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자의 교수 스타일(Teaching Style)과 교육경험이 수업 분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ass Climates Assessment on the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areer of Instruct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 2014년, pp.256 - 263  

박형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  박정환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김수현 (거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의 교수 스타일과 교육경험이 수업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요인들이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비평과 수업분석을 바라보는 분석관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교수 스타일을 분류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육경험에 해당하는 교직경력을 확인하여 공변인으로 두고, 각각 교수 스타일에 따라 수업 분위기를 분석하는 관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수업분위기 분석의 요인인 창의성, 활기성, 치밀성, 온화성의 4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업분위기 분석에서 교수 스타일 중 전문성은 동일한 수업에서 창의성에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촉진자 스타일은 활기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역할모델은 치밀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촉진자와 역할모델은 온화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반면 권위적인 스타일과 위임자 스타일은 전체적인 수업분위기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 스타일에 따라 수업을 분석하는 관점이 다르며, 전문가, 역할모델, 촉진자 스타일이 수업분석에 있어 반성적인 성찰과 허용적인 인식을 통해 분석하려는 의도가 비교적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 teacher's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areer on instructional analysis. Through this, the differences in the relevant elements' view points on a class and those in teachers' analysis view points on class criticism and instructional analysis a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현장에서 교수활동을 진행하는 교수자들이 지닌 교수 스타일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교수활동을 수행하는 방식이며, 타인의 수업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에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스타일에 따라서 다른 교수자들의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양적인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해당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위해 표집된 대상의 교수 스타일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해당 면담자료를 보완하여 다음 논의를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분석에 대한 다양한 시각 중 하나인 교수자의 교육경험과 교수 스타일이 수업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는데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교수 스타일과 교육경력에 따라 수업분위기 분석의 관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이란 무엇인가? 수업이란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내용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는 체계적 절차를 지칭한다. 이는 교사에게서 주도된 과정으로서 교육과정, 학습자, 교사, 세 요소간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상호작용을 원만히 이끌어내기 위한 체제적인 기술이다. 교수기술은 주어진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교수 기법이며, 교수자가 알고 있는 학습 과제의 내용을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기술이다.
교수자는 교육내용이 잘 전달되는지 스스로 점검하고 수업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을 평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지식, 기술과 태도를 전달하는 교수자는 교육내용이 잘 전달되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수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수업의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보다 잘 가르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이다[8].
교수기술이란 무엇인가? 이는 교사에게서 주도된 과정으로서 교육과정, 학습자, 교사, 세 요소간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상호작용을 원만히 이끌어내기 위한 체제적인 기술이다. 교수기술은 주어진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교수 기법이며, 교수자가 알고 있는 학습 과제의 내용을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기술이다. 교수기술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자 하며, 이러한 개념으로 볼 때 교수기술은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학습을 위한 중요한 기법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B. Park, Educational Assesment-Elliot W. Eisner qualitative research into education, Hakjisa Publisher, 2006. 

  2. H. S. Chu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Classroom Teaching Support through Methods of Instruction Consulting", Social studies education, Vol. 47 No. 3, pp.109-134, 2008. 

  3. Grasha, A. F. Teachning with style, Pittsburgh Alliance Publishers, 1996. 

  4. Korthagen, F.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5. H. S. Kang, Y. S.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through Self-Reflection",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Vol. 31 No. 1, pp.72-86, 2003. 

  6. Y. S. Gwak, "Research on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ystem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eaching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 25 No. 4, pp.494-502, 2005. 

  7. Baeck, W. I. Direction of Class Assesment Innov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 Educational Productivity Research Center Publisher, 2003. 

  8. S. Kim, Y. R. Hur, "Instructional Supervision Using Class Climate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16 No. 3, pp.289-297, 2004. 

  9. H. J. Kim,, J. S. Kim, S. U. Choi,, Y. M. Park, K. H. Lee, H. K. Lee, S. H. Jo, E. Y. Kim, M. A. Son, Research for plan of education to develop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Report RRI 2010-1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10. Wragg, R. An introduction to classroom observation (2nd.). p. 160. Routlege Falmer Publishers, 1999. 

  11. K. Y. Lim, H. K. Jo, Y. S. Kim,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ing Style Diagnosis as a Self-Reflection Tool",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26 No. 1, pp.37-52, 2010. 

  12. J. H. Shin, H. K. Lee, U. Hun, J. I. Jung, "A Needs Analysis of Improv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lass Critique: Group Interviews for Teacher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27 No. 4, pp.365-385, 2011. 

  13. H. K. Lee, "What is the class assesment?", Uri education, Vol. 223, pp.98-105, 2008. 

  14. B. C. Kim, "The shift on teacher education paradig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17 No. 3, pp.113-141, 2000. 

  15. Conti, G. J. Identifying your teaching style. In M. W. Galbraith (Ed.), Adult learning methods (2nd ed.), (pp. 73-91). Malabar, FL: Kreiger Publishing Company, 1998. 

  16. Clowes, G. A. What characterizes an effective teacher?, School Reform News, 2002. 

  17. S. E. Song, "A study of factors of affecting teaching skill of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Konkuk University, 2003. 

  18. K. H. Kim,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self-supervision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skill and teaching efficacy for beginning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1 No. 1, pp.53-85, 2004. 

  19. Borich Gary D. Effective Teaching Methods.5ed. Pearson Education Inc. USA, Critique, & Utilization, 4th Edition, W.B. Saunders Philadelphia Publishers, 2004. 

  20. Teddlie, C. Stringfield, S. Schools make a difference: lessons learned from a 10-year study of school effects, Teachers College Press, 1993. 

  21. W. H. Park,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through preferred modality with those through non-preferred modality in theory of learning style. Busa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86. 

  22. Loughran, J. J. Developing reflective practice: Learning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odeling, Falmer Publisher, 1996. 

  23. S. Feiman-Nemser, "From preparation to practice: Designing a continuum to strengthen and sustain teaching", Teachers College Record, Vol. 103 No. 6, pp.1013-1055, 2001. DOI: http://dx.doi.org/10.1111/0161-4681.00141 

  24. Y. G. Byun, K. H. Kim,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analysis, Hakjisa Publishers, 2005. 

  25. Maher, C. A. Video recordings as pedagogical tool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D. Tirosh & T. Wood(Eds.),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Vol 2. Tools and processes in mathematics teahcer education(pp. 65-83). The Netherlands: Sense, 2008. 

  26. M. K. Jung, K. H. Kim, "Development on Instructional Analysis Program for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0 No. 3, pp.371-38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