P. Cellier (2014) Modeling Pesticide Volatilization: Testing the Additional Effect of Gaseous Adsorption on Soil Solid Surfaces. Environ. Sci. Technol. 48(9):4991-4998. 

  5. Hwang J. I., S. O. Jeon, S. H. Lee, S. E. Lee, J. H. Hur, K. R. Kim and J. E. Kim (2014) Distribution Patterns of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Chlorpyrifos Absorbed from Soil into Cucumber. Environ Kor. J. Pesti. Sci. 18(3):148-155. 

  6. Juraske R., C. S. M. Vivas, A. E. Velsquez, G. G. Santos, M. B. B. Moreno, J. D. Gomez, C. R. Binder, S. Hellweg and J. A. G. Dallos (2011) Pesticide Uptake in Potatoes: Model and Field Experiments. Environ. Sci. Technol., 45(2), 651-657. 

  7. Kim J. Y., S. M. Lee, H. J. Lee, M. I. Chang, N. S. Kang, N. S. Kim, H. J. Kim, Y. J. Cho, J. Y. Jeong, M. K. Kim and G. S. Rhee (2014)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for Circulated Agricultural Commodities in Korea-2013. J. Appl. Biol. Chem. 57(3):235-242. 

  8. Kim H. Y., Y. H. Jeon, J. I. Hwang, J. H. Kim, J. W. Ahn, D. H. Jeong and J. E. Kim (2011)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and risk assessment for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of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Kor. J. Environ. Agric. 30(4):440-445. 

  9.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orea, pp. 132, 668-669. 

  10. Park H. J., J. H. Choi, B. J. Park, C. S. Kim, Y. B. Ihm and G. H. Ryu (2004) Uptake of endosulfan and procymidone from arable soil by several vegetables I (green house study). Kor. J. Pesti. Sci. 8(4):20-287. 

  11. Lee J. H., H. W. Park, Y. S. Keum, C. H. Kwon, Y. D. Lee and J. H. Kim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 J. Pestic. Sci. 12(1):67-73. 

  12. Lee K. S. (2010) Behavior of Pesticides in Soil. Kor. J. Pestic. Sci. 14(3):303-317. 

  13. Lu M. X., W. W. Jiang, J. L, Wang, Q. Jian, Y. Shen, X. J. Liu and X. Y. Yu (2014) Persistence and Dissipation of Chlorpyrifos in Brassica Chinensis, Lettuce, Celery, Asparagus Lettuce, Eggplant, and Pepper in a Greenhouse. PLoS ONE 9(6): doi:10.1371/journal.pone.0100556. 

  14. Macbean C. (2012) The pesticide manual, 16th ed.;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Alton, Hampshire, UK, pp. 122-123, 176-177. 

  15. Marin A., J. Oliva, C. Garcia, S. N. Navarro AND A. Barab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51:4708-4711.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oil Environment Protection Law enforcement regula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a)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2012, Ministry Food and Drug Safety: Korea.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b) MRLs for Pesticides in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244-245.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Korean Food Standards Codex Pesticide Analytical Manual 4th e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92-105, 287-293. 

  20. Park B. J., J. H. Lee (2011) Worker Exposure and Volatilization Pattern of Cadusafos, Ethoprophos and Probenazole after Applying Granular Type Formulation on Soil in Greenhouse. Korean J Environ Agric. 30(2):160-165. 

  21. Paterson S. and D. Mackay (1994) A Model of Organic Chemical Uptake by Plants from Soil and the Atmosphere. Environ. Sci. Technol. 28:2259-2266.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Analytical method for soil and plant; Ihm, J.N.; Sam Mi: Suwon, Republic of Korea, pp. 103-1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