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 2014년, pp.173 - 181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  신현숙 (판동초등학교병설유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44 children were used in a study in the Korean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program was held 2 times per week for 7 weeks and was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후 전래놀이가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 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하고 놀이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히 해야만 성공할 수 있는 대동놀이 형태의 전래놀이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하여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현국은 놀이가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가져온다고 말하는가? 유아는 천성적으로 놀이하기를 좋아하며, 누가 일부러 놀거리를 마련해 주거나 놀이하는 방법을 말해주지 않아도 유아들은 일부러 놀이를 만들어가며 논다. 단현국[2]은 놀이는 유아들의 학습활동이자 생활 그 자체로 유아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놀면서 보낼 뿐만 아니라, 놀이를 통해 주위환경과 적극 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여기에서 얻어지는 경험을 반복으로 지적, 정의적, 신체적, 사회 정서적 발달과 창의성 발달을 도모한다고 하였다.
유아는 무엇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실현하는가?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잠재된 능력을 표출하고 확장해 가면서 자아를 발견하고 실현한다[1]. 유아는 천성적으로 놀이하기를 좋아하며, 누가 일부러 놀거리를 마련해 주거나 놀이하는 방법을 말해주지 않아도 유아들은 일부러 놀이를 만들어가며 논다.
전래아동놀이가 유아에게 가져다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유아들의 놀이는 그 유아가 속한 문화적 배경과 깊은 관계가 있는데 한국 고유의 전래아동놀이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발달 특징을 고려하고 발달과업의 성취를 돕도록 기능한다는 점에서 발달적 가치가 있다[4]. 또한 전래놀이는 유아에게 즐거움을 주고, 신체적인 활동을 제공하며,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 언어발달을 촉진하며, 사고발달을 통한 인지적 자율성을 기르는 등 그 교육적 가치가 높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 O. Park, N. Y. Chung, and K. A. Lim,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kmunsa, 2006. 

  2. H. K. Da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 Textbook, 1991. 

  3. E. 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Playfulness and Social Ability and Self-Concept. MS Thesis Konkuk University, 2008. 

  4. H. S. Kim. The Effects of Traditional Games Conducted through a Group-game: Teaching-methods on 5 Year Old Children's Societal Development. MS Thesis Inchon University, 2008. 

  5.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ance Data on Educational Activities for Children's Traditional Play.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3. 

  6. H. S. Sin,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3. 

  7. H. S. Kweak, The Effect of Korea Traditional Play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4. 

  8. J. H. Lee, The General Trends of and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of 5-year-olds Children and Resilience of Their Parent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2. 

  9. Y. M. Jung, Relations Among Resilience,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Gender of 5-Year-Old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11. 

  10. J. Y. Park, Young Children's Resilience. Geuldam Publisher, 2012. 

  11. M. K. Choi,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Plays on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4. 

  12. B. R. Le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 with Rhythm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Self-concept of Children.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2010. 

  13. S. A. Kim,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ing Activit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s.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2010. 

  14. S. J. Lee, and Y. J. Oh, "An Integrated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Play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asic Athletic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Physical Education, Vol.10, No.2, pp. 23-41, 2009. 

  15. S. K. Woo, A Structural Analysis on H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Its Related Variables. Ph. 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2002. 

  16.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003. 

  17. S. H. Lee, and H. M. Park, 101 Korean Traditional Plays. Sakyejul, 1999. 

  18. K. J. Ko, Children! What do You Like to Play Today?. Book Communications, 2009. 

  19. M. O. Yoon,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on Kindergarteners Socio-emotional Ability. MS Thesis KAYA University, 2004. 

  20. H. J. Kim,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Play on Arithmetic Ability and Algebraic Thinking in Young Children. MS Thesis Korea University, 2009. 

  21. J. H. Lee,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Game Activities 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Concept of the Ego of a Child.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2010. 

  22. H. S. Park,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Play on Self-control Ability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0. 

  23. H. Y. Kim,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Games on Self-esteem and Sociability. M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2002. 

  24. H. J. Koo,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a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Ph. D.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