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지역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과 인식 및 노인 의치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안동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cuperation Nurses' Oral Health Knowledge and Perceptions, and Senile Denture Management Behavior in Andong Cit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4, 2014년, pp.69 - 80  

김영희 (경북대학교 보건학과) ,  이승희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윤현경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peration nurses' oral health knowledge and perceptions and senile denture management behavior. For this study, 198 recuperation nurses who work in recuperation facilities for elderly patients i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are surveyed. The data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을 확대하고 구강보건지식과 인식 문항 수를 늘려 조사문항을 확대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많이 보고되었지만, 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지식 및 인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시설 종사자들 중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과 인식을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안동시 관내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인식, 노인의치 관리 행동을 파악하여 요양기관의 노인의 구강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요양보호사와 요양기관 노인들의 구강보건 건강 증진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과 인식 및 노인 의치관리 행동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인식을 높여 입소노인 의치관리 및 구강보건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인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65-75세 노인의 의치 의존율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65-75세 노인 중 20개 이상의 치아보유율이 49.8%에 불과하고, 자연치아수는 17.2개이며, 의치장착률은 38.5%, 의치필요자율은 40.2%로 노인 대부분이 의치 의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 의치는 의치관리의 행태에 따라 저작 능력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구강문제가 생길 경우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그러므로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은 구강문제 발생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노인의 구강문제는 저작능력 감소를 야기 시켜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의 선택범위가 좁아지고 식사의 양과 질 역시 저하됨으로써 건강과 체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7]. 이처럼 노인의 구강 문제는 전반적인 건강 및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구강건강은 전신건강을 위해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8].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구강문제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형태를 보면 인지기능 및 이동능력 부족, 손의 움직임 저하 등 독립적으로 구강건강를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으로 구강문제발생 고 위험군에 속한다[4]. Peltola et al.[5]은 입소 노인들은 여러 약물의 복용과 관련된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고 지적하였고, Kim et al.[6]은 자가거주노인보다 시설거주노인은 구강건강상 취약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은 구강문제 발생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G. Hur, T.Y. Lee, J.K. Dong, S.H. Hong(2010),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ol.48(2);101-110. 

  2. Y.R. Chin, H.Y. Lee(2013),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strument for education services quality in learning facilities for care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33-47.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3), Webpage of long-term care insurance, Vol.35,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alim/longtermcare/201307/html/page/main.html 

  4. J.N. Vanobbergen, L.M. De Visschere(2005), Factors contributing to the variation in oral hygiene practices and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Community Dent Health, Vol.22(4);260-265. 

  5. P. Peltola, M.M Vehkalahti, R. Simoila(2007), Effects of 11-month interventions on oral cleanliness among the long-term hospitalised elderly, Gerodontology, Vol.24(1);14-21. 

  6. S.H. Kim, J.A. Jung, B.J. Lee, D.K. Kim(2007), Comparison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people lived in nursing home with private hom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1(3);366-375. 

  7. J.H. Park, H.K. Kwon, B.I. Kim, C.H. Choi, Y.H Choi(2002),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sy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6(4);555-566. 

  8. J.B. Kim, Y.J. Chol(1999), Puble health, pp.35-48. 

  9. M.S. Park, S.M. Choi(2011),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ing, Vol.41(5);684-693.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2009), Guidelines aged care facility service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p.15-25. 

  11. M.S. Park(2010),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2(1);72-80.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0),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0 summary III.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502. 

  13. V. Dormenal, P. Mojon, E. Budtz-Joergensen(1999), Associations between self-assessed masticatory ability, nutritional status, prosthetic status and salivary flow rate in hospitalized elders, Oral Diseases, Vol.5(1);32-38. 

  14. S.S. Park, S.H. Park(2010), A study on recognition of dental health care in caregiver,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4(1);1-9. 

  15. N.I. Cho, S.Y. Park, H.S. Lee, H.W. Oh(2013),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7(1);16-24. 

  16. H.S. Mo, K.B. Choi, J.S. Kim(2008),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Predictors in Nursing Staff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5(4);428-437. 

  17. H. Thean, M.L. Wong, H. Koh(2007), The dental awareness of nursing home staff in Singapore-a pilot study, Gerodontology, Vol.24(1);58-63. 

  18. K.E. Kim(2000), A study of students' knowledge level of dental health Car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egu Haany University, pp.44-46. 

  19. Y.M. Moon(2012),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related to caregivers of elderly care facility,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pp.17-33. 

  20. M.J. Kim(2012),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practice perceived by workers in part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2(1);210-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