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치매환자에 대한 구강관리실태 및 노인 구강보건지식
Oral care status and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ith regard to patients with dementia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1, 2019년, pp.79 - 91  

이경희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윤영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정은서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oral hygiene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dementia by understanding the oral care status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ith regard to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 For about two month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치매 환자의">치매환자의 구강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을 대상으로 치매환자에 대한 구강관리실태노인 구강보건지식을 파악하여 치매환자를 위한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수도권에 위치한 노인장기요양시설과 노인전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따라서 요양시설에서 치매환자를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을 대상으로 치매환자의 구강관리실태노인 구강보건지식을 파악하고,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의 치매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인적 자원이다[11]. 이에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구강관리실태노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치매는 뇌의 진행성 또는 만성 질병에 의해 발생되는 증후군으로, 정상적인 지적능력을 가진 사람이 후천적으로 지적능력을 상실하는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이다[1]. 또한 치매는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장애를 포함한 판단력, 언어기능, 학습능력, 시공간능력, 계산력, 실행기능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질병이 진행되면서 우울, 불안, 무감동, 수면장애, 행동장애, 인격의 변화, 환각, 망상 등의 다른 행동 심리증상을 동반한다[2,3]. 결과적으로 자발적인 일상생활에 장애가 초래되고[4],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돌보는 부양가족에게도 정신적, 신체적인 부담을 주게 되므로 이들을 위한 사회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2,5].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뇌의 진행성 또는 만성 질병에 의해 발생되는 증후군으로, 정상적인 지적능력을 가진 사람이 후천적으로 지적능력을 상실하는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이다[1]. 또한 치매는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장애를 포함한 판단력, 언어기능, 학습능력, 시공간능력, 계산력, 실행기능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질병이 진행되면서 우울, 불안, 무감동, 수면장애, 행동장애, 인격의 변화, 환각, 망상 등의 다른 행동 심리증상을 동반한다[2,3].
국내에서 노인장기요양시설 및 노인전문요양병원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와 가족의 규모나 자녀수의 감소로 인해 가족의 부양만으로 치매노인을 돌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6]. 치매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여 24시간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요하는 질병으로 다른 질병을 가진 노인들에 비해 부양가족에게 더 큰 부담을 주게 되고, 결과적으로 치매노인이 전문요양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7,8]. 이로 인해 노인장기요양시설 및 노인전문요양병원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치매환자를 전문적으로 수발하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 종사자 수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oon KA, Cho JY, Sohn 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amily quality of life in dementia(FQOL-D) scale for Korean sam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2016;36(1):206-32. https://doi.org/10.15709/hswr.2016.36.01.206 

  2. Goh SJ, Kim HS. Health status, service need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ciaries with and without dementia.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17;23(4):105-25. 

  3. Kong EH, Cho EH, Song MS.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J Gerontol Soc 2009;29(2):701-16. 

  4. Yoo MS, Kim YS, Kim KS. A study abou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rden and coping ability for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J Gerontol Soc 2010;30(4):1117-27. 

  5. Park SW, Kwak JY. The effects of symptoms of dementia elderly on th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Family Relations 2016;21(3):3-23. https://doi.org/10.21321/jfr.2016.21.03.3 

  6. Lee SA, Kim HS. Effects of a dementia family education program for dementia recognition, burden, and depression in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7;26(1):14-23.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01.14 

  7. Go HB, Kim MG, Kim JY, Kim HS, Park YS, Seo S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in some elderly in Daejeon. J Dent Hyg Sci 2016;16(6):481-7. https://doi.org/10.17135/jdhs.2016.16.06.481 

  8. Song EJ, Jo HK. Effects of 'happy plus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ia on sleep, depression,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23(2):49-59.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02.49 

  9. Joen HS, Han SY, Chung WG, Choi J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status on oral health care of geriatric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Dent Hyg Sci 2015;15(5):569-76. https://doi.org/10.17135/jdhs.2015.15.05.569 

  10. Choi SE, Han MA, Park J, Ryu SY.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and related factors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care hospital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5):791-803.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5.791 

  11. Kim KM, Park YN, Lee MK, Lee JH, Yoon HS, Jin HJ, et al.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n oral care and elder oral hygiene care of the nursing home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5):723-30.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723 

  12. Lim HJ, Cho HA.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caregivers on oral health management of elderly in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7;18(3):55-68. 

  13. Kim KW, Yoon HJ, Kim MR, Lee HK, Lee KS.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10;35(1):13-20. 

  14. Kim GH, Kwon YS. A study on oral health percept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atients in a geriatric hospital. J Korean Soc Dent Hyg 2016;16(3):363-71.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63 

  15. Kim GU, Kim JH.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the geriatric oral health. J Korean Cont Soc 2015;6(6):9-15. https://doi.org/10.15207/JKCS.2015.06.06.9 

  16. Kim MY, Kang KH. Status of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care workers in accordance with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J Korean Cont Soc 2016;7(6):161-6. https://doi.org/10.15207/JKCS.2016.07.06.161 

  17. Kim YH, Lee SH, Yun HK. A study on recuperation nurses' oral health knowledge and perceptions, and senile denture management behavior in Andong city. Korean J Heal Serv Manag 2014;8(4):69-80. https://doi.org/10.12811/kshsm.2014.08.04.69 

  18. Jang SH.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management of certified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Doctoral dissertation]. Iksan: Univ. of Wonkwang,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