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30 - 38  

라진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전 소재 3개 유치원에 다니는 만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의 1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전반적인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4점 만점 $2.69{\pm}0.35$점이었고, 세부적으로 볼 때, 장비 또는 경제적 지원 $2.61{\pm}0.61$점, 모델링 $2.42{\pm}0.54$점, 지역사회자원 이용 $2.55{\pm}0.47$점, 좌식활동제한은 $3.18{\pm}0.51$점으로 나타나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중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 부모의 지지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다.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 특히 월수입 500만 원 이상인 경우(${\beta}$=.417, p =.002)이며,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효능감(${\beta}$=.231, p =.003),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충분한 정보(${\beta}$=.173, p =.022),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교육경험(${\beta}$=.237, p =.00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신체활동 지지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과 충분한 전문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추후연구로서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가족 중심의 아동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추가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ternal physical activity support for preschool children. Methods: Survey methodolog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from a daycare center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hundred an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아동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부모의 행위는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Lopez-Dicastillo, Grande, & Callery, 2010) 국내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동 신체활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중재 가능한 부모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 활동 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관련 행위는 전적으로 부모의 영향과 통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수준과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중등도 수준으로 미국 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과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도구는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개발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이다. 총 42문항이며, 아동 및 어머니의 일반적 사항 10문항,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12문항,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을 묻는 7문항, 아동 신체활동 방해물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10문항,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부족에 대한 염려 1문항,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정보획득과 교육 경험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수준과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 2012). 따라서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과 신체활동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이 우선되어야 한다.
학령전기 아동이 다른 발달단계의 아동보다 과체중의 위험이 큰 이유는? 지방축적(adiposity)은 출생 후 영아기에 주로 발생하게 되며 이후 감소하다가 학령전기가 되면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는 지방축적의 반동(adiposity rebound)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학령전기 아동은 다른 발달단계의 아동보다 과체중의 위험이 높다(Taylor, Grant, Goulding, & Williams, 2005).
학령전기 아동의 체중증가는 무엇과 관련되는가? 학령전기 아동의 체중증가는 좌식활동 증가와 신체활동 부족과 관련된다. 특히 신체활동이 학령전기 아동의 대사성 질환의 발병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최근 보고가 있어(Metcalf, Voss, Hosking, Jeffery, & Wilkin, 2008) 학령전기 신체활동 증진은 비만관련 건강문제의 조기중재를 위한 중요한 공중보건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다(McPherson & Homer,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ctive Healthy Kids Canada. (2011). Don't let this be the most physical activity our kids get after school: Active healthy kids Canada report 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youth. Toronto, ON: Active Healthy Kids Canada. 

  2. Adkins, S., Sherwood, N. E., Story, M., & Davis, M. (2004). Physical activity among African-American girls: the role of parents and the home environment. Obesity Research, 12, S38-S45. 

  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 Davison, K. K., Li, K., Baskin, M. L., Cox, T., & Affuso, O. (2011). Measuring parental support for children's physical activity in White and African American parents: The activity support scale for multiple groups (ACTS-MG). Preventive Medicine, 52, 39-43. http://dx.doi.org/10.1016/ j.ypmed.2010.11.008 

  5. Davison, K., Lawson, H., & Coatsworth, J. (2012). Family-centered action model of intervention layout and implementation (FAMILI): The example of child obesity. Health Promotion Practice, 13, 454-461. http:// dx.doi.org/10.1177/1524839910377966 

  6. Dowda, M., Pfeiffer, K. A., Brown, W. H., Mitchell, J. A., Byun, W., & Pate, R. R. (2011). Parent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attending preschool.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65, 939-944. http://dx.doi.org/10.1001/archpediatrics.2011.84 

  7. Dwyer, J., Needham, L., Simpson, J. R., & Heeney, E. S. (2008). Parents report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environmental barriers to supporting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their preschoolers.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Physiology, 33, 338-346. http://dx.doi.org/10.1139/H07-195 

  8. Ecktstein, K. C., Mikhail, L. M., Ariza, A. J., Thomson, J. S., Millard, S. C., & Binns, H. J. (2006). Parents' perceptions of their child's weight and health. Pediatrics, 117, 681-690. http://dx.doi.org/10.1542/peds.2005- 0910 

  9.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10. Guillemin, F., Bombardier, C., & Beaton, D. (1993). Cross cultural adapt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Literature review and proposed guidelin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6, 1417-1432. 

