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 대한 아세틸렌 혼합 비율의 영향
Effect of Acetylene Mixing Rate on Synthesis of Carbon Nanotub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6 = no.65, 2014년, pp.768 - 773  

김재현 ((사)한국선급) ,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최재혁 (한국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메탄 대향류 확산 화염내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 대하여 실험 및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세틸렌을 일정비율로 메탄에 혼합하여 연료 가스로 사용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을 위한 촉매로서 페로센이 이용되었다. 주요 인자로는 메탄 연료에 대한 아세틸렌의 혼합비율이며, 2 %, 6 %, 10 %로 혼합하였다. 탄소나노튜브를 채취한 그리드 위의 탄소나노튜브 합성 특성은 SEM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수치해석에서 화학반응 메카니즘으로는 GRI-Mech 3.0 이 적용되었다. 수치결과로는 아세틸렌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화염 온도도 증가하며 CO 몰분율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로는 2% 아세틸렌 혼합 화염이 6 % 및 10 % 혼합 화염과 비교해 탄소나노튜브 합성이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6 % 및 10 % 아세틸렌 혼합화염의 경우 과도한 카본 소스의 생성이 발생해 오히려 화염 내 카본소스가 촉매입자로의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이 결과로부터 양호한 질의 탄소나노튜브 생성을 위해서는 적정한 양의 카본소스가 생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for the synthesis of carbon nanotube(CNT) in methane counterflow diffusion flame have been performed. Methane mixed with acetylene($C_2H_2$) was used as a fuel gas and ferrocene was used as a catalyst for synthesis of CNT. The major par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세틸렌은 C2 화학종을 포함하고 있고 이는 고온 영역에서 매연 생성에 주요 역할을 하는 화학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세틸렌 혼합비율을 변경함으로써 화염 내 카본 소스의 생성량의 차이를 만들어 탄소나노튜브의 합성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메탄-아세틸렌 대향류 확산화염을 이용한 화염 합성법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인자로는 메탄에 대한 아세틸렌의 혼합 비율이며, 비율에 따라 변화하는 화염 내 온도 및 화학종의 변화가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탄 대향류 확산화염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메탄 연료에 아세틸렌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비율에 따른 확산 화염 내 탄소나노튜브의 합성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이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소재들 중 하나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튜브의 직경과 구조에 따라 도체 또는 반도체의 특성을 보이며, 도체의 탄소나노튜브는 매우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매우 강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다(Park, 2006).
특히 화염합성법은 화염 중에서도 대향류 확산화염을 사용할 경우에 어떤 장점이 있는가? 화염합성법은 현재 탄소나노튜브의 합성법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과 비교하였을 때 합성에 필요한 고온의 열원을 화염을 통해 손쉽게 형성하고, 매우 간단한 장치의 구성으로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화염 중에서도 대향류 확산화염을 사용할 경우 동축류 확산화염과 비교하여 넓은 화염의 면적을 활용할 수 있어 균일한 열전달을 통해 고순도의 탄소나노튜브 합성이 가능하다(Choi, 2012).
현재까지 개발된 탄소나노튜브 합성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합성 방법들이 등장하면서 탄소나노튜브를 상용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탄소나노튜브 합성 방법으로는 전기 방전법, 레이저 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기상합성법, HiPCO법 등(Lyu et al., 2009; Mamalis et al, 2004)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J. H., J. H. Kim, W. J. Shin, J. S. Choi, K. B. Ryu, S. M. Lee, S. H. Park, J. H. Lee and T. W. Lim(2012), A Study on Synthesis of Carbon Nanomaterial as a Material for Eco-ship,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5, pp. 468-474. 

  2. Gavillet, J., A. Loiseau, F. Ducastelle, S. Thair, P. Bernier and O. Stephan(2002), Microscopic mechanisms for the catalyst assisted growth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Carbon, Vol. 40, pp. 1649-1663. 

  3. Gorbunov, A., O. Jost, W. Pumpe and A. Graff(2002), Solid-liquid-solid growth mechanism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Carbon, Vol. 40, pp. 113-118. 

  4. Hu, W., D. Gong, Z. Chen, L. Yuan, K. Saito, C. A. Grimes and P. Kichambare(2001), Growth of well-aligned carbon nanotube arrays on silicon substrates using porous alumina film as a nanotemplate, Appl. Phys. Lett., Vol. 79, pp. 3083-3085. 

  5. Ito, H., Y. Nakade, T. Uchiyama and O. Fujita(2007), DC Biasing Effects on Carbon Nanotube Formation in Microgravity Diffusion Flame, J. Jpn. Soc. Microgravity Appl., Vol. 24, pp. 220-224. 

  6. Kee, R. J., F. M. Rupley, E. Meeks and J. A. Miller(1996),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Report No. SAND96-8216. 

  7. Kee, R. J., J. Warnatz and J. A. Miller, A FORTRAN Computer Code Package for the Evaluation of Gas-phase Viscosities, Conductivities and Diffusion Coefficients, Report No. SAND83-8209,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1983. 

  8. Lee, G. W., J. Jurng and J. Hwang(2004),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Nickel-Nitrate and the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Synthesi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Trans. Korean Soc. Mech. Eng.(B), Vol. 28, pp. 215-222. 

  9. Lutz, A. E., R. J. Kee, J. F. Grcar, and F. M. Rupley, OPPDIF: A Fortran Program for Computing Opposed-Flow Diffusion Flames, Report No. SAND96-8243,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1997. 

  10. Lyu, S. C., J. H. Sok and J. H. Han(2009), Technical trends of carbon nnotubes growth method, KIC News, Vol. 12, pp. 1-11. 

  11. Mamalis, A. G., L. O. G. Vogtlander and A. Markopoulos (2004), Nanotechnology and nanostructured materials: trends in carbon nanotubes, Precision Engineering, Vol. 28, pp. 16-30. 

  12. Park, S. J(2006), Principle and practical of carbon material, Daeyoung-sa, p. 137. 

  13. Saveliev, A. V., W. Merchan-Merchan and L. A. Kennedy (2003), Metal catalyzed synthesis of carbon nanostructures in an opposed flow methane oxygen flame, Combust. Flame, Vol. 135, pp. 27-33. 

  14. Smith, G. P., D. M. Golden, M. Frenklach, N. W. Moriarty, B. Eiteneer, M. Goldenberg, C. T. Bowman, R. K. Hanson, S. Song, W. C. Gardiner, V. V. Jr. Lissianski and Z. Qin(2000) GRI-Mech 3.0., http://www.me.berkeley.edu/gri_mech/ 

  15. Yuan, L. T. Li, K. Saito(2003), Growth mechanism of carbon nanotubes in methane diffusion flames, Carbon, Vol. 41, pp. 1889-18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