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위해지수를 이용한 5종 과일 중 잔류농약 안전성평가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Five Fruits by Dietary Risk Index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8 no.4, 2014년, pp.336 - 341  

이제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수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권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유아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순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양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일 중 농약의 잔류특성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에 대한 농약잔류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의 검출량과 위해성지수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는 2-5지역의 주산단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시료 중 잔류농약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과의 경우 acetamiprid 등 18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총 위해지수가 0.55로 위해우려 수준은 아니었으나 조사한 과일 중 가장 높았다. 감귤의 경우는 carbendazim 등 17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위해지수는 0.37이었다. 복숭아, 포도 및 배는 각각 12, 10, 8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위해지수는 0.066, 0.025, 0.008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 중의 잔류농약에 의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fruits and their effects on human health,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were conducted in apples, peaches, pears, grapes and citrus from the major cultivation areas in 2010. Safeties of the pesticides detected from the frui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RI는 미국의 유기농 센터에서 미국농무성(USDA)의 농약 모니터링 사업인 pesticide data program (PDP)의 결과를 이용하여 산출한 식품 중 농약잔류량을 이용한 위해성을 정량화한 수치로 실제적인 위해성평가보다는 상당히 과대평가된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US/EPA, 2006) 위해성경감을 위한 안전성 경향파악에는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주요작물을 대상으로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및 감귤에 대한 성적을 이용하여 소비자 위해성지수를 산출하고 국내에서 재배 생산되는 과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는 병해충잡초는? 우리나라는 대륙성기후로 농작물이 재배되는 여름은 고온다습하여 병해충 발생이 많아 농산물의 정상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농약을 사용하여야한다. 또한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는 병해충잡초는 8,000종 이상으로 이 중 방제대상 병해충잡초도 300종 이상이나 된다. 이와 같이 작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농약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나 대부분의 농약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독성을 가지고 있어 인체나 환경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이아지논과 파리티온의 기능은? 식품의 광범위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은 신선과일과 채소가 농약 노출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Benbrook, 2011). 다이아지논과 파리티온은 간세포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adenyl cyclase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beta-adrenergic receptor, glucagon receptor, G-protein 등의 활성을 촉진하였다(Adigun 등, 2010). 뉴 사이언스는 지난 5년간 농약 노출과 유아와 어린이의 발달학적 문제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신경계(Rauh 등, 2011; Engel 등, 2011; Bouchard 등, 2011; Marks 등, 2010), 생식 문제(Christiansen 등, 2009), 천식(Hernandez 등, 2011)과 과체중 유발 가능성 (Adigun 등, 2010), 당뇨병(Lim 등, 2009) 등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농약의 안전관리인 사전 및 사후관리는 무엇을 평가하는가? 농약의 안전관리는 사전 및 사후관리로 나누어진다. 사전 관리인 농약등록과 관련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화학성, 생물활성, 작물잔류, 환경잔류, 사람이나 가축 뿐 만아니라 각종 환경생물에 대한 독성 등에 대해서도 평가를 수행해야 하고 노출량을 고려하여 작업자나 소비자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사후관리는 주로 농약사용실태조사와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평가한다. 사전 및 사후안전관리를 위한 소비자에 대한 일반적인 위해성평가는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과 비교하는 것과 노출량을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이나 급성독성참고치(acute reference dose, ARfD)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방법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digun, A. A., N. Wrench, F. J. Seidler and T. A. Slotkin (2010) Neonatal Organophosphate Pesticide Exposure Alters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ell-Signaling Cascades Controlling Metabolism: Differential Effects of Diazinon and Parath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8: 210-215. 

  2. Benbrook, C. and D. R. Davis. (2011) Identifying Smart Food Choices on the Path to Healthier Diets: Documentation and Applications of TOC-NQI, Version 1.1. The Organic Center, Boulder, CO., access at: www.organic-center.org/TOC-NQI. 

  3. Bouchard, M. F., J. Chevier, K. G. Harley, K. Kogut, M. Vedar, N. Calderon, C. Trujill, C. Johnson, A. Bradman, D. B. Barr and B. Eskenazi (2011) Prenatal Exposure to Organophosphate Pesticides and IQ in 7-Year-Old Childre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9:1189-1195. 

  4. Christiansen, S., M. Scholze, M. Dalgaard, A. M. Vinggaard, M. Axelstad, A. Kortenkamp and U. Hass (2009) Synergistic Disruption of External Male Sex Organ Development by a Mixture of Four Antiandrogen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7(12):1839-1846. 

  5. Engel, S. M., J. Wetmur, J. Chen, C. Zhu, D. B. Barr, R. L. Canfield and M. S. Wolff (2011) Prenatal Exposure to Organophosphates, Paraoxonase 1,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hood.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9:1182-1188. 

  6. Hernandez, A. F., T. Parron and R. Alarcon (2011) Pesticides and Asthma. Current Opinion in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1:90-96. 

  7. Lim, S. S. Y. Ahn, I. C. Song, M. H. Chung, H. C. Jang, K. S. Park, K. U. Lee, Y. K. Pak and H. K. Lee (2009) Chronic Exposure to the Herbicide, Atrazine, Cause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PlosOne. 4(4):1-11. 

  8. Marks, A. R., K. Harley, A. Broadman, K. Kogut, D. B. Barr, C. Johnson, N. Calderon and B. Eskenazi (2010) Organophosphate pesticide exposure and attention in young Mexican-American children: the CHAMACOS Stud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8:1768-1774. 

  9. Rauh, V., S. Arunajadai, M. Horton, F. Perera, L. Hoepner, D. B. Barr and R. Whyatt (2011) Seven-Year Neurodevelopmental Scores and Prenatal Exposure to Chlorpyrifos, a Common Agricultural pesticide.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9:1196-1201. 

  10. US/EPA (2006) Supplemental report, details on dietary risk data in support of Report No. 2006-P-00028, "measuring the impact of the Food Quality Protection Ac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11. Kwon, H. Y., C. S. Kim, B. J. Park, Y. D. Jin, K. A. Son, S. M. Hong, J. B. Lee and G. J. Im (2011) Multiresidue Analysis of 240 Pesticides in Apple and Lettuce by QuEChERS Sample Preparation and HPLC-MS/MS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4):417-433. 

  12. MIFAFF (2011)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assurance of agri-food safety. 

  13. RDA (2012) RDA notices No. 2012-37. Pesticide management act and notices.directiv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