  11. Haerens, L., Cerin, E., Maes, L., Cardon, G., Deforche, B., & De Bourdeaudhuij, I. (2008). Explaining the effect of a 1-year interventi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middle schools: A mediation analysis. Public Health Nutrition, 11, 501-512. http://dx.doi.org/10.1017/S136898000 700078X 

  12.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82-190. 

  13. Lopez-Dicastillo, O., Grande, G., & Callery, P. (2010). Parents' contrasting views on diet versus activity of children: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obesity preven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8, 117-123. http://dx.doi.org/10.1016/j.pec.2009.05.019 

  14. Luttikhuis, H. G. M. O., Stolk, R. P., & Sauer, P. J. J. (2010). How do parents of 4 to 5 year old children perceive the weight of their children? Acta Paediatrics, 99, 263-267.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9. 01576.x 

  15. Mattocks, C., Ness, A., Deer, K., Tillig, K., Leary, S., Blair, S. N., et al. (2008). Early lif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11 to 12 year olds: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36, 26-29. http://dx.doi.org/10. 1136/bmj.39385.443565.BE 

  16. McMinn, A. M., van Suijs, E. M. F., Harvey, N. C., Cooper, C., Inskip, H. M., Godfrey, K. M., et al. (2009). Validation of a maternal questionnaire on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preschoo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6, 81-92. http://dx.doi.org/10.1186/1479-5868-6-81 

  17. McPherson, M. E., & Homer, C. J. (2011). Policies to support obesity prevention for children: a focus on of early childhood policies. The Clinics of North America, 58, 1521-1541, http://dx.doi.org/10.1016/j.pcl.2011 09,001 

  18. Metcalf, B. S., Voss, L. D., Hosking, J., Jeffery, A. N., & Wilkin, T. J. (2008). Physical activity at the government recommended level and obesity related health outcomes: A longitudinal study.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3, 772-777. http://dx.doi.org/10.1136/adc.2007.135012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 O'Dwyer, M. V., Fairclough, S. J., Knowles, Z. R., & Stratton, G. (2012). Effect of family focused activity play intervention on sedentary time and physical activity in preschoo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9, 117-140. http://dx.doi.org/10. 1186/1479-5868-9-117 

  21. Ou, S. W., Yoo, T. W., Huh, B. Y., Ahn, Y. O., Yun, Y. H., & Shin, S. A. (2002). Search for criterion of obesity through analysi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Korean obes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1, 304 

  22. Ra, J. S., & Chae, S. M. (2013). Physical activity level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behaviors promot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7, 173-183. 

  23. Sleddens, E. F. C., Kremers, S. P. J., Hughes, S. O., Cross, M. B., Thijs, C., De Vries, N. K., et al. (2012). Physical activity parenting: A systematic review of questionnair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hild activity levels. Obesity Review, 13, 1015-1033. http://dx.doi.org/ 10.1111/j.1467-789X. 2012.01018.x 

  24. Taylor, R. W., Grant, A. M., Goulding, A., & Williams, S. M. (2005). Early adiposity rebound.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 Metabolic Care, 8, 607-612. 

  25. The Korea Pediatric Society. (2007) Growth ch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6. Vaughn, K., & Waldrop, J. (2007). Parent education key to beating early childhood obesity. The Nurse Practitioner, 32, 37-41. http://dx.doi.org/ 10,1097/01.NPR.0000263086.16643.03 

  27. Wofford, L. G. (2008). Systematic review of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3, 5-19, http://dx.doi.org/ 10,1016/j.pedn. 2007.07.006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No. 3,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Available at: www.who.int/dietphysicalactivity/ childhood/en/Accessed April 1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