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십진분류법 국방.군사학(390)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litary Science Schedules of KDC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4, 2014년, pp.207 - 229  

한경신 (한남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에서의 390 국방 군사학 분류전개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 다음판 분류전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군사학 지식체계에 대해 정리한 후, 한국십진분류법 초판부터 제6판까지의 390 국방 군사학 분류전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6판의 국방 군사학 분류전개에 대해 목과 세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후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목과 세목전개의 균형, 분류기호 사용을 위한 풍부한 주기, 적절한 조기표의 사용, 정확한 항목명 배정, 많은 이중표목 및 포함주의 정리, 색인의 누락 오류 인덴션의 보완 등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concerning the arrangement of 390 military science schedules in the sixth edition of KDC and to propose improvements of that problem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knowledge background of military science is examined first. Then, the deve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표준분류표인 KDC의 ‘국방·군사학’ 분류전개가 군사학의 학문체계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국방·군사실무에서 사용되는 실제적인 주제항목들에 부합하는 분류전개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국방·군사학의 지식체계를 정리하고, 둘째, KDC에서의 국방·국사학분야(390) 분류전개의 변천과정을 살펴본 후, 셋째, 최근에 발행된 KDC6 ‘390 국방·군사학’을 대상으로 분류전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넷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다음의 새로운 개정판이 될 KDC7의 국방·군사학 분류전개와 군사학 관련 각종 서지분류의 분류표준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세목전개의 불균형문제를 해소해야 할 것이다. 분류기호 390-399까지의 10개 요목의 세목전개수는 전혀 세목전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0개(399)부터 26개(391)로 세목전개 항목수의 분균형문제가 크다 하겠다.
  • (2) 너무 많은 이중표목과 포함주를 정리해야 할 것이다. 390 국방․군사학은 전체항목수 117개 중 거의 30%에 달하는 34개 항목이 이중표목으로 되어 있고, 40%가 넘는 48개 항목이 포함주를 갖고 있다.
  • (3) 국방․군사학 주제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조기표의 사용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390국방․군사학에서는 6개의 조기표 중 지역구분표만이 3개 항목, 즉 390.
  • (4) 분류기호 배정시 조기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390 국방․군사학 분류전개에서는 조기성의 일관성에서 문제시되는 경우가 있다.
  • (6) 표목 또는 항목명의 부적절한 용어를 바르게 고쳐야 할 것이다. 특히 NDC를 참고로한 390 국방․군사학은 NDC와 달리 국방에 대한 항목이 없다.
  • (7) 분류기호의 사용에 대한 부족한 주기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주기유형을 도입하고 분류항목에 주기를 적극 제시한다는 KDC6의 방침에도 불구하고 분류기호 적용을 위한 주기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가 있다.
  • 셋째, 국방․군사학 주제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조기표, 특히 표준구분표와 지역구분표의 사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분류기호 배정시 조기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상관색인에서의 누락과 오류문제 그리고 처음 시도한 인덴션 배열문제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 제시된 내용으로는 첫째, 세목전개의 불균형, 즉 세목전개수의 불균형문제를 해소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다한 이중표목과 포함주를 정리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방․군사학 주제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조기표, 특히 표준구분표와 지역구분표의 사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다섯째, 상관색인에서의 누락과 오류문제 그리고 처음 시도한 인덴션 배열문제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표목 또는 항목명의 부적절한 용어를 바르게 고쳐야 할 것이다. 일곱째, 분류기호의 사용에 대한 부족한 주기를 보완함으로써 분류기호 배정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사란? 군사(軍事)는 민사(民事)와 상대되는 용어로서 전통적으로 군인·군사력·전쟁·방위 등에 관한 총칭이다. 군사는 외교·경제·교육 등과 비교되는 국가 행정기능의 요소로 군대를 유지·관리하며 전쟁에 임해 정치가 명하는 사명에 대해 보유한 힘을 어떻게 행사할 것이냐에 대한 작전·용병기능을 갖는다(육군사관학교 군사학처 2004).
군사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인 군사학을 다른말로 무엇이라 하는가? 이상의 군사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인 군사학(military science)은 전쟁학 또는 방위학이라고도 하며, 2차세계대전 이후에야 학문으로 자리매김을 한 신생학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980년대 이후 군사학에 대한 학문인정 및 학위제정에 관한 노력이 추진되어 왔다.
군사는 전쟁·군인·군사력·군사행정·작전·용병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군사(軍事)는 민사(民事)와 상대되는 용어로서 전통적으로 군인·군사력·전쟁·방위 등에 관한 총칭이다. 군사는 외교·경제·교육 등과 비교되는 국가 행정기능의 요소로 군대를 유지·관리하며 전쟁에 임해 정치가 명하는 사명에 대해 보유한 힘을 어떻게 행사할 것이냐에 대한 작전·용병기능을 갖는다(육군사관학교 군사학처 2004). 따라서 군사는 전쟁·군인·군사력·군사행정·작전·용병 등의 개념으로 구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군사학학문체계연구회. 2000. 군사학 학문체계와 교육체계 연구. 서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A Society for Military Science Knowledge. 2000.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Education System of Military Science. Seoul: Hwarang-dae Research Institute, Korea Military Academy.) 

  2. 김광수. 2004. 군사학 학문체계 고찰. 군사연구, 120: 381-403. (Kim, Gwang Soo. 2004. "A Study on the Knowledge System of Military Science." Journal of Military Studies, 120: 381-403.) 

  3. 김덕영. 2004. 군사학 학문체계와 전략사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Kim, Deuk Young. 2004. A Study on the Knowledge System of Military Science and Strategy Thought. Unpublished Thesis., Daejeon University.) 

