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Lentinus edodes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194 - 199  

이미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득실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  위안진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  윤병선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  장순애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성창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표고버섯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표고버섯 물추출 분말을 1%, 3%,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2주간 공급하였다. 고지방 식이섭취는 체중, 혈청지질 농도 및 지방조직 무게를 증가시켰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대조군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은 고지방 식이군보다 체중 및 피하지방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변배설량은 3%와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에서 고지방 식이군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간조직의 지방축적과 지질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에서 지질과산화물 형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총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지방식이군은 간조직의 조직염색에서 지방간이 심하게 진행된 것이 발견되었고,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은 지방세포에 지방이 침투하지 않은 간지방증 소견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표고버섯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그리고 혈청지방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어 비만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Lentinus edodes water extract powder (LEP) in mice fed a high fat diet (HF, 45% kcal fat). Mice were administrated a HF diet supplemented with 1%, 3%, or 5% LEP for 12 weeks. Consumption of HF diet caused increases in body weigh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LEP군에서는 혈청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현저히 나타나 표고버섯의 혈중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 개선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25,26). 따라서 본 연구는 표고버섯 물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유도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지방조직이 필요 이상 과도하게 축적되면 정상적인 생리, 생화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쳐 염증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혈중 LDL-cholesterol과 중성지방의 증가, HDL-cholesterol 농도 감소,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한다(17). 본 연구는 전체 kcal의 45%를 동물성 lard로 구성한 고지방식이와 함께 표고버섯 물추출 분말을 용량별로 섭취하였을 때, 식이섭취량, 체지방량, 혈청지방 농도 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특징은? 비만은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암과 같이 식이와 관련한 만성질환의 발병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지목할 정도로 위협적인 질병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2015년 전 세계 인구의 약 23.
버섯의 특징은? 버섯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독특한 향과 맛을 갖고 있어 기호성이 높은 식품일 뿐 아니라, 항암작용, 생체조절기능, 심장병, 뇌졸중 등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효과가 있어 버섯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8). 그중 표고 버섯(Lentinus edodes)은 활엽수에 기생하는 담자균류 주름버섯 느타리과에 속하는 것으로 항암, 혈당강하, 고혈압,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력 등의 생리활성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9-12).
표고버섯의 기능성 물질로 항암활성 물질인 β-glucan은 어디에서 발견되는가? 표고버섯의 기능성 물질로는 항암활성 물질인 lentinan(β-1,3-D-glucan), hypocholesterol성 물질인 eritadenine, polyene계의 항균 작용이 있는 물질 등이 발견되었다(13-15). 이 중 β-glucan은 버섯이나 곰팡이 등의 진균류를 포함한 미생물의 주요 세포벽에서 발견되고, 보리, 호밀, 귀리 등의 작물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귀리의 β-glucan은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고 혈장 지질농도를 낮추며, 영양소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ay GA. 2000. A concise review on the therapeutics of obesity. Nutrition 16: 953-960. 

  2. Leonhardt M, Hrupka B, Langhans W. 1999. New approaches i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besity. Eur J Nutr 38: 1-13. 

  3. WHO. 10 facts on obesity. http://www.who.int/features/factfiles/ obesity/en/index.html. 

  4. Kopelman P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5. Yao F, MacKenzie RG. 2010. Obesity drug update: The lost decade? Pharmaceuticals 3: 3494-3521. 

  6. Jahromi F, Ray AB, Chansouria JPN. 1993.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flavonoids from Pterocarpus marsupium. J Nat Prod 56: 989-994. 

  7. Molitoris HP. 1994. Mushrooms in medicine. Folia Microbiol 39: 91-98. 

  8. Wasser SP. 2002. Medicinal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0: 258-274. 

  9. Surenjav U, Zhang L, Xu X, Zhang X, Zeng F. 2006. Effects of molecular structure on antitumor activities of (1 $\rightarrow$ 3)- $\beta$ - d-glucans from different Lentinus edodes. Carbohyd Polym 63: 97-104. 

  10. Yang BK, Kim DH, Jeong SC, Das S, Choi YS, Shin JS, Lee SC, Song CH. 2002. Hypoglycemic effect of a Lentinus edodes exo-polymer produced from a submerged mycelial culture.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937-942. 

