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지층에 대한 개념 연구
The Study on the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Stratum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607 - 619  

김덕호 (제주중앙초등학교) ,  홍승호 (제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cept understanding on the strat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objective, questions on the stratum concept were developed, and concept survey was conducted for random sampling of $5^{th}$ and $6^{th}$ gr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의 오개념을 거주지, 학년, 성별에 따라 비교한 근거는 구성주의적 견해에 의하면, 아동들은 어릴 때부터 그들의 환경에 대해서 개인적 이론 또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므로, 환경은 그들의 사고의 기원이 될 수 있고,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학교 환경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학년에 따라 학습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망각 정도의 차이 및 성별에 따른 관심 분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지층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총 536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념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지층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57.
  • 위에서 제시한 것처럼 지층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으나, 초등학생의 지층 개념에 대해서 세밀하게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검사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교육과정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지층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거주지, 학년 그리고 성별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오개념을 거주지, 학년, 성별에 따라 비교한 근거는 구성주의적 견해에 의하면, 아동들은 어릴 때부터 그들의 환경에 대해서 개인적 이론 또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므로, 환경은 그들의 사고의 기원이 될 수 있고,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학교 환경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둘째, 거주지, 학년 그리고 성별 간 지층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들의 지층과 관련된 전체 16개 문항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초등학생들의 지층과 관련된 전체 16개 문항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57.4%로 나타났다. 12번 ‘지층에서 보이지 않는 면과 보이는 면의 차이’에 대한 문항이 가장 낮은 정답율(19.
선개념이란? 학습자가 수업을 받기 이전부터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하여 이미 형성된 개념을 선개념이라고 하며, 이러한 선개념 중 비과학적인 개념을 오개념이 라고 한다. 과학교육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오개념이 매우 확고하기 때문에 쉽게 변화되지 않으며 (Gilbert et al.
학습이란 어떤 활동이며 초등학교 교육에서 어떤 것인가? 구성주의 관점에 따르면 학생들은 일상생활로부터 얻은 경험을 토대로 자연현상에 대하여 나름대로 개념을 형성하므로, 학습이란 이미 형성된 개념과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능동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능동적인 활동은 초등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Chae, 2004). Driver(1985)는 학습 개념변화의 과정은 학생들의 선개념과 새로운 경험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능동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 가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J. (2007). The effects of applying field study on formation of 'STRATA'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Chae, D. (2004). The chang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s of the solar system based upon their exposure to the Earth motion centric solar syste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886-901. 

  3. Cho, H. (1984). A study of philosophical basis of preconcep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misconceptions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 34-43. 

  4. Driver, R.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Minton Keynes: Open Univ. Press. 

  5. Duit, R. (1999). Conceptual change approaches in science education. In W. Schnotz, S. Vosniadou &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pp. 263-282). Oxford, UK: Elsevier Science. 

  6. Gilbert, J. K., Watts, D. M. & Osborne, R. J. (1985). Eliciting student views using an interview about instances technique, in "Cognitive structure and conceptual change." (ed. by West, L. H. T and Pines, A. L.), London: Academic Press, 11-26. 

  7. Han, S., Kang, S. & No, T. (201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cience topic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74-483. 

  8. Hong, S. & Ko, H. (2009).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organs of the pla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0(3), 195-213. 

  9. Jeong, I. (2000). An investigation on the scientific conceptio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Jeong, J. & Park, J. (2009).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pparatus for learning geological strata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es in Curriculum Education, 13(3), 585-609. 

  11. Kim, H. (2003).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conception of diastrophism.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Kim, I. (2000). Surveys of students' interests in science cont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leve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3. Kim, J. (2001). Stratum concepts of elementary students investigated from an inquiry activity in the field of sedimentary rocks. The Research of Science Mathematics Education, 24, 147-164. 

  14. Kim, Y. (2007).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eaching middle school geology using resourc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15. Lee, G. & Gwon, J. (1999). Students' responses confronted with discrepant situation patterns about inertia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4), 516-527. 

  1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ext book, experiment and observation, teacher's guidebook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4-1, 4-2. Kumsung Publishing Co. 

  17. Na, J., Jeong, M. & Gyeong, J. (2005).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changes on the geological stratum by cognitive conflict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8), 777-789. 

  18.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93-108. 

  19. Oh, C. (1993). A study on the content organization of curriculum of the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 Osborne, R. J. & Bell, B. F. (1983). Science teaching and children's views of the worl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1), 1-14. 

  21. Seo, D. (2004). An analysis of observations and hypothe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dimentary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field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86-594. 

  22. Seong, T. (2003). The effect of the field works of the layer and fossil units for 4th grade students upon formation of science concept and science attitud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Seong, Y. (2013).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based instruction on concept learning and the level of interests for elementary stud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4. Son, C. (1993). Analysis of content for the primary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 Journal of Thesis in Science Education, 3(1), 388-389. 

  25. Song, H. (2002). Understanding and interes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trata and fossil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