  4. 길병옥. 2005. 군사학과 안보학의 학문적 이론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평화와 안보, 2: 23-48. (Gil, Byung Ok. 2005. "A Comarative Study on the Academic Theory System of Military Science and Security Science." Peace and Security, 2: 23-48.) 

  5. 김열수. 2004. 군사학의 학문체계 정립. 군사논단, 39: 193-211. (Kim, Yeol Soo. 2004. "A Study on the Consolidation of Knowledge System in Military Science." Military Forum, 39: 193-211.) 

  6. 박순연. 1998. DDC상의 군사학분야 분류전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Park, Sun Yeoun. 1998. A Study on the Treatment of Military Science in DDC: A Comparative Analysis of DDC, KDC and LCC. Unpublished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7. 박종옥. 1997. 육군사관학교 군사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8. 배후섭. 2006. 군사학 학문체계 정립 및 군사학 학위수여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Bae, Hu Sup. 2006. A Study on the Plan for Consolidation of Knowledge System and Acadimic Degree in Military Science. Unpublished Thesis., Hannam University.) 

  9. 서승순. 2007. 육군 기록물관리실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Seo, Seung-Soon. 2007. Management Conditions and Dvelopment Plan for Records Centers in the ROA Army. Unpublished Thesis., Chungnam University.) 

  10. 안인자. 1993. 한국 정부간행물에 대한 분류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Ahn, Inja. 1993. A Clssification of Korean Government Publications. Unpublishe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11. 오동근, 여지숙, 배영활. 2014.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의 이해와 적용. 대구: 태일사. (Oh, Dong Geun, Ji-Sook Yeo, and Yeoung-Hwal Bae. 2014. A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6th Edition. Daegu: Taeilsa.) 

  12. 오동근, 황재영, 배영활. 2001. 군사학분야 웹문서 분류체계의 설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323-347. (Oh, Dong Geun, Jae-Young Hwang, and Yeoung-Hwal Bae. 2001. "A Design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Military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32(2): 323-347.) 

  13. 온창일, 1992. 군사학과 군사학체계. 안보학술세미나(국방대학원), 2: 1-43. (On, Chang Il. 1992. "Military Science and the System of Military Science." Seminar on the Scientific Security(National Defense University), 2: 1-43.) 

  14. 육군사관학교 군사학처. 2004. 군사학 길라잡이. 서울: 양서각. (Korea Military Academy. 2004. A Guide of Military Science. Seoul: Yangseogak.) 

  15. 이강언 등저. 2012. 최신 군사용어사전. 수정증보판. 서울: 양서각. (Lee, Gang An et al. 2012. New Military Science Glossary. Seoul: Yangseogak.) 

  16. 이명환. 2002. 군사학의 학문 패러다임 연구. 논문집(공군사관학교), 50: 31-66. (Lee, Muoung Hwan. 2002. "A Study on the Paradigm of Military Art and Sienc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Journal, 50: 31-66.) 

  17. 이병수. 1967. 국방.군사학 및 민속학의 분류. 국회도서관보, 4(3): 45-56. (Lee, Byung Soo. 1967. "The Classification of the Military Science and Folklore." National Assembly Library Magazine, 4(3): 45-56.) 

  18. 이종학. 1997. 군사이론과 군사교육의 연구. 경주: 서라벌군사연구소. (Lee, Jong Hak. 1997. A Study on the Military Theory and Military Education. Gyeongju: Sorabal Military Institute.) 

  19. 이종학, 길병옥 편저. 2009. 군사학개론.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Lee, Jong Hak and Byung Ok Gil ed. 2009. An Introduction of Military Studies. Daejeon: Chungnam University Press.) 

  20. 이혜성. 2008. 한국십진분류법(KDC) 제4판 군사분야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Lee, Jong Hak and Byung Ok Gil ed. 2009. An Introduction of Military Studies. Daejeon: Chungnam University Press.) 

  21. 정성. 2005. 군사학의 기원과 이론체계. 군사논단, 41: 89-112. (Jung, Sung. 2005. "An Original and Theory System for Military Science." Military Forum, 41: 89-112.) 

  22. 하대덕. 1998. 군사전략학. 서울: 을지서적. (Ha, Dae Duk. 1998. A Military Strategy. Seoul: Eulgi.) 

  23. 한관수. 2011. 일반대학 군사학 발전방향. 군사발전연구, 5(1): 1-28. (Han, Gwan-Soo.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s in Civilian University focusing on the Science and Educational System." Military Development Research, 5(1): 1-28.) 

  24.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편저. 2013.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Committee of Clssification, Korea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6th Edition.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25. 한국도서관협회 한국십진분류법 해설편찬위원회 편. 1997. 한국십진분류법해설. 개정 제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6. 황병무. 1992. 사회과학 학문체계 구성요건과 군사학. 교수논총(국방대학원), 1: 297-332. (Hwang, Byoung Mu. 1992. "A Study on the Organization Condition of Social Science Knowledge System and Military Science." Faculty Forum(National Defense University), 1: 297-332.) 

  27. 日本?書館 分類委員會 編. 1995. 日本十進分類法. 新訂9版. 東京: 日本?書館協會. (Mory-Kiyoshi. 1995. Nippon Decimal Classification. Newly Rev 9th Edition. Tokyo: The Committee of Classification, Japan Library Association.) 

  28. Atkeson, Edward B. 1977. "Military Art and Science : Is there a place in the sun for it." Military Review, Jan. 1977: 75-78. 

  29. Dewey, Melvil. 2011. Dewey Decimal Classificeation and Relative Index. 23rd ed. Dublin: OCLC. 

  30. Lider, Julian. 1983. Military Theory. London: Gow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