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개월 금연 성공의 영향 요인 연구 - 인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를 중심으로 -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5, 2006년, pp.742 - 750  

이군자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장춘자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순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희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영희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ich factors are likely to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on adults who smoke in Metropolitan Incheon. Method: Data from 9,083 smokers, who visited a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from Jan. to Oct. 2005, were provided b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5년 1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인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의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의 기록지는 국립보건사회연구원으로부터 9, 083명의 자료를 받아 현재 상담 중인 자 5, 330명, 자료가 미비한 2, 258명을 제외한 최종 대상자 총 1, 495명을 SPSS PC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병원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나 의과대학생,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였고,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자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6개월 동안 담배를 한 개피라도 피우지 않은 사람을 금연 성공자, 6개월 동안 한 개피라도 흡연한 사람을 금연 실패자로 하여,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는 요인을 찾아내고, 향후 효과적인 금연클리닉 운영과 전략을 개발하여 보건정책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인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중 6개월 금연 성공자와 실패자의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O. H., Yeum, E. J., Kwon, S. B., Chung, H. K., Ryu, E. J. (2005). Predictive factors of aspects of the trans theoretical model on smoking cessation in rural community. J Korean Acad Nurs, 35(7), 1285-1294 

  2. Benowitz, N. L. (1988). Pharmacologic aspects of cigarette smoking and nicotine addition. N Engl J Med, 319(20), 1318-1330 

  3. Choi, J. H., Yang, Y. J., Seo, H. G. (1995). Smoking habi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medical student. J Korean Acad Fam Med, 16(2), 157-170 

  4. Choi, J. T. (1992).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in nicotine dependent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Duncan, C. L., Cummings R. S., Judes, E. S., Zahand, E, & Coates, T. J. (1992). Quitting smoking : Reasons for quitting and predictors of cessation among medical patients. J Gen Inter Med, 7(4), 398-404 

  6. Fielding, J. E. (1985). Medical progress, smoking; health effects and control. N Engl J Med, 313(8), 491-498 

  7. Fiore, M. C., Novotny, T. M. Pierce, J. P. (1990). Methods used to quit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 Do cessation programs help? JAMA, 263, 2760-2765 

  8. Gee, S. W. (1999). Smoking status of Korean. The World without Cigarette, 6(12), 8-12 

  9. Haire-Joshu, D., Morgan, G., & Fisher, E. B. Jr. (1991). Determinants of cigarette smoking. Clin Chest Med, 12(4), 711-725 

  10. Hunt, W. A., Bespalec, D. A. (1974). An evaluation of current methods of modifying smoking behavior. J Clin Psychol, 30, 431-438 

  11. Hwang, S. J., Ou, S. W., Kim, S. N., Hwang, H. S., Cho, B. L., & Huh, B. Y. (2000). Smoking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in Korean adult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1(3), 344-355 

  12. Hymowita, N., Soxton, M., Ockene, J., Grandits, G. (1991).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 Med, 20, 590-601 

  13. Istavan, J., & Matarazza, J. D. (1984). Tabacco, alcohol and caffeine use : a review of their interrelationship. Psychol Bull, 95, 305-326 

  14. Jeon, Y. J. (2003). Smoking status of the military hospital inpatients an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by stage of change behavior for quitting smoking. Unpublished ma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5. Kim, C. W., Seo, H. G. (2001).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22(11), 1603-1610 

  16. Korea Gallop (2005). The report of smoking survey. Korea Gallop 

  17. Lee, E. S. (2002).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18. Lichtenstein, E. (1982). The smoking problem : A behavior of perspective. J Consult Clin Psychol, 50, 806-819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The book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smoking-cessation counselor and doctor. The Smoking-Cessation Support Team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The book of support and evaluation for smoking cessation. The Smoking-Cessation Research Team 

  21. Norman, H., Mary, S., Judith,O., & Gregory, G. (1991).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 Med, 20, 590-601 

  22. Schachter, S. (1982). Recidivism and self-cure of smoking and obesity. Am Psychol, 37, 436-444 

  23. Sim, J. Y., Han, N. Y., Cheong, Y. S., Yoo, S. M., & Park, E. W. (2002).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23(3), 325-333 

  24. Th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1996). Smoking cessation clinic practice guideline. JAMA, 275(16), 1270-1280 

  25.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1990). The health benefit of smoking cessation :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DHHS Publication No(CDC) 90-8416. Washington, D.C. : U.S. Public Health Service 

  26. Won, Y. I., Jeon, J. H., Lee, D. S., Oh, S. W., Choi, G. H., Yoo, T. W., & Huh, B. Y. (1992).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J Korean Acad Farm Med, 13(11), 862-868 

  27. Walton, R. G. (1972). Smoking and alcoholism. Am J Psychiatry, 128(11), 1455-1456 

  28. Zimmerman, R. S., Warheit, G. J., Ulbrich, P. M., & Auth, J.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attempts and success at smoking cessation. Addict Behav, 15(3), 197-20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