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미용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3, 2015년, pp.439 - 450  

김민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최태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으름열매는 폴리페놀사포닌과 같은 페놀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멜라닌과 홍반변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 측정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소거능이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으름열매 추출물 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멜라닌지수, 홍반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으름열매 추출물 함유 화장품이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으름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피부보습, 피부개선효과를 가진 천연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kebia quinata fruit(AQF), a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paper, polyphenols and other phenolic components of saponin also has similar or higher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well-known for soothing, anti-oxidizing effects, on the impr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생리 활성 정도를 조사하고, in vivo 실험연구를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피부 개선효능을 확인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으름열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더 다양한 이용과 스킨케어 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생리 활성 정도를 조사하고, in vivo 실험연구를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피부 개선효능을 확인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으름열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더 다양한 이용과 스킨케어 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으름은 무엇인가? 이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화장품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페놀화합물과 같이 특히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각종 생약과 식용식물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3]. 으름(Akebia quinata)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속 으름덩굴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등에 분포되어 있다[4]. 으름의 뿌리 및 줄기는 창달(暢達), 인후(咽喉), 진해(鎭咳), 해열(解熱), 소염(消炎), 배농(排膿), 구충(驅蟲), 부종(浮腫) 등에 약재로 사용되어 왔었고, phenol성 물질과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과 같은 사포닌 성분 함유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활성 산소종 중 O2-, OH는 피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피부 표면은 항산화 방어막으로 구축되어 있지만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로 인해 활성산소가 과잉 생성된다. 특히 활성 산소종 중 O2-, OH는 피부 광 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은 피부 항산화제 파괴, 단백질의 산화, DN A 산화,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등의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멜라닌 생성 과정 등에 참여하여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1]. 이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화장품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페놀화합물과 같이 특히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각종 생약과 식용식물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3].
으름 추출물에 의한 홍반 변화 관찰 실험에서 실험군(으름 추출물 사용)이 대조군에 비해 홍반 감소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던 이유를 본 연구는 무엇이라 추측하였는가? 따라서 대조군에서는 홍반의 증가 또는 감소가 있었으나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군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사후 홍반이 감소했으며, 또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으름에 함유된 아미노산에 의해 피부보호 및 피부의 재생 기능으로 으름열매가 안면 부위의 홍반량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얻을 수 있는 결과라고 생각된다[32]. 또한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N. Park,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asik using Scattered-floxer ladybell, Kongju National University Ph. D. Thesis, (2009). 

  2. G. H. Halliwell, J. Gutteridge, Role of free radical and catalytic metal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990). 

  3. N. Ramarthnam, T. Osawa, H. Ochi and S. Kawakishi.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ence, 6, 75-82 (1995). 

  4. K. H. Park,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Akebia quinata, Inj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5. H. U. Kim,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Akebia quinata,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6. K. D. Lee, Inhibitory effects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gainst mutans streptococci,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2008). 

  7. H. N. Hwang, I. S. Lee, J. E. Kim, H. Y. Moon, The investigation of antibiotic substances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from Akebia quinata. Biotechnol. Bioproc. Eng., 4, 253-256 (2002). 

  8. Y. Mimaki, M. Kuroda, A. Yokosuka, H. Harada, M. Fukushima, Y. Sashida, Triterpenes and triterpene saponins from the stems of Akebia trifoliata. Chem. Pharm. Bull., 51, 960-965 (2003). 

  9. A. R. Rim, S. J. Kim, K. I. Jeon, E. J. Park, H. R. Park, S. C. Le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kebia quinata Decne, J. Food Sci. Nutr., 11, 84-87 (2006). 

  10. Y. Mimaki, S. Doi, M. Kuroda, A. Yokosuka,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stems of Akebia quinata, Chem. Pharm. Bull., 55, 1319-1324 (2007). 

  11. J. Kawata, M. Kameda and M. Miyazawa,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 from the dried fruits and stems of Akebia quinata DECNE, J. Oleo. Sci., 56, 59-63 (2007). 

  12. H. S. Kang, J. S. Kang, W. S. Jeong,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7, 311-319 (2010). 

  13. S. M. Lee, Y. H. You, K. G. Kim, J. J. Park, C. S. Jeong, D. Y. Jhon and W. J. Jun,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gwangyang Rubus coreanus Miq. Korean J Soc. Food Sci. Nutr., 41, 327-332 (2012). 

  14. S. H. Lee, Y. S. Song, S. Y. Lee, S. Y. Kim and K. S. Ko, Protective Effects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46(5), 622-629 (2014). 

  15.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UV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6.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981). 

  17. M. Moreno, M. Isla, A. R. Sampietro and M.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000). 

  18. Y. H. Pyo, Studies on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the extracts from Celosia cristata Linne and Its cosmetic application, Konkuk University Ph. D. Thesis, (2009). 

  19. S. Marklund,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94). 

  20. B. H. So, Equipment Evaluation of the skin effect, 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8(1), 68-75 (2006). 

  21. Y. H. Jeon, M. H. Kim and M, R, Kim,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analis, Kororean J Soc. Food Sci. Nutr., 37(1), 1-7 (2008). 

  22. H. J. Jung, C. O. Lee, T. K. Lee, J. W. Choi and H. J. Park,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oleanane disaccharides isolated from Akebia quinata versus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and NO inhibition, Biol. Pharm. Bull., 27, 744-747 (2004). 

  23. H. S. Kang, J. S. Kang and W. S. Jeong,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7, 311-319 (2010). 

  24. E. K. Lee, W. Y. Kwon, J. W. Lee, J. A. Yoon, K. H. Chang, B. C. Song, J. H. A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Supplemented Added with Akebia quinata Fruit during Fermentation, Kororean J Soc. Food Sci. Nutr., 43(8), 1217-1227 (2014). 

  25. E. Y. Kim,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r medicinal plants. Korean J Sci. Tech, 36, 333-338 (2004). 

  26. H. S. Choi, S. H. Yeo, S. T. Jeong, J. H. Choi, H. S. Park and M. K. Ki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fre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B)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73-178 (2012). 

  27. J. M. Na, Characteriz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from cold-adapted Arctic bacteria, S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28. Y. J. Lee, Efficacy and Preference Tendency of the Natural Cosmetic Using Fruits and Vegetables,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29. S. J. Hong, The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 on the skin condi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2012). 

  30. Y H. Choi,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Y natural cosmetics and satisfaction with its improvement effects upon the skin,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31. J. Y. Yoo, S. H. Park, I, A, Hwang, C. H. Heo, S. Y. Yoon and K. C. Park,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a Cream Containing Ramulus Mori Extract and Tea Tree Oil on Acne Vulgaris and Aerobic Skin Flora,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41, 1136-1141(2003). 

  32. J. A. Park, M. O. Choi and H. S. Kim, An Analysis on Physical and Chemical Features and Components of Each Part of the Rumex crispus L. Korean J. Aesthet. Cosmetol., 8, 193-201(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