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탐색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on Energ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3, 2019년, pp.284 - 299  

임수민 (경북대학교) ,  윤회정 (춘천교육대학교) ,  방담이 (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주제인 '에너지와 생활'에서 다루는 에너지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와 관련된 연상개념, 에너지 형태에 대한 인식, 에너지 전환, 동식물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92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결과를 서술통계, 클라우드,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에너지 관련 연상개념에 대해서는 전기, 에너지 형태에 대해서는 전기에너지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에너지 개념과 과학적인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환의 이해는 개념 발달의 위계에 따라 에너지 형태에 대한 인식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동식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식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개념 구조가 갖추어져 있었으나 개념의 오류 및 결손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통합주제인 '에너지와 생활'의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energy represented in the integrated theme 'Energy and lif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instruments were developed to grasp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s of energy,' 'form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시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관련 개념을 파악하여 새롭게 제시되는 통합주제 단원의 지도에도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단원 ‘에너지와 생활’에서는 에너지의 형태와 전환을 학습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발달 단계와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에너지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검사지는 총 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에너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에 새롭게 도입된 통합주제인 ‘에너지와 생활’ 단원과 관련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에너지 개념을 일상적 맥락으로부터 분리하여 과학적인 개념으로 정교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 개념의 복잡한 구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개념 클라우드 분석(word cloud analysis)과 언어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념 클라우드 분석은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념의 빈도수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분석기법으로 학생들의 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한눈에 확인하기 용이하며,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은 개념을 점(node)으로 그들 간의 관계를 선(link)로 나타내어 이를 네트워크로 나타냄으로써 개념의 복잡한 연결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도록 해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ook, A., & Driver, R. (1986). Children' learning in science project, Energy. Full Report. Centre for Stud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University of London. 

  2. Capa, Y., Yildirim, A., & Ozden, M. Y. (2001). An analysis of students' misconceptions concerning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plants. Paper presented at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onference. St Louis, USA. 

  3. Cho, H., Kim., H., Yoon, H., Lee, K., & Ha, M. (2018). Science Education. Gyeonggi, Korea: Kyoyookbook. 

  4. Chung, H., Park, H., Lim, Y., & Kim, J. (2005).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of the terms and the inquiry about the photosynthesi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Biology Education, 33(2), 196-208. 

  5. Cosgrove, M. M., & Forret, A. M. (1992). Hands and brains-technology contexts for learning. Hamilton, New Zealand: Walkato Education Center. 

  6.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7. Driver R., & Millar, R. (Eds.). (1986). Energy matters : Proceedings of an invited conference: Teaching about energy within the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Leeds: University of Leeds, Centre for Stud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8. Duit, R. (1981). Understanding energy as a conserved quantit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291-301. 

  9. Duit, R. (1984). Learning the energy concept in school-empirical results from The Philippines and West Germany, The Institute of Physics, 19(2), 59-66. 

  10. Hecht, E. (2007). Energy and change. The Physics Teacher, 45, 88-92. 

  11. Kim, H. (2007). A study on the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 on ener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2. Kim, H. (2016).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s to animals and plants. Biology Education, 44(1), 127-145. 

  13. Kim, J., Bang, D., & Yoon, H. (2017). An analysis of relation among concepts about Energy as a integrated theme: Focused on the types of energy, energy related phenomenon, energy transfer and convers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4), 1031-1051. 

  14. Kim, Y., Kang, N. H., Kang, H., Maeng, S., & Lee, J. K. (2016). Item response analysis of energy as a cross-cutting concept for grades 3 to 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815-833. 

  15. Kim, Y., Park, I., & Lim, S. (2018). Network structure between concepts of units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8), 29-49. 

  16. Kwon, S. (2017). Reconstructing for distributing energy programmes for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Korean Society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7(2), 143-149. 

  17. Lancor, R. A. (2014). Using studentgenerated analogies to investigate conceptions of energy: A multidisciplina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1-23. 

  18. Lee, H. S., & Liu, O. L. (2009). Assessing learning progression of energy concepts across middle school grades: The knowledge integration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94(4), 665-688. 

  19. Lee, J., Shin, S., & Ha, M. (2015). Comparing th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science and bi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97-1006. 

  20. Lee, S.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21. Lee, S., An, W., & Lim, J. (2014). Analysis study of conceptual diagram of energy climate change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 Society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4(2), 161-167. 

  22. Lee, Y., Yoon, H., Song, J. Y., & Bang, D. (2014).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of Singapore, Canada and US focused on the integrated concep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21-32. 

  23. Lijnse, P. (1990). Energy between the life-world of pupils and the world of physics. Science Education, 74, 571-583. 

  24. Lim, S., & Kim, Y. (2015). An analysis of articulation in life science revision 2009 curriculum with semantic network analysis. Biology Education, 43(1), 84-96. 

  25. Liu, X., & McKeough, A. (2005). Developmental growth in students' concept of energy: Analysis of selected items from the TIMSS databa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493-517. 

  26. Millar, R. (2014). Towards a research-informed teaching sequence for energy. In Teaching and Learning of Energy in K-12 Education (pp. 187-206). New York, N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Education Curriculum]. Sejong, Korea: Author. Retrieved from https://ncic.go.kr 

  28. Neumann, K., Viering, T., Boone, W. J., & Fischer, H. E. (2013). Towards a learning progression of ener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2), 162-188 

  29. Park, C. (2017). Big data analysis on the demand for the Nuri Curriculum policies based on word cloud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7(3), 73-91. 

  30. Park, S., Jhun, Y., & Lee, C. (2015). Inquiry on the change of energy concept through the learning in school. The Korea Society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5(1), 1-7. 

  31. Solomon, J. (1983). Learning about energy: How pupils think in two domain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1), 49-59. 

  32. Stylianidou, F., Ormerod, F., & Ogborn, J. (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s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57-283. 

  33. Yoo, P., & So, H. (2000). A survey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 concerning energ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NU, 25, 267-294. 

  34. Yoon, H., & Cheong, Y. (2017). Comparison of the science curricula of Korea,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Singapore: Focus on the concept of ener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5), 799-8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