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의 금연성공 요인 비교 분석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 2014년, pp.445 - 455  

이기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영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계현 (의료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의 금연성공 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9년 7월 16일부터 2010년 7월 15일까지 전국 253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흡연자 319,908명이며, 재등록자와 신규등록자로 구분한 후, 6개월 금연성공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chi}^2$검정과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의 6개월 금연성공률은 재등록자(51.6%)가 신규등록자(48.7%) 보다 높게 나타났고,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는 성, 연령, 사회보장유형, 거주지역, 하루 평균 흡연량, 처음 흡연연령, 니코틴 의존도, 서비스 내용 등이었다. 특히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 중 신규등록자는 행동요법만 제공하는 경우가 금연성공률이 높은 반면 재등록자는 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는 경우가 금연성공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운영함에 있어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등록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argeted to comparatively analyze smoking cessation success rates and success factors among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for its efficient operation. A total of 319,908 smokers who were enrolled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in one of 253 public he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사업에 있어서 금연에 실패한 사람을 재등록시키는 것이 효율적인지 여부와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의 금연성공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 및 재등록자의 금연성공률과 금연성공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의 흡연예방 및 금연정책의 목적은 흡연을 예방하고, 흡연자의 금연을 촉진하며,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차원의 다양한 금연정책이 수립되어 운영되고 있다[3].
  • 정부의 예산이 들어가는 정책에 정책대상별 성공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다시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사업 자료를 활용하여 신규등록자와 재등록자에 대한 성과를 비교하고 각각의 대상자의 금연성공에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한 후, 향후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건강상에 어떤 피해를 주는가? 흡연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예방가능한 제1의 건강 위험요인으로 폐암 뿐 아니라 각종 암의 원인이 되고,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며,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건강상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1]. 또한 흡연으로 유발된 질병이나 사망은 국가적으로 막대한 직 간접적비용을 발생시켜 사회경제적으로도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2].
우리나라의 흡연예방 및 금연정책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흡연예방 및 금연정책의 목적은 흡연을 예방하고, 흡연자의 금연을 촉진하며,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차원의 다양한 금연정책이 수립되어 운영되고 있다[3].
국가차원의 다양한 금연정책이 수립되어 운영되는데 그 중 하나는 어떤 사업인가? 이를 위해 국가차원의 다양한 금연정책이 수립되어 운영되고 있다[3]. 그 중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운영은 지역사회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상담 및 약물요법을 제공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흡연율을 감소시키고자 2004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05년 3월부터 전국의 모든 보건소로 확대ㆍ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금연사업이다. 이러한 흡연자의 금연지원을 위한 금연클리닉은 영국, 뉴질랜드, 홍콩 등에서도 국가의 재정으로 운영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USDHHS), Surgeon General's Report. USDHHS, 2004. 

  2.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orld Health Report. WHO, 2003.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Clinic Program Guide in 2010. MOHW, 2010.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 Guide in 2005. MOHW, 2005.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 White Paper on Health & Welfare, 2011. 

  6. K. J. Lee, C. J. Chang, M. S. Kim, M. H. Lee, Y. H. Cho,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 Korean Acad Nurs, Vol. 36, No. 5, pp. 742-750, 2006. 

  7. K. S. Cho, T. M. Song, C. M. Lee, H. C. Kim, J. Y. lee, J. G. Lee, Evaluation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at Public Health Center in 2004- Analysis on Key Factors and Rate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 31, No. 1, pp. 35-48. 2006. 

  8. J. Y. Lee, T. M. Song,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Rural and Urban Smoking Cessation Clinic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Vol. 33, No. 3, pp. 292-302. 2008. 

  9. Y. W. Jun, N. J. Jee, W. Y. Le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at smoking-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5, No. 1, pp. 25-38. 2008. 

  10. Y. H. Kim,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Six Months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 20, No. 4, pp. 413-422. 2009. 

  11. T. M. Song, J. Y. Lee, K. S. Cho,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New e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5, No. 2, pp. 19-30. 2008. 

  12. Fiore MC, Bailey WC, Cohen SJ,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USDHHS). Public Health Service, pp. 91-104, 2000. 

  13. Ockene JK, Emmons KM, Mermelstein RJ, Perkins KA, Bonollos DS, Voorhees CC, et al, Relapse and maintenance issues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Vol. 19 No. 1 Suppl, pp. 17-31. 2000. 

  14. Raw M, McNeill A, Coleman T., Lessons from the English smoking treatment services. Addiction, Vol.100 No. Supplement2, pp. 84-91, 2005. 

  15. Raherison C, Marjary A, Valpromy B, Prevot S, Fossoux H, Taytard A, Evaluation of smoking cessation success in adults. Respiratory Medicine, Vol. 99, pp. 1303-1310. 2005. 

  16. Levy DT, Romano E, Mumford E., The relationship of smoking cessation to sociodemograpic characteristics, smoking intensity, and tobacco control policies. Nicotine & Tobacco Research, Vol. 7, pp. 387-396. 2005. 

  17. E. S. Lee, H. G. Seo, The factor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Vol. 28 No. 1, pp. 39-44. 2007. 

  18. J. Y. Sim, N. Y. Han, Y. S. Cheong, S. M. Yoo, E. W. Park,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Vol. 23 No. 3, pp. 325-333. 2002. 

  19. H. R. Yoo, S. H. Lee, T. K. Yoo, Applicability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Smoking-Cessation Intentio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6, No. 2, pp. 49-61. 2009. 

  20. Hymowiz N, Sexton M, Ocken J, et al., Baselin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entive Medicine, Vol. 20, pp. 590-601.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