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벌개미취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koraiensis Naka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74 - 79  

신언환 (울산과학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생물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벌개미취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벌개미취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72.15%, 조단백질 13.49%, 조지방 5.09% 및 조회분 9.27%였고 벌개미취 100 g의 함유 열량은 349.70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49.79%이었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고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4.6 g, 5.5 g이었으며, 무기질 중 인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칼슘, 나트륨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은 벌개미취 열수 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7.7{\pm}5.01$$112.4{\pm}3.41$ mg GAE/g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벌개미취 열수 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6.6{\pm}3.71$$95.1{\pm}8.00$ mg RE/g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은 8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벌개미취 추출물들에 함유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조성 및 함량의 차이가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ster koraiensis Nakai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the general and antioxidative contents of A. koraiensis were measured. Total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72.15%, 13.49%, 5.0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알려진 벌개미취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벌개미취 뿌리의 분획물이 항암, 항균, 항진균 활성(13)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으로 벌개미취에 대한 함유 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벌개미취에 대하여 기능성 검토와 이용개발을 위하여 일반성분 분석, 아미노산,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 생리활성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함으로써 벌개미취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벌개미취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벌개미취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7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개미취는 무엇인가?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며 Gymnaster koraiensis라고도 한다.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며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벌개미취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며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벌개미취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벌개미취 뿌리의 분획물이 항암, 항균, 항진균 활성(13)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으로 벌개미취에 대한 함유 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벌개미취에 대하여 기능성 검토와 이용개발을 위하여 일반성분 분석, 아미노산,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 생리활성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함으로써 벌개미취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벌개미취의 어린 순은 어디에 사용하는가?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며 Gymnaster koraiensis라고도 한다.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며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벌개미취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벌개미취 뿌리의 분획물이 항암, 항균, 항진균 활성(13)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으로 벌개미취에 대한 함유 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shan N, Kovsan J, Kachko I, Ovadia H, Rudich A. 2009.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of insulin signaling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Physiol Rev 89: 21-71. 

  2.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Ha JU, Lee SC. 2001.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6-1032. 

  3.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49. 

  4.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472. 

  5. Han HK, Lim SJ. 1998. Effect of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Commelina ommuris on blood glucose level and energy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Soc Food Sci 14: 577-583. 

  6. Hong JS, Kim YH, Lee KR, Kim MK, Cho CI, Park KH, Choi YH, Lee JB 1998. Composition of organic aci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00-106. 

  7.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8. Park SH, Han J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serum lipid level, dietary behavior and health index in healthy women. J Nutr 36: 49-63. 

  9. Choi MS, Do DH, Choi D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t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 Food & Nutr 15: 165-172. 

  10. Cha WS, Kim CK, Kim JS. 2002.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beverages using Citrus reticulata, Ostrea giga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503-507. 

  11.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12. Han H, Song YJ, Park S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aorta relaxation. Korean J Ori Physiol Pathol 18: 1078-1082. 

  13. Jung HJ. 1999.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ymnaster koraiensis (Nakai) Kitamur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1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Standard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01-301. 

  1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45, p 70. 

  17.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 In Amino acid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Milford, MA, USA. p 37. 

  18.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78. 

  19.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966-967. 

  20.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1.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22.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the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3. Surh JH, Kim JO, Kim MH, Lee JC, Lee BY, Kim MY, Yang HW, Yun HW, Jeong HR. 2009. Nutritional properties, as food resource for menu development, of cubed snailfish, shaggy sea raven, and two kinds of wild vegetables that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Korea J Food Cookery Sci 25: 690-702. 

  24.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25.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 67-80. 

  26. Woo JH, Jeong HS, Yu JS, Chang YD, Lee CH. 2008.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21: 52-59. 

  27.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8. Choi KS, Lee H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326-322. 

  29.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30.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1. Park YK. 2001. Studies on the effects of Puerariae Flos, Curcumae Radix and Sophorae Radix on the anti oxidation. Kor J Herbology 16: 41-53. 

  32.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