  11. Kabir Y, Yamaguchi M, Kimura S. 1987. Effect of shiitake (Lentinus edodes) and maitake (Grifola frondosa) mushrooms on blood pressure and plasma lipid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Nutr Sci Vitaminol 33: 341-346. 

  12. Ng ML, Yap AT. 2002. Inhibition of human colon carcinoma development by lentinan from shiitake mushrooms (Lentinus edodes). J Altern Complement Med 8: 581-589. 

  13. Enman J, Rova U, Berglund KA. 2007. Qua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 eritadenine in selected strain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Agric Food Chem 55: 1177-1180. 

  14. Hatvani N. 2001. Antibacterial effect of the culture fluid of Lentinus edodes mycelium grown in submerged liquid culture. Int J Antimicrob Agents 17: 71-74. 

  15. Kim HS, Jo YC, Lee YJ, Park IB, Park JW, Jung MA, Kim YS, Kim SO. 2013. Inhibitory effects of Lentinus edodes and rice with Lentinus edodes mycelium on diabetes and obe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5-181. 

  16. Brennan CS, Cleary LJ. 2005. The potential use of cereal (1-3,1-4)- $\beta$ -D-glucan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J Cereal Sci 42: 1-13. 

  17. Sharma AM. 2002. Adipose tissue: a mediator of cardiovascular risk.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4: S5-S7. 

  18. Choi EH, Yang HP, Chun HS. 2012. Chitooligosaccharide ameliorates diet-induced obesity in mice and affects adipose gene expression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inflammation. Nutr Res 32: 218-228. 

  19. Chandra LC, Smith BJ, Clarke SL, Marlow D, Offay JM, Kuvibidila SR. 2011. Differential effects of shiitake- and white button mushroom-supplemented diets on hepatic steatosis in C57BL/6 mice. Food Chem Toxicol 49: 3074-3080. 

  20.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21. Friedwald WT, Levy RL,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Uchiyama M, Mihara M. 1978.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Anal Biochem 86: 271-278. 

  23. Pittler MH, Ernst E. 2001. Guar gum for body weight reduction: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Am J Med 110: 724-730. 

  24. Bhandari U, Chaudhari HS, Ajay Narayan Bisnoi AN, Kumar V, Khanna G, Javed K. 2013. Anti-obesity effect of standardized ethanol extract of Embelia ribes in murine model of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Pharma Nutrition 1: 50-57. 

  25. Yamada T, Oinuma T, Niihashi M. 2002. Effects of Lentinus edodes mycelia on dietary-induced atherosclerotic involvement in rabbit aorta. J Atheroscler Thromb 9: 149-156. 

  26. Sugiyama K, Akachi T, Yamakawa A. 1995. Eritadenine-induced alteration of hepatic phospholipid metabolism in relation to its hypocholesterolemic action in rats. J Nutr Biochem 6: 80-87. 

  27. Lee JS, Lee MK, Ha TY, Bok SH, Park HM, Jeong KS, Woo MN, Do GM, Yeo JY, Choi MS. 2006. Supplementation of whole persimmon leaf improves lipid profiles and suppresses body weight gain in rats fed high-fat diet. Food Chem Toxicol 44: 1875-1883. 

  28. Chau CF, Huang YL, Lin CY. 2004. Investigation of the cholesterol-lowering action of insoluble fibre derived from the peel of Citrus sinenesis L. cv. Liucheng. Food Chem 87: 361-366. 

  29. Hasty HA, Gruen ML, Terry ES, Surmi BK, Atkinson RD, Gao L, Morrow JD. 2007. Effects of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and atherosclerosis in an obese hyperlipidemic mouse model. J Nutr Biochem 18: 127-133. 

  30. Xu C, Yan ZH, Hong ZJ, Jing G. 2008.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Lentinus edodes on the oxidative status and expression of VCAM-1mRNA of thoracic aorta endothelial cell in high-fat-diet rats. Carbohyd Polym 74: 445-450. 

  31. Sugiyama K, Yamakawa A. 1996. Dietary eritadenine-induced alteration of molecular species composition of phospholipids in rats. Lipids 31: 399-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