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노럴 오디오 기술에 대한 개요와 함께 여러 이슈들을 설명하고, MPEG-H 표준을 중심으로 한 최근 시장 동향을 살펴본 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모바일 3D 사운드를 만드는 방법 | 모바일 3D 사운드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
바이노럴 레코딩(Binaural recording)과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
모바일 3D 사운드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바이노럴 레코딩(Binaural recording)과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이라고 할 수 있다. 바이노럴 레코딩은 해당 공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음장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며, 바이노럴 렌더링은 컨텐츠 제작자가 특정 음원을 공간상에 정위 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
바이노럴 | 오디오 신호처리 영역에서 바이노럴은 무엇인가? |
사람이 두 개의 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을 의미하며, 또한 그 현상을 이용 하여 두 개의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바이노럴(Binaural)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두 개의 귀를 가진(having or relating to two ears)” 이다. 특히 오디오 신호처리 영역에서 바이노럴은 사람이 두 개의 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을 의미하며, 또한 그 현상을 이용 하여 두 개의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모바일 3D 사운드를 위한 기술이라 할 수있다. |
transaural system | transaural system에서는 음향 경로의 영향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되는가? |
스피커로부터 좌우 귀에 도달하는 음향 경로(acoustic path)의 영향으로 크로스톡(crosstalk)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음원의 방향감과 공간감이 왜곡될 수 있다
Transaural의 개념은 Schroeder와 Atal에 의해서 초창기 시스템이 제안되어 Cooper와 Bauck에 의해서 보다 개선되었다[4][5]. Transaural 시스템 에서는 스피커로부터 좌우 귀에 도달하는 음향 경로(acoustic path)의 영향으로 크로스톡(crosstalk)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음원의 방향감과 공간감이 왜곡될 수 있다. 때문에 <그림 3>과 같이 크로스톡 음향 경로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고, 특정 위치에 있는 청자에게 임의의 음향 효과를 재현하고자 하는 ‘crosstalk cancellation’ 기술이 필요하다[6][7].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