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린 으름잎 추출물(Akebia quinata D. Leaves)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200 - 206  

전용섭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유양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어린 으름잎으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인 AQH와 80% 주정추출물인 AQE를 대상으로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을 측정하여 지방세포형성 억제능을 확인하며,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체중과 백색지방에 작용하는 효과를 평가하여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AQH 및 AQE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QE 처리군에서만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도 AQ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지방세포 분화 중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free glycerol 함량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AQE 처리군의 유의적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QE는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지방구 생성 억제 및 지방세포의 지방세포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우스에서 8주간 고지방식이 하에 600 mg/kg/day의 AQE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및 체중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부정소 주위 및 신장 주위 백색지방의 감소가 나타났다. AQE 투여에 의한 체중 감소 및 부정소 주위 백색지방량의 감소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Orlistat의 경구투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세포수준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구 생성 억제 작용과 실험동물에서 체중증가량 및 체지방의 감소 작용을 갖는 AQE는 향후 항비만 효과를 갖는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including hot water (AQH) and 80% ethanol (AQE) extracts. The inhibitory effects of AQH and AQE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ere examined by Oil Red O staining. Compared to 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 어린 으름잎에 대한 항비만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 으름잎 추출물들의 항비만 생리활성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염증성 인자에 의한 free glycerol의 증가는 AICAR과 같은 AMPK stimulator에 의해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고(35), adipogenesis 과정 중 처리한 동과분획물은 free glycerol의 감소를 나타내었다(28). 본 연구에서는 adipogenesis 초기단계부터 시료를 처리하여 adipogenesis 마지막 단계에서 배양액 중 free glycerol 함량을 비교한 것으로 AQE에 의해 지방구 생성 감소, 지방세포의 지방구 내 중성지방 함량 감소와 함께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free glycerol 함량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어린 으름잎 80% 주정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 최근 식의약 소재로써 으름의 국내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40). 본 연구에서는 종래에 이용되지 않았던 식용 가능한 어린 으름잎을 대상으로 항비만 식품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어린 으름잎 80% 주정추출물은 지방세포에서 지방구 생성 및 세포 내 중성지방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동물모델에서 체중증가량의 감소와 백색지방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 어린 으름잎으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인 AQH와 80% 주정추출물인 AQE를 대상으로 3T3-L1 전지 방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을 측정하여 지방세포형성 억제능을 확인하며,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체중과 백색지방에 작용하는 효과를 평가하여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3T3-L1 지방 세포 분화과정 중 AQH 및 AQE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QE 처리군에서만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질환들을 유발하는 원인인가? 비만은 지방의 축적과 에너지 저장을 위한 조절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1). 즉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축적되는 지방이 과잉인 상태를 비만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지방세포 내의 과도한 지방의 축적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을 포함한 만성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졌다(2,3). 지방세포 내의 지방구(lipid droplet)는 지질의 대사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방구 내에 주로 존재하고 있는 중성지방의 분해와 이로 인한 glycerol의 유출은 세포 내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여겨져 왔다(4).
으름의 줄기는 전통적으로 무엇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은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써 주로 온대 기후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열매, 잎, 줄기가 이용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그 줄기는 목통이라 하여 소염제, 이뇨 제,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다(23,24). 으름은 oleanolic acid, hederagenin, norarjunolic acid 등의 배당체와 사포닌들을 함유하고 있으며(25,26), 현재까지 으름과 관련된 약리학적 효과로는 항산화, 통증 완화, 항염 활성이 알려진 바 있다 (26,27).
비만은 무엇인가? 비만은 지방의 축적과 에너지 저장을 위한 조절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1). 즉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축적되는 지방이 과잉인 상태를 비만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지방세포 내의 과도한 지방의 축적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을 포함한 만성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졌다(2,3). 지방세포 내의 지방구(lipid droplet)는 지질의 대사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방구 내에 주로 존재하고 있는 중성지방의 분해와 이로 인한 glycerol의 유출은 세포 내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여겨져 왔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piegelman BM, Flier S.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87: 377-389. 

  2. Kopelman P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3. Visscher TL. 2001.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 Health 22: 355-375. 

  4. Frayn KN, Karpe F, Fielding BA, Macdonald IA, Coppack SW. 2003. Integrative physiology of human adipose tissu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 875-888. 

  5. Kopelman P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6. Green H, Meuth M. 1974. An established pre-adipose cell line and its differentiation in culture. Cell 3: 127-133. 

  7. Green H, Kehinde O. 1973. Sublines of mouse 3T3 cells that accumulate lipid. Cell 1: 113-116. 

  8. Aihaud G, Grimaldu P, Negrel R. 1992. Cellular and molecular aspects of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nu Rev Nutr 12: 207-233. 

  9. Boney CM, Staats BM, Atiles AD, Dercole AJ. 1994. Expression on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IGFbinding proteins during adipogenesis. Endocrinology 135: 1863-1868. 

  10.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1998.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11. Rosen ED, Hsu CH, Wang X, Sakai X, Freeman MW, Gonzalez FJ, Spiegelman BM. 2001. C/EBP $\alpha$ induces adipogenesis through PPAR: a unified pathway. Genes Dev 16: 22-26. 

  12. Naowaboot J, Chung CH, Pannangpetch P, Choi R, Kim BH, Lee MY, Kukongviriyapan U. 2012. Mulberry leaf extract increases adiponectin in murine 3T3-L1 adipocytes. Nutr Res 32: 39-44. 

