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ir 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39 - 61  

이하정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탁정화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0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자아존중감, 행복감, 회복탄력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행복감과 회복탄력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의 인식정도를 보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행복감과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하여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하위요소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related to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ir resilience from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young children who spend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을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정의하면? Pleux(2012)는 아이들이 시련을 극복하는 힘을 회복탄력성(resilience)으로 정의하였고, 김소연(2013)은 회복탄력성이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그 환경을 스스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하는 인간의 총체적 능력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회복탄력성은 넓은 의미로는 외적·내적 스트레스에 대해 융통성 있게 적응과정에 필요한 힘을,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감정차원을 조절하고 상황과 환경을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 (Block & Kremen, 1986). 또한 김주환(2011)은 인생의 역경을 극복할 잠재적인 힘을 회복탄력성이라고 명명하며 스트레스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대응기제로써 작용을 하는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
회복탄력성의 개념이 적용되는 범위는 어떠한가? 1980년대부터 교육학과 심리학에 등장한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최근 들어 관련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Pleux, 2012). 초기에는 장애, 가난, 아동학대, 부모의 이혼 및 정신질환, 재해, 전쟁 등의 경험을 한 고위험집단에만 한정되었으나, 점차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으며(이지현, 2012), 특별하고 희귀한 능력이라기보다 인간의 기본적인 적응 체계가 작동하면서 이루어지는 보편적인 발달과정이라는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Master & Powell, 2003). 특히 유아기가 회복탄력성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임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유아기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관련연구도 증가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이루어진 관련 연구로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강남욱, 김정회, 2012; 김경희, 주현주, 2013)과 만5세 유아(이연희, 2013; 이지현, 2012)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내적인 변인과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해 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에게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을 통하여 길러질 수 있지만(Schwarzer & Nina, 2007)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작동할 때는 회복탄력성의 증가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질 뿐이다. 하지만 유아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는 주체가 될 때 내적동기는 강화되며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에 기반해 볼 때(김아영, 2014;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Zimmerman & Schunk, 2011)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내적인 변인과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유아기에 형성된 회복탄력성은 유아기 이후에 경험할 학업스트레스를 성공적으로 대처함에 있어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남욱, 김장희 (2012).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간의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2(2), 69-94. 

  2. 강영하 (2012).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행복간의 관계. 학습전략중재연구, 3(1), 107-123. 

  3. 곽윤정, 강민수, 이지혜, 엄채윤 (2013). 내 아이의 강점지능. 서울: 21세기북스. 

  4.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6(2), 35-50 

  5. 김경수, 김화경 (2011).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9(2), 143-170 

  6. 김경희, 주현주 (2013). 아동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7(3), 437-457. 

  7. 김규수 (2002). 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생태유아교육연구, 1(1), 29-47. 

  8. 김미숙, 김종민 (2013).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김성숙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473-493. 

  10. 김소연 (2013).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아영 (2014). 미래 교육의 핵심역량: 자기주도성. 교육심리연구, 28(4), 593-617. 

  12. 김은미, 최명구 (2007).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행복과의 관계. 아동교육, 16(1), 155-171. 

  13.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14.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하우스. 

  15. 류승희, 안연경 (2005). 유아의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235-249. 

  16.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 (2009).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14(4), 137-153. 

  17. 박영란, 이주리 (2011).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수준 및 자아존중감 안정성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61-79. 

  18. 박희숙, 이승은 (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19. 백혜정, 김현신, 우남희 (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3, 23-43. 

  20. 손해진 (2013). 만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동주, 최현미 (2011).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6), 167-187. 

  22. 신은경, 문혜련 (2013). 부모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89-112. 

  23.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감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6(6), 5-25. 

  24. 신지혜, 최혜순 (2014). 유아행복 과련 연구동향의 분석. 유아교육연구, 34(1), 5-28. 

  25. 신현숙 (2013).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안도희, 김유리 (2012). 기대 및 가치 신념이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3), 293-319. 

  27. 양명희, 김현정 (2010). 원예 활동이 지체장애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작업활동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논집 중복.지체부자유연구, 53(1), 105-121. 

  28. 유안진,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한국아동학회지, 17(1), 173-188. 

  29.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6(4), 193-209. 

  30. 이연희 (2013).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연희, 정재은 (201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245-268. 

  32. 이영이, 노진숙, 윤영숙, 전은희 (2011).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동서전신과학, 14(1), 51-63. 

  33. 이은주 (2009).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지현 (2012). 만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조한익 (2012).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6(4), 1001-1021. 

  36. 최성애 (2014). 회복탄력성. 서울: 해냄출판사. 

  37. 최수경, 석주영, 박인전 (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81-198. 

  38. 최주애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최현미 (2013). 유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기질, 어머니와 애착, 유아-교사관계,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5), 67-87. 

  40. 최현미, 신동주 (2012).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133-158. 

  41. 탁정화 (201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235-264. 

  42.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5), 31-52. 

  43. 홍은자 (2001).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45.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46.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McGraw-Hill. 

  47. Block, J. G., & Kremen, A, M. (198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8. Haltiwanger, J. (1989). Behavioral referents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MO. 

  49. Harter. S. (2015).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Jersey : John Wiley & Sons, Inc. 

  50. Hone, L. C., Jarden, A., Schofield, G. M., & Duncan, S. (2014). Measuring flourishing: The impact of operational definitions on the prevalence of high levels of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4(1), 62-90. 

  51. Hooper, J. (2013). 아이의 플로리시(우문식, 이명원, 허현자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12년 출판). 

  52.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저 2008년 출판). 

  53.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 227-238. 

  54. Mastes, A. S., & Powell, J. L. (2003). A resilience framework for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Contributions from Project Competence. In S. S. Luthar(Ed.),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hildhood adversities(pp 1-28).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55. Miller, C. A., & Frisch, M. (2015). 나는 이제 행복하게 살고 싶다. (우문식, 박선령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09년 출판). 

  56. Pleux, D. (2012). 아이의 회복탄력성(박주영 역). 서울: 글담. (원저 2012년 출판). 

  57. Reivich, K., & Shatte, A. (2012). 절대회복력. (우문식, 운상운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03년 출판). 

  58. Schwar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59. Seligman, M.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60. Zimmerman, B. J., & Schunk, D. H. (2011).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New York: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