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특성(2002~2011년)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2002~2011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0 no.4, 2014년, pp.393 - 408  

이승욱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최광용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  김백조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 발생의 시 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기상청 산하 전국 약 360여개 방재기상관측장비 및 종관기상관측장비의 일강수량 자료이다. 일강수량 80mm 이상의 극한강수현상과 일강수량 극값은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에 전국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장마전선이 북상하는 장마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는 경기북부~강원 영서 북부 지역에, 장마전선이 남하하는 늦장마기(8월 중순~9월 초순)에는 경기도~강원 영서 남부 지역 및 지리산, 한라산 주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지역별로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극값 분포를 살펴보면, 종관규모인 장마전선의 위치뿐만 아니라 해발고도와 사면의 방향성과 같은 지형요소와 기류의 유입 등이 극한기후현상의 시 공간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각 지역과 여름철 시기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호우 피해 저감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examined based on the daily precipitation data observed at approximately 360 sites of both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and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network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우리나라 전역의 종관기상관측장비 및 방재기상관측장비 약 360여개 관측지점의 일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의 기후학적 발생 특성을 밝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름철 장마기를 여름장마기, 장마휴지기, 늦장마기로 구분하고, 남한을 크게 5개 지역으로 세분하여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기상청 산하 360여개의 종관기상관측장비 및 방재기상관측장비의 일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여 여름철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 및 발생강도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적으로는 여름철을 여름장마기, 장마휴지기, 늦장마기로 구분하였으며, 공간적으로는 한반도의 주요 산맥과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세부지역을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기상청의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76개 지점과 방재 기상관측장비(AWS) 422개 지점 중 극한강수현상 분석에 필요한 관측지점을 추출하여 그 관측지점들의 일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기간동안 관측이 이루어진 498개의 관측지점 중 먼저 섬지역에 위치한 65개 관측지점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가설 설정

  • 섬지역의 관측지점은 인근 관측 지점과의 거리가 멀어 극한강수현상의 공간적 특징을 확인하기 어렵고, 자료 누락 시 비교대상이 없어 관측지점 선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연구기간 동안 발생한 관측지점의 이동 문제는 현재 관측지점의 평균 수평해상도(약 10km) 또는 해발고도 구간별 유사한 강수패턴을 보이는 수직해상도 구간을 벗어난 46개 지점을 자료의 연속성에 문제가 있다고 가정하여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 뒤 극한강수 발생 시 결측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극한강수현상의 추이는 어떠한가? , 2005; Choi et al., 2009), 우리나 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산피해규모가 증가됨이 보고되고 있다(문자연 등, 2011; 기상청, 2011).
여름철 강수현상은 시기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여름장마기에는 어떠한가? 여름철 강수현상은 정체 전선의 이동에 따라 시기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점차 세력을 확장하는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에는 한랭건조한 한대기단과의 대치로 인해 정체전선이 형성되며 장기간 많은 강수현상을 야기한다. 여름장마기는 극한강수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에 해당한다(최광용・이승욱, 2014).
남한의 집중호우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무엇으로 예상하는가? 남한은 62% 이상이 산지로 덮여 있어 장마전선의 위치뿐만 아니라 복잡한 지형이 극한강수분포 패턴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1970년대 초반 이후 약 60여개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극한강수현상의 기후학적 분포(임정 선・박순웅, 1988; Choi, 2004;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