  13. Sato M, Hiragun A, Mitsui H. 1980. Preadipocytes possess cellular retinoid binding proteins and their differentiation is inhibited by retinoids. Biochem Biophys Res Commun 95: 1839-1845. 

  14. Kawada T, Aoki N, Kamei Y, Maeshige K, Nishiu S, Sugimoto E. 1990.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vitamins and their analogues on terminal differentiation from preadipocytes to adipocytes of 3T3-L1 cells. Comp Biochem Physiol 96: 323-326. 

  15. Cno M, Aratani Y, Kitagawa I, Kitagawa Y. 1990. Ascorbic acid phosphate stimulate type IV collagen synthesis and accelerate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Exp Cell Res 187: 309-314. 

  16. Harrison SA, BuxtaonJM, Clancy BM, Czech MP. 1991. Evidence that erythroid-type glucose transporter intrinsic activity is modulated by cadmium treatment of mouse 3T3-L1 cells. J Biol Chem 266: 19438-19449. 

  17. Park HS. 2001. Pharmacological therapy of obesity. Kor J Soc Study Obes 10: 118-127. 

  18. Ballinger A, Peikin SR. 2002. Orlistat: its current status as an anti-obesity drug. Eur J Pharmacol 440: 109-117. 

  19. Zacour AC, Sliva ME, Cecon PR, Bambirra EA, Vieira EC. 1992. Effect of dietary chitin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rats. J Nutr Sci Vitaminol 38: 609-613. 

  20.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21. Kim YS, Byun SH, Kim SC, Kum M, Cho EH. 2000. Effect on cure and prevention of an obesity. Kor J Herbology 15: 37-43. 

  22.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5-381. 

  23. Choi J, Jung HJ, Lee KT, Park HJ. 2005.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aponin and obtained from the stem of Akebia quinata. J Med Food 8: 78-85. 

  24. Jung HJ, Lee CO, Lee KT, Park HJ. 2004.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oleanane disaccharides isolated from Akebia quinata versus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and NO inhibition. Biol Pharm Bull 27: 744-747. 

  25. Higuchi R, Kawasaki T. 1976. Pericarp saponins of Akebia quinata Decne. I. Glycosides of hederagenin and oleanolic acid. Chem Pharm Bull 24: 1021-1032. 

  26. Ikuta A, Itokawa H. 1988. A triterpene from Akebia quinata callus tissue. Phytochemistry 27: 3809-3810. 

  27. Rim AR, Kim SJ, Jeon KI, Park EJ, Park HR, Lee SC.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kebia quinata Decne. J Food Sci Nutr 11: 84-87. 

  28. You YH, Jun WJ. 2012. Effects of fractions from Benincasa hispida on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95-900. 

  29. Yoon BR, Lee YJ, Kim SG, Jang JY, Lee HK, Rhee SK, Hong HD, Choi HS. 2012.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dusa)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 L1 adipocytes. Korean J Food Preserv 19: 443-450. 

  30. Kim MJ, Kim HK. 2009. Perilla leaf extract inhibits 3T3-L1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Food Sci Biotechnol 18: 928-931. 

  31. Liu F, Kim J, Li Y, Liu X, Li J, Chen X. 2001.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glucose uptake 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 131: 2242-2247. 

  32. Grundy SM. 2004.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Clin Endocrinol Metab 89: 2595-2600. 

  33. Tansey JT, Sztalryd C, Hlavin EM, Kimmel AR, Londos C. 2004. The central role of perilipin a in lipid metabolism and adipocyte lipolysis. IUBMB Life 56: 379-385. 

  34. Lee JM, Yoon HK, Lee YH, Park JJ, You YH, Jang JY, Yang JW, Jun WJ. 2010. The potential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urcuma longa L. on lipolysis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J Med Food 13: 1-7. 

  35. Hong SW, Lee JM, Choi JH, Park SE, Rhee EJ, Park CY, Oh KW, Park SW, Kim SW, Lee WY. 2012. The effect of AMPK activation on Wnt and sFRP5 in TNF- $\alpha$ induced adipocyte metabolic dysfunction in 3T3-L1 cell. Korean J Obes 21: 29-36. 

  36. Seo DJ, Kim1 JM, Kim TH, Baek JM, Kim TW, Kim HS, Choe M. 2010. Anti-obesity effects of Foeniculum fructus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04-1610. 

  37. Lee JJ, Shin HD, Lee YM, Kim AR, Lee MY. 2009. Effect of broccoli sprouts on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09-318. 

  38. Park YS, Yoon Y, Ahn HS. 2007.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represses up-regulated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triggered by a high fat feeding in obese rats. World J Gastroenterol 13: 3493-3499. 

  39. Kim HS, Kim TW, Kim DJ, Hwang HJ, Lee HJ, Choe M. 2007. Effects of natural plants supplementation on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pad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19-423. 

  40. Xue X, Xiao Y, Gong L, Guan S, Liu Y, Lu H, Qi X, Zhang Y, Li Y, Wu X, Ren J. 2008. Comparative 28-day repeated oral toxicity of Longdan Xieganwan, Akebia trifoliate (Thunb.) koidz., Akebia quinata (Thunb.) Decne. and Caulis aristolochiae manshuriensis in mice. J Ethnopharmacol 119: 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