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률모수를 이용한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 지방부 다차로 도로를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Estimation Model by Random Parameter Negative Binomial Model: Focus on Multilane Rural Highwa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6, 2014년, pp.662 - 674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준기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  김정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녹색교통물류시스템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8개 권역(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에 4차로 이상도로(다차로 도로)구간 약 780km(4,372개구간)의 기하구조, 안전시설물, 교통량 및 기상, 토지이용, 도로설계기준 만족여부 등의 변수를 수집하여 사고건수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은 고정모수 모형(fixed parameter model)과 확률모수 모형(random parameter model)을 사용하였다. 확률 모수 음이항 모형의 경우에 계수가 고정된 것이 아닌 특정확률을 가지고 범위로 표현함으로써 부호가 반대가 되는 경우도 일부 나타났다. 고정모수의 음이항 모형은 독립변수가 사고건수에 미치는 영향을 모든 구간에서 하나의 계수로 해석할 수 밖에 없었으나, 확률모수를 이용한 음이항 모형에서는 더욱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특히, 곡선반경, 길 어깨 확보유무, 종단경사 설계기준 만족유무는 특정확률을 가지고 양의영향과 음의영향이 모두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구간에서 일률적으로 사고건수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일부구간에서는 운전자의 행동특성, 도로구간의 특성에 따라서 반대의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s were constructed by collecting variables such as geometric structures, safety facilities, traffic volume and weather conditions, land use, highway design-satisfaction criteria along 780km (4,372 sections) of 4 lane-highways over 8 areas. As for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해당구간 도로에 인접한(반경200m내에) 학교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학교는 초등학교수(eschool), 중학교수(mschool), 고등학교수(hschool), 대학교수 (univer)를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국도, 국지도 4차로 이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교통사고예측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기존에 주로 국내외에서 사용하는 포아송 및 음이항 모형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인 확률모수를 이용한 음이항 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을 정립하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확률모수를 이용한 음이항 모형이 고정모수의 음이항 모형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최근 국외에서 사고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와 사고수정계수(Crash Modification Factor, CMF)를 개발하여 위험도로구간을 판단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확률모수 모형을 국내 4차로이상 도로에 적용하여 보고, 기존의 고정모수 음이항 모형과 비교·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SHTO (2010), Highway Safety Manual 1st Edition. 

  2. Anastasopoulos P. Ch., Mannering F. L. (2009), A Note on Modeling Vehicle Accident Frequencies with Randomparameters Count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1, 153-159. 

  3. Bhat C. R. (2003), Simulation Estimation of Mixed Discrete Choice Models Using Randomized and Scrambled Halton Sequenc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7(1), 837-855. 

  4. Cafiso S., Graziano Di A., Silvestro Di G., Cava La G., Persaud B. (2010),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ccident Models for Two-lane Rural Highways Using Exposure, Geometry, Consistency and Context Variabl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2, 1072-1079. 

  5. Carson J., Mannering F. (2001), The Effect of Ice Warning Signs on Ice-accident Frequencies and Severit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3(1), 99-109. 

  6. Chen E., Tarko A. P. (2014), Modeling Safety of Highway Work Zones with Random Parameters and Random Effects Models, Analytic Methods in Accident Research, 1, 86-95. 

  7. Dinu R. R., Veeraragavan A. (2011), Random Parameter Models for Accident Prediction on Two-lane Undivided Highways in India, Journal of Safety Research, 42, 39-42. 

  8. El-Basyouny K., Sayed T. (2006), Comparison of Two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Techniques in Develop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50, 9-16. 

  9. Gustavsson J., Svensson A. (1976), A Poisson Regression Model Applied to Classes of Road Accidents with Small Frequencies, Scandinacian Jounal of Statistics 3, (2), 49-60. 

  10. Kim D. G., Washington S. (2006), The Significance of Endogeneity Problems in Crash Models: An Examination of Left-turn Lanes in Intersection Crash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8(6), 1094-1100. 

  11. Kim D. H., Lee D. M. (2011), An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by Driving Condition Improve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18(1), 15-26. 

  12. Kim E. C., Choi E. J., Lee D. M., Kim D. H.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of Two-Lane Rural Roadway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28(3), 131-143. 

  13. Kim Y. R., Kim D. G. (2012), Identifying the Safety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Fatal Crashes Occurred on Rural Roadway Seg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19(1), 57-66. 

  14. Li X., Lord D., Zhang Y. (2009), Development of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for Rural Frontage Road Segments in Texas Using Results From Generalized Additive Models, Working Paper, Zachry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15. Lord D., Washington S., Ivan J. (2007), Further Notes on the Application of Zero Inflated Models in Highway Safety,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1), 53-57. 

  16. Miaou S.-P., Lord D. (2003), Modeling Traffic Crash-flow Relationships for Intersections: Dispersion Parameter, Functional Form, and Bayes Versus Empirical Bay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31-40. 

  17. Milton J. C., Shankar V. N., Mannering F. L. (2008), Highway Accident Severities and the Mixed Logit Model: An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0(1), 260-266. 

  18. Ogden K. W. (1997), The Effects of Paved Shoulders on Accidents on Rural Highway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9(3), 353-362. 

  19. Oh J. (2006), Development of Severity Models for Vehicle Accident Injuries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Inrural Area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0(3), 219-225. 

  20. Oh J. T., Kim D. H., Lee D. M. (2012), Development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Models for Rural Highway Segments,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4(2), 131-143. 

  21. Park E.-S., Carlson P., Porter R., Anderson C. (2012), Safety Effects of Wider Edge Lines on Rural, Twolane Highway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8, 317-325. 

  22. Park G. Y. (2006), Evaluation of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eatures and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for Accident Reduction Factors, University of Seoul. 

  23. Park J. T., Choi B. B., Lee S. B.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28(5), 155-162. 

  24. Park M. H. (2013), Relationship Between Interstate Highway Accidents and Heterogeneous Geometrics by Random Parameter Negative Binomial Model -A Case of Interstate Highway in Washington State-, U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6), 2437-2445. 

  25. Poch M., Mannering F. (1996), Negative Binomial Analysis of Intersection-accident Frequencie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2(2), 105-113. 

  26. Qin X., Ivan J., Ravishankar N. (2004), Selecting Exposure Measures in Crash Rate Prediction for Two-lane Highway Segm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2), 183-191. 

  27. Shankar V., Mannering F., Barfield W. (1995), Effect of Roadway Geometr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Rural Accident Frequenc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7(3), 371-389. 

  28. Shankar V., Ulfarsson G., Pendyala R., Nebergall M. (2003), Modeling Crashes Involving Pedestrians and Motorized Traffic, Safety Science, 41(7), 627-640. 

  29. Venkataraman N. S., Ulfarsson G. F., Shankar V., Oh J., Park M. (2011), Model of Relationship Between Interstate Crash Occurrence and Geometrics: Exploratory Insights from Random Parameter Negative Binomial Approach, 2011 Safety Data, Analysis, and Evaluation 2011, 2236, 41-48. 

  30. Vogt A., Bared J. (1998), Accident Models for Two-lane Rural Segments an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35, 18-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